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방적 상황에서 과학적 문제 만들기 활동이 예비교사의 과학적 문제발견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en-Situation Scientific Problem-Making Activity on the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1, 2015년, pp.109 - 119  

황요한 (경북대학교) ,  박윤배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개방적 상황에서 과학적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문제발견능력이 어떻게 향상되는지를 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교육학부 1학년 세 반을 훈련에 참여한 정도를 기준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한 반을 실험집단 1로, 비적극적으로 참여한 반을 실험집단 2로, 참여하지 않은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편성하였다. 문제 만들기 훈련을 위해 활동지를 제작하여 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하였는데, 예비교사들은 7주간 한 주에 하나의 궁금증을 찾아 활동지를 작성하였고,연구자와 교수가 매주 피드백 해주었다. 또한 문제 만들기 훈련이 문제 발견능력에 주는 영향을 보기 위해 개방적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검사지를 개발하여 훈련 전후 문제발견능력을 측정하였다. 훈련 간 문제 만들기 활동지의 지속적인 작성과 피드백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발견하는 문제의 수준이 높아지고 다양해졌으며, 검사결과 발견한 문제의 양과 질에서 실험 집단 1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질적 검사 항목 중 독창성, 정교성, 검증 가능성, 변인의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 집단 2는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는데, 이것으로 보아 훈련에 임하는 태도가 문제발견능력의 향상과 상관이 있다고 짐작할 수 있다. 전체적인 결과로 보아 지속적인 문제 만들기 훈련과 피드백은 예비교사들의 문제발견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is improved through open-situation scientific problem-making activity. We organized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by degree of participation. The 1st experimental group is an actively par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e(2006)는 탐구 문제발견을 어떻게 설명하였나? 그 중 문제 상황을 실험실 환경에서의 실험 활동과 관련된 상황으로 제한하면 “주어진 문제 상황에서 호기심과 민감성을 바탕으로 새롭고 가치 있는 과학탐구문제를 생성하고, 그 문제를 정교하게 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기도 한다(Ryu & Park, 2008a). 또한 Lee(2006)는 탐구상황에서의 ‘탐구 문제발견’을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제공된 문제 상황에서 탐구하기 위한 심도 깊은 질문과 새로운 문제를 형성하고 구성, 창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고, Kim(2006)은 생소한 상황에서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탐구의 방향을 지워주는 탐구 문제를 제안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일반적인 문제와 달리 과학적 문제나 의문에 대해 과학철학자들은 어떻게 설명하였나? 문제발견에서 과학적 문제나 의문은 일반적인 문제와 그 정의에서 조금 차이가 있다. 과학철학자들은 과학적인 문제, 즉 ‘과학적 탐구 문제(scientific inquiry problem)’는 단순히 이해를 위한 질문(question)이 아니라 주어진 어떤 상황에서 탐구 혹은 조사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문제라고 정의하였다(Brugman, 1995). Kim(2006)은 ‘과학적 증거를 생성할 수 있거나 증거를 수집하는 활동을 요구하는 과업’이라고 정의하였다.
문제발견은 무엇인가? 이렇게 의문을 품는 과정을 ‘문제발견’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제공된 문제 상황에서 문제를 형성하고 창조하기 위한 행동, 태도, 사고 과정을 말한다(Lee, 2005). Hoover & Feldhusen(1990)은 문제발견을 문제해결의 초기 단계에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으나, 일반적으로 문제발견은 창의적 사고 과정의 첫 단계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문제 인식, 문제 재정의 등의 형태로 계속적으로 일어난다고 보고 있다(Getzels & Csikszentmihalyi, 1976; Runco,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rugman, G. B. (1995). The discovery and formulation of problems. European Education, 27(1), 38-57. 

  2.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on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3. Choi, O. (2007). The patterns, contents and backgrounds of experience of scientific questions genera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ily life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4. Dillon, J. T. (1982). Problem finding and solv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6(2), 97-111. 

  5. Getzels, J. W., & Csikszentmihalyi, M. (1976). The creative vi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blem finding in art. New York: John Wiley. 

  6. Gott, R., & Duggan, S. (1995). Investigative work in the science curriculum.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7. Hah, J. (2003). A Study of the Relations among Problem Finding,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99-115. 

  8. Hoover, S. M., & Feldhusen, J. F. (1990). The scientific hypothesis formulation ability of gifted ninth-grad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4), 838-848. 

  9. Hwang, Y., & Park, J.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NP model for the enhancing creativity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3), 847-866. 

  10. Jeong, J., & Kim, H. (2013). An analysis of the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process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1), 123-145. 

  11. Jeong, S., Choi, H., & Yang, I. (2011). Analysis on the complexity of scientific reasoning dur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en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3), 379-393. 

  12. Jeoung, J. (1996). Measurement on science process skills of elementary upper graders using 3-dimensional assessment framework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13. Jung, H., Cho, S., Seo, H., Shin, M., & Heo, N. (2004).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self-directed research ability of the gifted. A study on consignment CR2003-43.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4. Kim, J. (2000). Case analysis on the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tting scientific inquiry proble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Kim, J. (2006). How to guide problem set-up in science inqui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16. Kwak, Y. (1999).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CAI)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s science and their ability to pursue the subject (Master's thesis).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7. Kwon, Y., Choi, S. Park, Y., & Jeong, J. (2003). Scientific thinking types and processes generated in inductive inquiry b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3), 286-298. 

  18. Lee, H. (2005). An analysis on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variables to problem finding in ill and moderately structured problem situation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8(2), 123-148. 

  19. Lee, H. (2006). Gender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ility to identify scientific problem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4), 419-429. 

  20. Lee, H., Jeong, J., Park, K., & Kwon, Y. (2004). Types of scientific questions generated in observational activity by elementary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5), 1018-1027. 

  21. Lee, H., Park, K., & Kwon, Y. (2005). Type of thinking and generating processes of causal questions appeared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bservation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3), 249-258. 

  22. MEST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361 [separate volume 9]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23. Noh, K., & Kim, H. (1996).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nceptions about dissolution according to scientific and everyday contex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5(2), 233-250. 

  24. Runco, M. A. (1994).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Norwood, NJ :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5. Ryu, S. (2008). Analysis of problem-finding activ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finding and problem solving of the scientificallygift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6. Ryu, S., & Park, J. (2008a).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2), 139-149. 

  27. Ryu, S., & Park, J. (2008b).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find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chemistry.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2(2), 179-185. 

  28. Shin, H., & Kim, H. (2010).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tudents' views about difficulties on open science 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3), 262-276. 

  29. Song, J. (1997). Review and analysis of the studies on context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7(3), 273-288. 

  30. Starko, A. J. (2000). Finding the problem finders: Problem finding and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talent. In R. C. Friedman & B. M. Shore(Eds.), Talents unfolding: Cognition and develop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1. Yun, K. (2004). Differences in problem finding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the average students, and the analysis of variables effecting problem find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