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계의 지속가능한 자연자원 소비에 대한 국내 생활과학 연구 (2000-2013) 고찰
Human Ecology Research (2000-2013) on Sustainable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3 no.1, 2015년, pp.93 - 106  

추호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나종연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백은수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김효정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we have learnt thus far on the sustainable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by household in Korea. We propose a two-wing model designating households as the main agent of sustainable living where both the production of human resources and the consump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생활과학분야에서 이루어진 가계의 지속가능한 소비와 관련된 연구를 목록화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계의 지속가능한 자연자원 소비를 인간 삶 또는 생활의 질에 초점을 맞춘 인적 자원의 생산 활동과 더불어 자원의 생산, 개발, 재생에 초점을 맞추는 자연 자원의 소비 활동이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하고자 한다[3, 22].
  • 소비자들은 구매 의사 결정의 전 단계에 걸쳐서 지속가능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의 단계를 개인 및 가계의 소비활동 프로세스에 따라 제안한다. 먼저, 소비자의 활동에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가치 및 태도의 형성이 선행되고, 소비자의 정보 탐색 활동은 구매로 이어질 수 있으며, 구매 후 사용 및 평가 그리고 폐기의 단계로 나누어볼 수 있다.
  • 최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Soussana 등[22]이 제안한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이용하여 가계의 자연자원 소비에 있어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생활과학적 탐구의 노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생활과학분야에서 이루어진 가계의 지속가능한 소비와 관련된 연구를 목록화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계의 지속가능한 자연자원 소비를 인간 삶 또는 생활의 질에 초점을 맞춘 인적 자원의 생산 활동과 더불어 자원의 생산, 개발, 재생에 초점을 맞추는 자연 자원의 소비 활동이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하고자 한다[3, 22].
  • 이에 본 연구는 가계를 중심으로 인적 자원에 대한 재생산과 자연자원의 소비활동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양날개모델(two-wing model, Figure 2)을 제안하고, Figure 2의 날개의 오른쪽 부분에서 구체화된 자연자원의 소비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생활과학 분야에서 이루어져 온 지속가능성 연구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2].
  • 소비활동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원을 써서 없앤다는 소비 본연의 개념뿐 아니라, 자원이 생산, 교환되는 과정과, 이러한 자원의 생산과 교환 및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공동체, 문화, 교육, 제도 등과 같은 사회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는 것이 생태학적 접근의 전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가계의 활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활동의 배경이 되는 생산(production), 소비(consumption), 그리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사회적 환경(social environment)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서로 상호작용하는 이 세 가지 영역은 본 연구에서 자연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틀이 된다.
  • 사회적 환경은 자연환경(physical environment)에 대응하는 용어로 에코시스템 이외의 영역이지만, 개인과 가족에 매우 밀접한 환경으로 지속가능한 소비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개인 및 가계의 생산과 소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환경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 교육, 미디어, 제도 등을 사회적 환경의 큰 범위로 제시하고자 한다(Figure 6).
  • 최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Soussana 등[22]이 제안한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이용하여 가계의 자연자원 소비에 있어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생활과학적 탐구의 노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생활과학분야에서 이루어진 가계의 지속가능한 소비와 관련된 연구를 목록화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과학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생활과학은 기초과학을 중심으로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응용학문의 성격을 띄고 있는데 이는 크게 의류, 식품영양, 주거, 가정경영 및 소비자, 가족 및 아동학, 가정학교육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24]. 이와 같이 인간의 삶과 밀접한 생활과학 각 개별 분야에 있어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되어왔다.
인간 생태학적 틀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생활과학 연구의 주된 관점인 인간 생태학적 틀은 개인, 가계, 사회가 중심이 되어 자연환경, 사회환경, 문화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4]. 그러나 인간 생태학적 관점의 통합적 시각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환경의 강조로 인해 가계의 역할이 세분화되거나 지나치게 확대됨으로써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 가계가 중요한 연구대상임을 인식하지 못해왔다[8, 14].
사회적 환경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을 포함할 수 있는가? 사회적 환경이란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개인과 가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문화, 가치관 및 전통 등을 의미한다[15, 17]. 구체적으로 지역적인 단위, 가족구성, 인구밀도 및 직업이나 근로내용, 주거의 상황이나 수입 등의 생활 정도, 교통시설이나 교육시설, 의료시설 등 문화ㆍ문명의 산물을 광범위하게 포함할 수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i, Y., & Sung, M. (2011). The low carbon & green growth policy and green life-style, the practical implication and vision on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1), 79-91. http://dx.doi.org/10.6115/khea.2011.49.1.079 

  2. Choo, H. J., Rha, J., Baek, E., & Kim, H. J. (2013, November). HUMEC research on sustainability: What have we learned since 2000? Paper presented at the 2013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International Symposium, Seoul, Korea. 

  3. Hawkins, R. L. (2005). From self-sufficiency to personal and family sustainability: A new paradigm for social policy. Journal of Sociology & Social Welfare, 32(4), 77-92. 

  4. Hong, B. S., Lee, E. J., & Chu, Y. J. (2010). The effect of environmental values of fashion consumers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4), 431-438. http://dx.doi.org/10.5805/KSCI.2010.12.4.431 

  5. Hong, H. S., & Kim, G. E. (2010). Differences between purchasers and non-purchasers of naturally dyed-products: Usages of media, media programs, and information 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 79-91. http://dx.doi.org/10.5850/JKSCT.2010.34.1.79 

  6. Hwang, E. (2009). Study on analyzing information for practicing sustainable energy consumption: Focused on labeling systems about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5(4), 85-109. 

  7. Jun, Y. H., & Jae, M. K. (2012). The effects of green consumption practice program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3), 527-537. http://dx.doi.org/10.5934/KJHE.2012.21.3.537 

  8. Kim, H. A., & Yoo, T. M. (1995). A study on the confronting problems of home economics in Korea and it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ausing backgroun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1), 1-18. 

  9. Kim, H. C., & Kim, M. R. (2010). Analysis on consumption behaviors regard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s of housewives in Yeungnam reg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6), 1103-1113. http://dx.doi.org/10.5934/KJHE.2010.19.6.1103 

  10. Kim, J., Park, C. H., & Yun, C. (2013, November). Towards a comprehensive sustainability index. Paper presented at the 2013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International Symposium, Seoul, Korea. 

  11. Kim, M. H., & Kim, S. Y. (2011). A study of a prototype functional jacket for green grow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 104-114. 

  12.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1996). The great encyclopedia of nursing science. Seoul: Korean Dictionary Research. 

  13. Kwan, J. S. (2012).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e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4(1), 13-23. http://dx.doi.org/10.5805/KSCI.2012.14.1.013 

  14. Lee, K., Kim, Y., & Song, H. (2010). Proposing missions and alternatives for integrity and practicality of human ecology.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2), 21-33. 

  15. Lipson, H. A., & Darling, J. R. (1971). Introduction to marketing: An administrative approach (pp. 198-199). New York, NY: Wiley. 

  16. Nam, Y. S., & Kim, H. A. (2012). Parents' perception on middle school foodservice using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in Masan area.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5(2), 181-191. http://dx.doi.org/10.4163/kjn.2012.45.2.181 

  17. Oh, C. J., & Baek, M. S. (199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uying behavior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Chungnam Journal of Human Ecology, 3(1), 47-65. 

  18. Seok, H. J., & Hong, H. O. (2011).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lanning features in condominiums with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1), 41-53. http://dx.doi.org/10.6115/khea.2011.49.1.041 

  19. Seuring, S. (2004). Integrated chain management and supply chain management comparative analysis and illustrative cases. Journal of Clear Production, 12(8-10), 1059-1071. http://dx.doi.org/10.1016/j.jclepro.2004.02.006 

  20. Song, E., Li, J., Kim, K. H., & Yoo, H. J. (2011). Consumers'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fter the greenwashing perceptio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2(1), 315-339. 

  21. Song, H. R., & Cho, B. E. (2008, January). Changes in household and welfare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2007 Winter Conference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eoul, Korea, 31-52. 

  22. Soussana, J. F., Fereres, E., Long, S. P., Mohren, F. G., Pandya-Lorch, R., Peltonen-Sainio, P., et al. (2012). A European science plan to sustainably increase food security under climate change. Global Change Biology, 18(11), 3269-3271. http://dx.doi.org/10.1111/j.1365-2486.2012.02746.x 

  23. Textbook Development Committe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Human Ecology. (2005). Understanding human ecolog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4.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991).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Vol. 8. Seongna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5.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6. Yim, J. B., Chi, Y. S., Moon, S. J., Lee, K. Y., & Lee, Y. S. (2005). Home management. Seoul: Shinjeong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