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제 지향적 활동이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2, 2015년, pp.1153 - 1163  

노동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의과학협동과정) ,  한승협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협동과정) ,  조은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안성호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김훈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의과학협동과정) ,  감경윤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부손상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활동이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내원한 16명의 수부손상환자를 두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에 과제 지향적 활동을 1일 1회, 주 3회, 4주 동안 적용하고 그룹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과제 지향적 활동군은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통해 대상자가 선호하는 일상생활활동영역에 대한 과제를 제공하였다. 이때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손 기능 평가로 장악력 검사, 파악력 검사, 엄지의 맞섬, 손가락의 벌림 범위와, Purdue pegboard test,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DASH)를 사용하였다. 중재 전후 비교에서 과제 지향적활동군은 모든 손 기능 평가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대조군의 손 기능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 과제 지향적 활동군은 손끝집기, 측면집기, 세점집기, Purdue pegboard test, DASH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장악력 검사와 엄지의 맞섬 및 손가락의 벌림 범위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과제지향적 활동이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From December 2011 to October 2012, sixtee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at C Hospital in Changwon, Gyeongsangnam-do, Korea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에서 신경계환자에 비해 근골격계·정형외과 손상환자의 치료 비율은 낮은 편이 고[14], 수부손상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과제 지향적 활동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부손상환자에게 개인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선택한 과제만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과제 지향적 활동이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부손상환자를 대상으로 선택한 과제를 집중적으로 실시한 과제 지향적 활동군이 대조군의 손 기능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수부손상환자의 손 기능 향상에 과제 지향적 활동이 대조군 보다 손의 근력 과, 민첩성, 조작능력, 및 동작수행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수부손상환자 재활의 초점이 손의 조작능력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보다 관절가동범위와 근력과 같은 요소의 향상에만 한정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능적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과제 지향적 활동을 중재하였다. 또한 자신들이 선호한 과제만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과제 지향적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부손상은 어떻게 분류되며 수부치료의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 수부손상이란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유발되지 않은 상지의 질병 또는 손상으로 정의되며[3], 사람에게 있어 장애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4]. 표재성 손상, 열린 상처, 골절,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혈관 손상, 신경 손상, 근육᠊힘줄 손상, 압착 손상, 외상성 절단과 기타 상세불명의 손상으로 분류되며[5], 치료의 최종 목표는 최대의 기능적 손(functional hand)으로 도달하는 것이다[4]. 수부치료는 보조기의 사용과 같은 보존적 치료부터 수동적, 능동적 관절운동부터 점진적 저항운동에 이르는 교정적 치료까지 다양하며, 이밖에도 온냉치료, 압박치료, 저출력 레이저 치료, 전기치료 등이 사용되고 있다.
수부 또는 손의 사용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수부 또는 손의 사용은 인류역사에서 문명과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신체의 다른 어떤 부분보다도 소통의 상징과 표현의 수단으로 사회적 상호작용기 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이다[1,2]. 이렇게 다양한 기능을 하는 수부의 손상은 삶의 모든 측면에서 손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상당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고립의 결과를 초래한다.
수부손상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수부손상이란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유발되지 않은 상지의 질병 또는 손상으로 정의되며[3], 사람에게 있어 장애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4]. 표재성 손상, 열린 상처, 골절,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혈관 손상, 신경 손상, 근육᠊힘줄 손상, 압착 손상, 외상성 절단과 기타 상세불명의 손상으로 분류되며[5], 치료의 최종 목표는 최대의 기능적 손(functional hand)으로 도달하는 것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 M. Meyer, "Psychological aspects of mutilating hand injuries", Hand Clinics, Vol. 19, No. 1, pp.41-49,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749-0712(02)00056-2 

  2. S. D. Hannah, "Psychosocial Issues after a Traumatic Hand Injury: Facilitating Adjustment", Journal of Hand Therapy, Vol. 24, No. 2, pp.95-103, 2011. DOI: http://dx.doi.org/10.1016/j.jht.2010.11.001 

  3. K. Schoneveld, H. Wittink, & T. Takken, "Clinimetric evaluation of measurement tools used in hand therapy to assess activity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Hand Therapy, Vol. 22, No. 3, pp.221-35, 2009. DOI: http://dx.doi.org/10.1016/j.jht.2008.11.005 

  4. U. Guzelkucuk, I. Duman, M. A. Taskaynatan, & K. Dincer, "Comparison of therapeutic activities with therapeutic exercise in the rehabilitation of young adult patients with hand injuries", Journal of Hand Surgery, Vol. 32, No. 9, pp.1429-1435, 2007. DOI: http://dx.doi.org/10.1016/j.jhsa.2007.08.008 

  5. Statistics Korea. (2012). Korean Classification of Disease. Daejeon, Korea: Statistics Korea. 

  6. J. H. Carr, & R. B. Shepherd,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Butterworth-Helenemann, 2003. 

  7. J. W. Kim, S. M. Kim, & R. J. Park, "The Effects of Task-Oriented Functional Training on Stand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ol. 15, No. 4, pp.65-81, 2003. 

  8. V. Mathiowetz, Task-oriented approach to stroke rehabilitation. In G. Gillen & A. Burkhardt (Eds.), Stroke rehabilitation: A function-based approach, p.59-74, Mosby, 2004. 

  9. K. Preissner, "Use of the occupational therapy task-oriented approach to optimize the motor performance of a client with cognitive limitation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4, No. 5, pp.727-734, 2010. DOI: http://dx.doi.org/10.5014/ajot.2010.08026 

  10. M. J. Park, I. J. Yoon, & J. I. Jung, "A Comparison of Effects on Repetitive Singular Exercise and Task Oriented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9, No. 4, pp.1-13, 2011. 

  11. J. Case-Smith, "Outcomes in hand rehabilitation using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7, No. 5, pp.499-506, 2003. DOI: http://dx.doi.org/10.5014/ajot.57.5.499 

  12. S. Flinn, & C. Jones, "The Use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to manage behavioral changes in hand injured clients", Journal of Hand Therapy, Vol. 24, No. 2, pp.140-146, 2011. DOI: http://dx.doi.org/10.1016/j.jht.2010.08.008 

  13. J. R. Siegert, & J. W. Taylor, "Theoretical aspects of goal-setting and motivation in rehabilita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26, No. 1, pp.1-8, 2004. DOI: http://dx.doi.org/10.1080/09638280410001644932 

  14. H. S. Lee, K. Y. Chang, M. Y. Jung, I. S. Ku, & H. S. Woo,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2, No. 2, pp.89-112, 2014. DOI: http://dx.doi.org/10.14519/jksot.2014.22.2.07 

  15. N. Pollock, "Client-centered assess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47, No. 4, pp.290-301, 1993. DOI: http://dx.doi.org/10.5014/ajot.47.4.298 

  16. M. Law, S. Baptiste, A. Carswell, M. McColl, H. Polatajko, & N. Pollock,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3rd ed.), CAOT publications ACE, 1988. 

  17. S. Solway, D. E. Beaton, S. McConnell, & C. Bombardier, The DASH Outcome Measure User's Manual (2nd ed.), Institute for Work & Health, 2002. 

  18. J. Y. Lee, J. Y. Lim, J. H. Oh, & Y. M. Ko,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clinical evalu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disabilities of arm, shoulder, and hand outcome questionnaire(K-DASH)", The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 Vol. 17, No. 4, pp.570-574,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se.2007.12.005 

  19. Occupational & Hand Therapy. Hand therapy and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go hand in hand [Internet]. : Occupational & Hand Therapy, Available From http://www.occuhand.com (accessed Dec., 20, 2013) 

  20. D. Amini,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work-related injuries and conditions of the forearm, wrist, and hand: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5, No. 1, pp.29-36, 2011. DOI: http://dx.doi.org/10.5014/ajot.2011.09186 

  21. J. S. Kim, D. S. Jeong, & J. Choe, "A Study on the Incidence of Acute Hand Inj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Hand Surgery, Vol. 7, No. 1, pp.68-75, 2002. 

  22. J. I. Kwak, S. S. Bae, B. G. Hwang, H. B. Kim, D. U. Han, & H. S. Lee, "A Survey on the Hand Injury Patients of Physical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ol. 13, No. 1, pp.88-99, 2001. 

  23. S. S. Bae, J. I. Kwak, & G. HwangBo, "Physical Therapy at Early Stage for Return to Work in The Hand Inju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ol. 11, No. 2, pp.11-20, 1999. 

  24. D. L. Hart, S. Tepper, & D. Lieberman, "Changes in health status for persons with wrist and hand impairments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or physical therap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5, No. 1, pp.68-74, 2001. DOI: http://dx.doi.org/10.5014/ajot.55.1.68 

  25. J. Chan, & J. Spencer, "Adaptation to hand injury: an evolving experie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8, No. 2, pp.128-139, 2004. DOI: http://dx.doi.org/10.5014/ajot.58.2.128 

  26. J. H. Jung. "The effect of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on Upper Extremity,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09 

  27. S. S. Shin,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troke Rehabilitation Services", Docto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2005. 

  28. S. J. Park, & S. Y. Ba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ADL Performance, Balance and Satisfa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0, No. 2, pp.1-11, 2012. 

  29. H. L. Kim, "A Study on the Physic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Service to the Hand Injury Patients of Industrial Accident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