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결과지표에 영향을 주는 요인: 다변량 회귀분석과 다수준분석 비교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Indicators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5 no.1, 2015년, pp.31 - 39  

김선희 (한림성심대학교 의무행정과) ,  이해종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son of the results between regression and multi-level analysis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outcome indicators (in-hospital death, length of stay, and medical charges) of stroke patients. Methods: By using patient sample data of Health Insurance R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변량 회귀분석과 다수준분석에 동일한 변수를 적용하여 분석을 한 후 두 분석방법에 의한 결과의 차이와 적절한 모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변수들의 추정된 모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독립변수 간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r<0.
  • 병원과 같은 집단 수준의 요인에 의해 달라짐을 예측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결과지표에 대해 환자 수준과 병원 수준을 반영한 실증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단일 수준으로 분석하는 기존의 회귀분석과 환자 수준과 병원 수준을 모두 고려한 다수준분석을 통해 두 방법론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동일한 조직 즉, 집단에 속한 개인들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분석단위의 독립성 가정이 의심받게 되며, 가설의 검정의 타당성에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둘째, 일반적인 연구모형에서는 각 변수가 결과지표에 영향을 주는 크기는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회귀계수로 값을 추정한다. 이것은 예측변수가 뇌졸중의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환자의 특성이나 병원의 특성에 관계없이 각 변수가 결과지표에 영향력이 동일하다는 가정인데 이는 비현실적이다.
  • 둘째, 일반적인 연구모형에서는 각 변수가 결과지표에 영향을 주는 크기는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회귀계수로 값을 추정한다. 이것은 예측변수가 뇌졸중의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환자의 특성이나 병원의 특성에 관계없이 각 변수가 결과지표에 영향력이 동일하다는 가정인데 이는 비현실적이다. 셋째, 계층구조에 대한 연구에서는 항상 공상관 요인(confounding factors)이 집단 및 개인 수준에서 존재하며, 이런 변수의 영향은 연구모형에서 통제되어야 하는데, 기존의 연구모형에서는 동시에 여러 계층의 변수를 통제할 수가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병 치료의 결과를 평가에 사용되는 지표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질병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망률, 재입원, 합병증, 재원일수, 진료비용, 환자의 만족도, 감염률 등이 결과의 척도로 자주 사용된다. 특히 사망률, 재원일수, 진료비는 환자에게 중요한 정보일 뿐만 아니라 보건 관련 의사결정을 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3].
뇌혈관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뇌혈관질환은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2위에 해당하며, 장애 발생률이 높고 의료비 부담도 많은 질환이다. 뇌졸중은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 2011년 요양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는 555,323명, 진료비는 10,201억 원으로 2005년 대비 각각 25.
사망률, 재원일수, 진료비가 보건 관련 의사결정에 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사망률, 재원일수, 진료비는 환자에게 중요한 정보일 뿐만 아니라 보건 관련 의사결정을 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3]. 환자에게는 진료의 질 지표로써의 역할을 하고, 병원에게는 조직운영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병원 자원이용의 정확한 정보는 병원경영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tatistics Korea. 2011 Death cause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2.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Comprehensive quality report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2012.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3. Appelros P. Prediction of length of stay for stroke patients. Acta Neurol Scand 2007;116(1):15-19. DOI: http://dx.doi.org/10.1111/j.1600-0404. 2006.00756.x 

  4. Kim KH, Choi BR, Park CS. A study on stroke assessment indicators expansion.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5. Birkmeyer JD, Siewers AE, Finlayson EV, Stukel TA, Lucas FL, Batista I, et al. Hospital volume and surgical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N Engl J Med 2002;346(15):1128-1137. DOI: http://dx.doi.org/10.1056/nejmsa012337 

  6. Saposnik G, Baibergenova A, O'Donnell M, Hill MD, Kapral MK, Hachinski V, et al. Hospital volume and stroke outcome: does it matter? Neurology 2007;69(11):1142-1151. DOI: http://dx.doi.org/10.1212/01.wnl.0000268485.93349.58 

  7. Bardach NS, Zhao S, Gress DR, Lawton MT, Johnston SC. Association between subarachnoid hemorrhage outcomes and number of cases treated at California hospitals. Stroke 2002;33(7):1851-1856.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019126.43079.7b 

  8. Svendsen ML, Ehlers LH, Ingeman A, Johnsen SP. Higher stroke unit volume associated with improved quality of early stroke care and reduced length of stay. Stroke 2012;43(11):3041-3045. DOI: http://dx.doi.org/10.1161/STROKEAHA.111.645184 

  9. Lin HC, Xirasagar S, Chen CH, Lin CC, Lee HC. Association between physician volume and hospitalization costs for patients with stroke in Taiwan: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Stroke 2007;38(5):1565-1569. DOI: http://dx.doi.org/10.1161/strokeaha.106.474841 

  10. Ovbiagele B. Nationwide trends in in-hospital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stroke. Stroke 2010;41(8):1748-1754. DOI: http://dx.doi.org/10.1161/STROKEAHA.110.585455 

  11. Reeves MJ, Gargano J, Maier KS, Broderick JP, Frankel M, LaBresh KA, et al. Patient-level and hospital-level determinants of the quality of acute stroke care: a multilevel modeling approach. Stroke 2010;41(12):2924-2931. DOI: http://dx.doi.org/10.1161/STROKEAHA.110.598664 

  12. Reed SD, Blough DK, Meyer K, Jarvik JG. Inpatient costs, length of stay, and mortality for cerebrovascular events in community hospitals. Neurology 2001;57(2):305-314. DOI: http://dx.doi.org/10.1212/wnl.57.2.305 

  13. Smith EE, Shobha N, Dai D, Olson DM, Reeves MJ, Saver JL, et al. Risk score for in-hospital ischemic stroke mortality derived and validated within the Get With the Guidelines-Stroke Program. Circulation 2010;122(15):1496-1504. DOI: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9.932822 

  14. Lee KS, Lee SI. Does a high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volume always have a low in-hospital mortality rate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6;39(1):13-20. 

  15. Elixhauser A, Steiner C, Harris DR, Coffey RM. Comorbidity measures for use with administrative data. Med Care 1998;36(1):8-27. DOI: http://dx.doi.org/10.1097/00005650-199801000-00004 

  16. Bottle A, Aylin P. Comorbidity scores for administrative data benefited from adaptation to local coding and diagnostic practices. J Clin Epidemiol 2011;64(12):1426-1433. DOI: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11.04.004 

  17. Lieffers JR, Baracos VE, Winget M, Fassbender K. A comparison of Charlson and Elixhauser comorbidity measures to predict colorectal cancer survival using administrative health data. Cancer 2011;117(9):1957-1965. DOI: http://dx.doi.org/10.1002/cncr.25653 

  18. Chu YT, Ng YY, Wu SC. Comparison of different comorbidity measures for use with administrative data in predicting short- and long-term mortality. BMC Health Serv Res 2010;10:140. DOI: http://dx.doi.org/10.1186/1472-6963-10-140 

  19. Sharabiani MT, Aylin P, Bottle A. Systematic review of comorbidity indices for administrative data. Med Care 2012;50(12):1109-1118. DOI: http://dx.doi.org/10.1097/MLR.0b013e31825f64d0 

  20. Son CK, Do SR, Jang YS, Choi JS, Chung YH, Kim NS, et al. In-depth analysis of patient survey in 2009.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21. Min IS, Choi PS. Advanced panel data analysis. Seoul: Jiphil Media; 2012. 

  22. Hox JJ. Multilevel analysi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New York: Routledge; 2010. 

  23. Singer JD, Willett JB.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4. Lee JY, Kang SJ, Bang HN, Lee MJ, Park KS, Eun KS, et al. Advanced quantitative methods in social science. Seoul: Seoul University Press; 2013. 

  25. Kang SJ, Chun MJ, Chang JH. A comparative analysis of humanities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3 level multi-level analysis. Proceedings of the 1st KEEP Conference Dissertation; 2005. 

  26. Heck RH, Thomas SL. An Introduction to multilevel modeling techniques. 2nd ed. New York: Routledge;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