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판매 농산물 잔류농약 실태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on Agricultural Products Sold via Online Website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9 no.1, 2015년, pp.22 - 31  

박덕웅 (광주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 ,  김애경 (광주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 ,  김태순 (광주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 ,  양용식 (광주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 ,  김광곤 (광주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 ,  장길식 (광주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 ,  하동룡 (광주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 ,  김은선 (광주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 ,  조배식 (광주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4년도 온라인으로 판매되고 있는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와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총 124건의 농산물(엽채류 98건, 엽경채류 26건)을 2014년도 3월부터 8월까지 6차례 20곳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무작위로 수거 및 전처리 후 GC-ECD/NPD와 LC-MS/MS를 사용하여 208종의 농약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깻잎, 깻순, 부추, 쑥, 열무, 대파, 취나물 7종 11건(8.9%)의 농산물에서 11종의 농약 19건이 검출되었다. 농산물 중 2건(깻순, 쑥)에서는 잔류허용기준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의 EDI(Estimated daily intake)와 ADI(Acceptable daily intake)를 비교하여 안전성 평가를 시행한 결과 %ADI가 100%를 넘는 대상은 없었으나 클로로타로닐이 잔류허용기준치 이상 검출된 깻순에서는 95.7%의 결과를 보이는 등 안전성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국가 농산물 잔류농약 안전성 검사 정책 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onitor the current status of pesticide residues in selling agricultural products via online and assessed their safety in 2014. A total of 124 samples were purchased six times from March to August 2014 twenty online shopping malls randomly. These samples were analysed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 시료는 2014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에 수록된 최근 3년 전국 부적합 현황을 참고하여 엽채류와 엽경채류의 농산물을 선정하였고, 위해성 평가는 본 연구 과정 중에 검출된 농약의 잔류량, 일일식품섭취량, 작물별 최대허용기준, 노출량 등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온라인으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의 안전성 실태를 파악하고 앞으로 국가적 농산물 안전성 검사 체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곳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 및 수거한 농산물 22종 124건을 대상으로 GC-ECD, NPD와 LC-MS/MS로 동시 다성분 분석 가능한 농약 208종 분석과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 시료는 2014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에 수록된 최근 3년 전국 부적합 현황을 참고하여 엽채류와 엽경채류의 농산물을 선정하였고, 위해성 평가는 본 연구 과정 중에 검출된 농약의 잔류량, 일일식품섭취량, 작물별 최대허용기준, 노출량 등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b) Acceptable daily intak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거래의 단점은 무엇인가? 특히, 온라인을 통한 농산물 거래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거래하는 채널로도 이용되어 재래식 유통과 비교하면 판매 과정을 대폭 축소하고, 저비용으로 상품을 홍보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농가의 수취가격 향상과 유통이윤의 절감 효과가 기대되며 농산물 유통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되고있다(Kim and Kim 2004).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거래는 편리하지만 소비자가 물건을 직접 확인하고 구매할 수 없어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취약한 구조에 놓여 있고 소비자가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 
전자상거래란 무엇인가?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EC)는 전자거래의 방법으로 상행위하는 것으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형태의 거래를 일컫는다. 1989년 탄생한 전자상거래는 전 세계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하게 응용되기 시작, PC와 이용자들이 확산되면서 전자상거래 시장이 더욱급속도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Park and Choi 2006).
Chlorothalonil의 이용 범위는? Chlorothalonil은 유기염소계 살균제로서 4급 저독성, 어독성 1급 농약이다. 과일, 야채, 화초류, 벼 및 골프장의 잔디 관리 등에 사용된다. Chlorothalonil의 살균 효과는 병원균의 체내에 있는 아미노산이나 단백질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hanti, M. and A. Taneja (2007) Contamination of vegetables of different seasons with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and related health risk assessment in northern India. Chemosphere, 69:63-68. 

  2. Chun, O. K. and H. G. Kang (2003) Estimation of risks of pesticide exposure, by food intake, to Koreans. Food Chem Toxicol, 41:1063-1076. 

  3. Clough, J. M. and C. R. A. Godfrey (1996) Azoxystrobin: A novel broad-spectrum systemic fungicide. Pesticide Outlook, 7:16-20. 

  4. FAO/WHO (2004) Available at: http://www.codexalimentarius.org. 

  5. Jap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MOE, 2005) Chemical fact sheet-Chlorothalonil. 

  6. Kim, D. W. and G. D. Kim (2004) Performance Analysis of agricultural products e-commerc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7:93-109. 

  7. Kofoet, A. and M. Fink (2007) Development of Peronospora parasitica epidemics on radish as modelled by the effects of water vapour saturation deficit and temperature. Eur. J. PlantPathol, 117:369-381. 

  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4) Development of Improved a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of residual pesticides in food. 

  9. Kuhn, P. J., D. Pitt, S. Lee, G. Wakley and A. Sheppard (1991) Effects of dimethomorph on the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phytophora. Mycol. Res. 95:333-340. 

  10. Lemus, R. and Abdelghani, A. (2000) Chlorpyrifos: An Unwelcome Pesticide in Our Homes. Rev. Environ. Health. 15(4):421-33.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3) Food Code. pp.9-4-10-9-4-19.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3) Pesticide MRLs in Food, pp. 2.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4) Food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pp. 651-652. 

  14. Park, S. W. and C. J. Choi (2006)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of Electronic 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by using e-SERVQUAL. Korean J. Intl. Agri, 18(4):297-303. 

  15. Seung, H. J., S. K. Park, K. T. Ha, O. H. Kim, Y. H. Choi, S. J. Kim, K. A. Lee, J. I. Jang, H. B. Jo and B. H. Choi (2010)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J. Fd Hyg. Safety, 25(2):106-117. 

  16. Taylor, P. (1985) Anticholinesterase agents. In:A. G, Gilman, L. S. Goodman, T. W. Rall, F, Murad,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seventh ed. Macmillan, New York, pp. 110-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