$\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서비스 영역에서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의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Child-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in Mental Health Service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8 no.4, 2017년, pp.197 - 212  

노경란 (서울시 송파아이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preliminary study and expand the use of the Child-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by providing standardized T-scores for measuring function in different areas, as well as guidelines for their interpretation. Methods: The Chil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예비연구를 통해 제작된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는 규준이 원점수로 제공되어 개인 내 여러 영역 간 비교가 어려운 제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세분화된 영역별 T점수 기준을 제시하고, 정신보건시스템 내에서 더 잘 활용되도록 전반적인 활용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는 효과검증을 위한 도구일 뿐 아니라, 현장에서 사례관리를 하거나 치료목표 수립 시에도 개입 순위를 정하며, 개입 전략을 세울 때 유용하다.
  • 따라서 이러한 예비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를 좀 더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양한 임상집단과 중학생 연령층에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를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영역별 표준화된 T점수 기준 및 해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가 정신보건시스템 내에서 개입효과를 세분화하여 검증하고 사례관리와 치료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활용되도록 하고자 한다.
  • 1). 또한 예비연구에서의 규준은 크게 가정행동, 학교행동, 학업또래관계, 총점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나 본 척도에서는 영역을 보다 세분화하여 규준을 작성함으로써, 좀 더 구체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영역을 세분화하여 규준을 작성하다 보니 원점수의 범위가 작아져서 T-score로 변환하였을 때 점수 변화가 섬세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 본 논문의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는 아동청소년의 전반적인 증상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한국판-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나 K-CBCL을 위한 아동 정서·행동발달선별검사와 달리 증상보다 기능 위주로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다.
  •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의 세분화된 영역별 T 점수 기준 및 척도활용을 위한 가인드라인을 제시하고자, 첫째, 먼저 다양한 임상집단과 중학생 연령층에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를 실시한 결과를 예비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신뢰도는 소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통해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이를 좀 더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척도의 영역별 T점수 기준 및 활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와 K-CBCL를 여러 임상집단과 중학생 연령층으로 확장하여 실시하였다.
  • 이러한 CGAS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어느 영역에서(가정, 학교, 또래관계 및 학업, 정서, 행동, 특수 영역), 어느 정도의 기능손상을 보이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도구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이러한 현장의 필요에 기반하여 본 연구의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는 아동의 증상보다 기능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데 더 초점을 맞추고, 부모 보고에 의한 평가가 아니라 지역사회 사례관리 실무자나 임상가가 평가하되, 단시간 내에 좀 더 영역별로 세분화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선별검사가 아니라 변화 정도를 추적함으로써 사례관리나 치료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11) 만6세부터 15세에 해당되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국내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는 미국의 Child and 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CAFAS)12)과 호주의 Health of the Nation Outcome Scale Children and Adolescents(HoNOSCA)13)와 같은 대표적인 해외의 아동청소년기능평가척도 문항들을 비교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척도를 제작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예비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를 좀 더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양한 임상집단과 중학생 연령층에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를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영역별 표준화된 T점수 기준 및 해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가 정신보건시스템 내에서 개입효과를 세분화하여 검증하고 사례관리와 치료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활용되도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규준을 예비연구와 같이 원점수로 제시하지 않고 T점수를 산출하여 제시한 점이다. 이를 통해 어느 영역에서 문제가 더 심각한지 개인 내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는 전반적인 기능평가척도인 CGAS와 비교해볼 때, 다양한 영역에 대한 평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인 영역 내 심각도 수준을 비교할 수 있으며, 개인 간에도 비교 가능한 규준을 제공한다.
  •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질문지인 K-CBCL은 본 연구에서 아동청소년 기능평가척도의 공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함께 사용되었다. K-CBCL은 Achenbach14,15)가 제작한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를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가 번역,표준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비스 성과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그러나 정신건강 서비스, 특히 아동청소년을 위한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효과검증이나 비용-대비 효과성에 대해 증거에 기반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서비스 성과에 대한 평가는 임상적 치료에 대한 평가와 서비스 효과성에 대한 평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임상적 치료에 대한 평가는 개인적 차원에서 증상 감소에 주로 초점을 두는 반면, 서비스 효과성에 대한 평가는 서비스 수준의 변화를 주 목표로 하는 서비스 효과성에 대한 평가로 나눌 수 있다.
SFCES란? 1) Hogwood 등2)은 아동청소년의 치료서비스 효과를 폭넓게 이해하고 검증하기 위한 모델로서 Symptom Functionining Consumer Environment System(SFCES)을 제시하였다. SFCES는 포괄적인 효과검증 모델로서 증상과 진단(symptoms and diagnoses), 가정, 학교와 지역사회에서의 기능(functioning), 소비자 관점(consumer perspectives), 아동 주요환경의 안정성(environments), 그리고 체계(systems)의 다섯 가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CGAS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국내의 정신보건영역에서는 아동청소년의 증상보다는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지금까지 CGAS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CGAS는 전반적인 단일 점수로만 산출되기 때문에, 지역사회에서 선별 목적 외에 아동의 전후 변화된 부분을 민감하고 간편하게 측정함으로써 사례관리나 치료계획에 도움을 주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척도가 부재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CGAS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어느 영역에서(가정, 학교, 또래관계 및 학업, 정서, 행동, 특수 영역), 어느 정도의 기능손상을 보이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도구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oagwood K, Jensen PS, Petti T, Burns BJ. Outcomes of mental health c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 A comprehensive conceptual model.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1055-1063. 

  2. Jensen PS, Hoagwood K, Petti T. Outcomes of mental health c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I. Literature review and application of a comprehensive model.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1064-1077. 

  3. Bird HR, Yager TJ, Staghezza B, Gould MS, Canino G, Rubio-Stipec M. Impairment in the epidemiological measurement of childhood psychopathology in the communit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0;29:796-803. 

  4. Shaffer D, Gould MS, Brasic J, Ambrosini P, Fisher P, Bird H, et al. A children's global assessment scale (CGAS). Arch Gen Psychiatry 1983;40:1228-1231. 

  5. Barkley RA. Barkley functional impairment scale: children and adolescents (BFIS-CA). New York, NY: Guilford Press;2012. 

  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7. Simeonsson RJ, Leonardi M, Lollar D, Bjorck-Akesson E, Hollenweger J, Martinuzzi A. Apply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to measure childhood disability. Disabil Rehabil 2003;25:602-610. 

  8.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children and youth version: ICF-CY.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2007. 

  9. Canino GJ, Fisher PW, Alegria M, Bird HR. Assessing child impairment in functioning in different contexts: implications for use of services and the classification of psychiatric disorders. Open J Med Psychol 2013;2:29-34. 

  10. Gold LH. DSM-5 and the assessment of function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 (WHODAS 2.0). J Am Acad Psychiatry Law 2014;42:173-181. 

  11. Row KR, Suh DS.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Child and 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in the mental health service.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4;25:142-155. 

  12. Hodges K. The Child and Adolescent Functional Assessment Scale (CAFAS). In: Maruish ME, editors. The use of psychological testing for treatment planning and outcome assessment.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2004. p.405-441. 

  13. Brann P, Coleman G, Luk E. Routine outcome measurement in a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service: an evaluation of HoNOSCA. The Health of the Nation Outcome Scal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ust N Z J Psychiatry 2001;35:370-376. 

  14. Achenbach TM, Edelbrock CS.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1983. 

  15. Achenbach T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1991. 

  16. Oh KJ, Lee H, Hong KE, Ha EH.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Seoul, Korea: Chung Ang Aptitude;1997. 

  17. Groth-Marnat G. Handbook of psychological assessment. 5th ed.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