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사회화와 이직의도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Intention to Leave in Operating Room Nurses Working at Secondary General University Hospital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1, 2015년, pp.88 - 98  

윤수정 (분당차병원) ,  박혜자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intention to leav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on intention to leave in operating room nurses.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Seventy operating room nurses recruited from three hospitals under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차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사를 실무수행능력에 따라 상급초보자, 유능한 단계, 숙련단계, 전문가단계로 분류한 후[18] 조직사회화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수술실 간호사 인력관리와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인사 관리와 정책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2차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사회화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및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수술실 간호사의 인사관리정책에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조직사회화와 이직의도는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문가단계의 간호사는 직무수행능력이 높은 반면 높은 이직의도를 보였다.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사회화와 이직의도를 확인하고 조직사회화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며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사회화 요인을 설명하기위한 횡단적 서술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에서 높은 이직률의 문제점은? 이직의도는 이직의 바로 직전 단계로 이직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결정적 요인이기 때문에[3] 임상 실무에서도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다양하게 모색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높은 이직률은 병원의 경제적 비용 손실뿐 아니라 간호사의 기술과 지식 축적을 방해하고 의료서비스 질보장과 간호전문성을 감소시킨다[4]. 특히 수술실 간호사는 일반 병동간호사 업무와 구별되는 수술이라는 복합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5] 집중적인 수술실 관리에 대한 책임이 주어지기 때문에 업무 환경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매우 높다.
조직사회화란? 간호사의 이직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일관된 요인은 직무만족이지만[8] 성공적인 조직사회화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며 개인과 조직의 적합성과 조직몰입 증진과 관련되므로[9] 병원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위해 간호사 교육과 동시에 조직사회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조직사회화는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필요한 가치관, 수행능력 및 기대되는 행위, 조직내 사회적 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조직사회화 성과 모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사회화 실습을 통해 학습을 하고 적응과정을 거쳐 조직사회화라는 성과에 도달하게 된다[10]. 사회화실습 단계에서는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직무훈련 프로그램, 사회화방법, 직무특성, 사회화의 대리인(socialization agents)과 관련된 방법이 적용되고 적응과정은 직무숙달, 명확한 역할습득, 사회적인 수용, 자기효능감, 적합성 지각, 학습 및 불안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조직사회화 성과는 직무만족도, 조직몰입도, 이직의도, 이직, 업무 수행, 역할 인식 및 스트레스와 같은 요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10].
수술실 간호사가 업무 환경에서 받는 스트레스로 인한 미국의 신규간호사 이직률 통계는? 특히 수술실 간호사는 일반 병동간호사 업무와 구별되는 수술이라는 복합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5] 집중적인 수술실 관리에 대한 책임이 주어지기 때문에 업무 환경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매우 높다. 이로 인해 미국의 경우 신규간호사의 35~65%는 1년 이내에 이직의도를 보이며 이직률은 55%까지 매우 높아 수술실은 이직에 취약한 부서로 제시되었다[6]. 또한 병원 규모가 커지는 시기에는 예측하지 못한 근무시간 연장과 의무적인 초과근무로 수술실 경력간호사 사기를 저하시켜 이직에 영향을 주고[7] 성공적이지 못한 수술실 간호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간호인력부족은 이직률을 높이며 환자간호의 질 저하, 직무만족 저하 및 기관의 재정 소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iu C, Zhang L, Ye W, Zhu J, Cao J, Lu X, et al.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a questionnaire survey of hospital nurses in Shanghai of Chin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2; 21(1-2):255-263.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766.x 

  2.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spital nurses staffing state survey [Internet].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3 [cited 2014 February 13].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272-429.pdf 

  3. Price JL, Mueller CW. Professional turnover: the case of nurses. Health Systems Management. 1981;15:1-160. 

  4. Buerhaus PI, Donelan K, Ulrich BT, Norman L, DesRoches C, Dittus R. Impact of the nurse shortage on hospital patient care: Comparative perspectives. Health Affairs (Project Hope). 2007;26(3):853-862. http://dx.doi.org/10.1377/hlthaff.26.3.853 

  5. Spruce L. Bringing back the basics of perioperative nursing care. AORN Journal. 2013;98(5):438-439. http://dx.doi.org/10.1016/j.aorn.2013.09.001 

  6. Willemsen-McBride T. Preceptorship planning is essential to perioperative nursing retention: matching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Canadian Operating Room Nursing Journal. 2010; 28(1):8, 10-11, 16 passim. 

  7. Heslin MJ, Doster BE, Daily SL, Waldrum MR, Boudreaux AM, Smith AB, et al. Durable improvements in efficiency, safety, and satisfaction in the operating room. 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008;206(5):1083-1089. discussion 1089-1090. http://dx.doi.org/10.1016/j.jamcollsurg.2008.02.006 

  8. Ramoo V, Abdullah KL, Piaw C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current employment among registered nurses in a teaching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3;22(21-22):3141-3152. http://dx.doi.org/10.1111/jocn.12260 

  9. Kim T-Y, Cable DM, Kim S-P. Socialization tactics, employee proactivity, and person-organization fit. Th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5;90(2):232-241. http://dx.doi.org/10.1037/0021-9010.90.2.232 

  10. Wanberg CR, editor. The Oxford handbook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New York, USA: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012. 

  11. Feng RF, Tsai YF. Socialisation of new graduate nurses to practising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2;21(13-14): 2064-2071.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992.x 

  12. Choi JS, Yang NY. Nursing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according to teaching style of preceptors and personality of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3):281-289.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281 

  13. Taormina RJ, Law CM. Approaches to preventing burnout: The effects of personal stres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0;8(2):89-99. 

  14. Kramer MW.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ining and leaving organizations. Cambridge, UK: Polity Press; 2010. p. 171-179. 

  15. Mellinger E. Orientation and onboarding processes for the experienced perioperative RN. AORN Journal. 2013;98(4):c5-c6. 

  16. Dinmohammadi M, Peyrovi H, Mehrdad N. Concept analysis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in nursing. Nursing Forum. 2013; 48(1):26-34. http://dx.doi.org/10.1111/nuf.12006 

  17. Song YS, Lee MY. The effect of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limat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3): 51-61. 

  18. Black BP. Professional nursing. Concepts and challenges. 7th ed. St. Louis, Missouri: Elsevier; 2014. p. 121-123. 

  19. Sohn IS, Kim HS, Kwon JS, Park DL, Han YH, han SS.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1):85-97. 

  20. Lawler EE. Satisfaction and behavior. In: Hackman JR, Lawler EE, editors. Perspectives on behavior in organizations. New York: McGraw-Hill; 1983. p. 78-97. 

  21. Park H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22. Kim J, Park HJ, Lee SH.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3):413-423. 

  23. Weis D, Schank MJ. Professional values: Key to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2;18(5): 271-275. 

  24. Lee Y-J, Kim K-B. Experiences of nurse turnov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248-257. 

  25. Vowels A, Topp R, Berger J. Understanding stress in the operating room: A step toward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Kentucky Nurse. 2012;60(2):5-7. 

  26. Yoon K.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86-100.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1.86 

  27. Taormina RJ, Law CM. Approaches to preventing burnout: The effects of personal stres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0;8(2):89-99. 

  28. Kim H, Jang KS. Development of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3):301-314.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3.301 

  29. Park KO, Yi MS. Nurses' experience of career ladder programs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581-59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581 

  30. Ko YK, Yu S. Clinical ladder program implementation: A project guid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44 (11):612-616. http://dx.doi.org/10.1097/NNA.00000000000001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