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건강상태 구조 모형: 생행동학적 요인과 건강생성이론 기반으로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Status in Hospital Nurses: Based on the Theory of Salutogenesis With Bio Behavioral Approach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1, 2015년, pp.50 - 59  

김경숙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서울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  한기혜 (중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ncepts of the salutogenic model - sense of coherence,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status in clinical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hospital in Seoul using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A total of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건강상태와 그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안토노브스키의 건강생성이론[7]을 기반으로 생행동학적 요인인 신체활동, 식행동을 포함하여 병원 간호사의 건강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생성이론을 기반으로 기초간호학적 지표인 신체활동, 식행동 등의 건강행위를 포함하여 간호사의 건강상태에 대한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며,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 간접적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건강생성이론을 기반으로 병원 간호사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정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횡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건강생성이론을 기반으로 그 핵심요인인 통합력과 간호사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직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그리고 교대근무와 같은 직무 특성이 간호사의 건강 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건강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안토노브스키의 건강생성이론[7]을 기반으로 그 핵심 요인인 통합력이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건강행위를잘 수행하게 하여 좋은 건강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10]. 또한 간호사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직무 특성인 근무경력과 교대근무를 모형에 포함시킨 것뿐 아니라, 신체활동, 식행동 등 기초간호학 지표를 포함시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경우가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신체활동, 식행동 등의 건강행위를 잘 수행하도록 하여 건강상태를 좋게 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14].
  • 본 연구는 안토노브스키의 건강생성이론[7]을 기반으로 그 핵심 요인인 통합력이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건강행위를잘 수행하게 하여 좋은 건강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10]. 또한 간호사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직무 특성인 근무경력과 교대근무를 모형에 포함시킨 것뿐 아니라, 신체활동, 식행동 등 기초간호학 지표를 포함시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경우가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신체활동, 식행동 등의 건강행위를 잘 수행하도록 하여 건강상태를 좋게 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가 정의한 건강증진의 의미는? WHO는 방콕헌장을 통해 건강증진을 개인이 자신의 건강과 건강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이로 인해 건강해지는 과정이라 정의하였다[5]. 이는 건강증진을 위해 대상자에게 부족한 요인을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왔던 기존의 결핍모델 (deficit model)에서 벗어나 대상자 스스로 건강문제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최선의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개인적, 조직적, 사회적 역량을 육성하며, 이에 적절한 자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자산모델 (asset model)로의 변화를 의미한다[6].
간호사가 겪는 어려움의 이유는? 간호사는 교대근무로 인한 생체리듬의 변화, 직무 중 비정상적인 자세 그리고 강도 높은 신체적 활동 등에 의해 높은 스트레스와 건강상의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다[1,2]. 캐나다 간호협회 조사 결과 간호사들은 직무 스트레스가 매우 높고,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영양섭취의 불균형, 비만, 운동부족, 음주, 흡연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
캐나다 간호사들이 겪는 건강상의 문제의 예시는? 간호사는 교대근무로 인한 생체리듬의 변화, 직무 중 비정상적인 자세 그리고 강도 높은 신체적 활동 등에 의해 높은 스트레스와 건강상의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다[1,2]. 캐나다 간호협회 조사 결과 간호사들은 직무 스트레스가 매우 높고,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영양섭취의 불균형, 비만, 운동부족, 음주, 흡연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 영국의 NHS 보고서에서 간호사는 질병 또는 상해로 인한 휴무가 타 직종에 비해 높았고, 간호사의 건강문제는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막대한 경제적 손실 또한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HK, Lee TY, Kim KH.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hifting nurses' on the health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0;11(3):1126-1132. 

  2. Ratner PA, Sawatzky R. Health status, preventive behaviour and risk factors among female nurses. Health Reports/Statistics Canada, Canadian Centre for Health Information. 2009;20(3):53-61. 

  3. NADH, Workforce, Staff Experience. NHS Health and Well-being Improvement Framework. the governance report, Gateway reference 16397. London. Department of Health (UK); 2011 July. Available from http://www.dh.gov.uk/publications. 

  4. Kim JH, Hyun MY, Kim YS, Kim JS, Nam SO, Song MS, et al. Psycho-social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behavior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26-36. 

  5. WHO. The Bangkok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in a Globalized World (11 August 2005); 2005 [cited 2011 Oct25]. Available from http://www.who.int/healthpromotion/conferences/6gchp/bangkok_charter/en/. 

  6. Morgan A, Ziglio E. Revitalizing the evidence base for public health: an assets model. Promotion and Education. 2007;(Suppl. 2):17-22. 

  7. Antonovsky, A. Unraveling the mystery of health: How people manage stress and stay well. San Francisco: Jossey-Bass; 1987. p.15-162. 

  8. Nordang K, Hall-Lord ML, Farup PG. Burnout health-care professionals during reorganizations and downsizing. A cohort study in nurses. BMC Nursing. 2010;9(8). http://dx.doi.org/10.1186/bmj.1472-6955-9-8 

  9. Richardson CG, Ratner PA. Sense of coherence as a moderator of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health. Journal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2005;59(11):979-984. 

  10. Malinauskiene V, Leisyte P, Romualdas M, Kirtiklyte K. Associations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psychosocial conditions, lifestyle factors and health resources among hospital nurses in Lithuani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7(11): 2383-2393. 

  11. Wainwright NW, Surtees PG, Welch AA, Luben RN, Khaw KT, Bingham SA. Healthy lifestyle choices: Could sense of coherence aid health promotion?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007;61(10):871-876. 

  12. Tomey AM, Alligood MR. Nursing Theorist and Their Work. 6th ed. Park YS, Kang HS, Kim JH, Ahn SH, Lee KS, Cho KS, et al. translators. Seoul: DAIHAK publishing company; 2008. p.378-421, 543-564. 

  13. Rosenstock IM, Strecher VJ, Becker MH.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 Behavior. 1988;15(2):175-183. 

  14. Mark G, Smith AP. Occupational stress, job characteristics, coping and mental health of nurses.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2;17(3):550-521. 

  15. Seong NG. The methods of sample survey. 1st ed. Paju: Freeacademy; 1999.p.72. 

  16. Kim KS, Choi SM. Influence of nurses' sense of coherence on their stress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93-507. 

  17.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18.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5;17(4):297-317. 

  19.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core group.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Scoring Protocol. [Internet] Stockholm: Karolinska Institute; 2010[cited 2011 Oct20]. Available from http://www.ipaq.ki.se/scoring.htm. 

  20. Kim WY, Cho MS, Lee 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2003;36(1):83-92. 

  21. Seong JH, Lee CH, Do HJ, Oh SW, Lym YL, Choi JK, et al. Performance of the AUDI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s (AUDIT-C) and AUDIT-K Question 3 alone in screening for problem drinking.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9;30(9):695-792. 

  22. Hamaguchi M, Kojima T, Takeda N, Nagata C, Takeda J, Sarui 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a novel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7;13(10):1579-1584. 

  23.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1992;30(6):473-483. 

  24. Koh SB, Chang SJ, Kang MG, Cha BS, Park JK.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1997;30(2):251-266. 

  25. Killien MG. Nurses' health: work and family influences.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004;39(1):19-35. 

  26. Tsang SS, Chen TY, Wang SF, Tai HL. Nursing work stress: The impacts of social network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2;20(1):9-18. 

  27. Hallal PC, Andersen LB, Bull FC, Guthold R, Haskell W, Ekelund U. Global physical activity levels: surveillance progress, pitfalls, and prospects. Lancet. 2012;380(9838):247-257 

  28. Yoon HS, Choi YY. Stress level and health-related behavior of nurses working in the Kyungnam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03;8(5):781-793. 

  29. Chun SS. Analysis of college student binge drinking and alcohol-related problem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2002;3(2):221-233. 

  30. Jeong WC.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problem drinking among th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6;58(1):347-3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