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방사적 DEA 모형을 활용한 외항해운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Efficiency Analysis of Ocean Shipping Lines Using Non Radial DEA Model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1 no.1, 2015년, pp.37 - 49  

이태휘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여기태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외 유명 해운경제학자들의 주장에 의하면 해운기업의 대형화, 선박의 대형화가 고정비용을 절감하고 규모의 경제실현에 도움이 된다고 일관되게 주장한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에서 유동성 위기를 겪는 한진해운, 대한해운, STX팬오션 등은 대형기업에 속하며, 우리나라에서 유동성위기는 대형기업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외항해운기업의 규모경제 혹은 비경제 여부를 파악하고, 향후 해운기업이 대형화 혹은 집중화 전문화해야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검토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BM-DEA 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적용하였으며, 2013년 매출액 상위 기업 중 보유 선박 증가량을 보인 기업을 최종 DMU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CRS 기준, 한진해운, 고려해운, 코리아LNG트레이딩, 유코카캐리어스, 시노코탱커가 우수한 효율성을 보였고, VRS기준, 한진해운, 고려해운, 코리아LNG트레이딩, 대림코퍼레이션, 중앙상선, 시노코탱커, 유코카캐리어스가 우수한 효율성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항해운기업의 향후 경영전략을 대형화 혹은 집중화 전문화해야하는지에 대한 귀중한 좌표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outstanding maritime economists from domestic and overseas, shipping lines or ships' enlargement reduce fixed costs, and assist realization of scale of economy of shipping. On the contrary, recent Korean liquidity crisis on the shipping lines (SL) has been focused on the leading compa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방사 모형의 가장 큰 특징은 투입지향 혹은 산출지향을 가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고, 모든 투입 (산출)을 비율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증대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BM-DEA 모형을 중심으로 비방사 모형의 특징을 더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우리나라 외항해운기업의 규모경제 혹은 비경제 여부를 파악하고 두 번째, 향후 해운기업이 대형화 혹은 집중화·전문화해야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검토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이상의 상황을 미루어볼 때 최근의 해운산업 환경변화와 해운의 규모경제와는 역(-) 혹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언급한 해운산업의 환경변화와 해운의 규모의 경제와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CCR, BCC모형으로 대표되는 방사적 모형의 한계를 극복한 비방사 DEA 모형, SBM(Slack Based Measur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외항해운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분석 결과, 평균수입이 평균비용보다 낮아 선사의 채산성 악화가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최대적재능력에 가까운 적재율을 달성하고 대형선박을 투입한다면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어 컨테이너 연안운송이 재개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 이정동 외(2012)는 DMU의 개수가 투입 변수의 개수와 산출변수의 합에 2 또는 3을 곱한 수보다 커야한다고 주장한다. 이렇듯 DMU의 적정한 수에 대한 학자들간의 의견이 일치하지 못한 상황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 제시한 세 연구의 기준을 충족하는 바, DMU 수의 적정성을 확보하였다고 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즉, 기업·선대 규모면에서 대형 기업이 중·소형 기업보다 효율이 높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규모의 경제는 어떤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가? 규모의 증가에 따라 매입비용의 감소, 관리자 및 노동의 전문성 확보에 따른 비용 감소, 은행차입 시 낮은 이자율 적용, 그리고 생산물 단위당 광고비 인하와 선진 기술채택 등으로 인해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즉, 규모의 경제는 생산물 증가에 따른 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규모의 경제는 무엇인가?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란 생산이 증가할수록 단위 비용(총비용/산출물)이 감소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규모의 경제는 고정비용이 클 수록 생산물의 증가에 고정비용이 배분되어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전 세계 주요 선사와의 인터뷰를 토대로 Cullinane and Khanna는 해운산업의 구조 변화에 대한 이유를 무엇이라 하였는가? 전 세계 주요 선사와의 인터뷰를 토대로 Cullinane and Khanna(1999)는 최근 해운산업의 구조 변화에 대한 이유를 다섯 가지로 요약·제시하였다. 즉, 1) 선형의 규모경제를 통한 경쟁력 확보, 2) 메가 얼라이언스를 통한 선박운영의 독립성 강화, 3) 컨테이너 교역량의 꾸준한 증가에 대한 기대, 4) 항만의 생산성 향상, 5) 낙후된 선박의 교체 시점 도래를 통하여 구조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정기선 시장에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지 못한 기업은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는 상황에 놓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범석.임병학.이상원(2012), "BSC와 DEA를 이용한 해운선사의 다단계 효율성 측정 및 벤치마킹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제22권, 5-30. 

  2. 고대경.우수한.강효원(2014), "DEA를 활용한 해운.물류 기업의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권, 93-112. 

  3. 권영훈.최동길(2011), "DEA를 활용한 저가 항공사와 대형 항공사의 효율성 비교 분석", 한국비즈니스리뷰, 제4권, 59-79. 

  4. 김양숙.윤문길(2008), "DEA 모형을 이용한 항공사 운용 효율성 분석체계 연구", 산업과 경영, 제15권, 15-29. 

  5. 김제철.이영수(2004), "동북아지역의 주요 항공사들의 기술적 효율성 및 결정요인 분석", 산업조직연구, 제12권, 1-32. 

  6. 김형태(2009), "해운기업의 대형화와 owner-operator 분리 체제", 해운과 경영, 제1권, 1-5. 

  7. 남언욱.안영모.남기찬(2014), "케미컬탱커 운영 특성 분석 ", 해운물류연구, 제30권, 741-758. 

  8. 류동근(2005), "국내 컨테이너 전용터미널의 효율성 비교: DEA 접근", 해운물류연구, 제47권, 21-38. 

  9. 모수원.김창범(2004), "해운산업의 생산함수 추정", 해운물류연구, 제40권, 39-55. 

  10. 박광서.구종순.황경연(2012), "한국과 해외 주요 해운선사의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DEA와 Malmquist 생산성지수 활용-" 해운물류연구, 제28권, 507-535. 

  11. 박노경(2010), "국내항만투자의 효율성 및 적정 투자규모 예측을 위한 모형개발 및 실증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권, 18-41. 

  12. 박용안.최기영(2009), "컨테이너 연안운송의 비용구조와 경제적 제약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321-338. 

  13. 박홍균(2010), "글로벌물류기업의 효율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권, 19-35. 

  14. 박홍균(2011), "SBM을 이용한 글로벌 물류기업의 정보시스템 성과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37-49. 

  15. 방희석.강효원(2011), "DEA를 활용한 글로벌해운선사의 효율성측정",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213-234. 

  16. 소순후(2011), "비방사적 SBM모형을 이용한 지역전략산업 기술 개발투자의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4권, 1169-1188. 

  17. 윤종혁.오용식(2014), "해운시황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규모의 경제 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0권, 879-896. 

  18. 이덕선(2014), 케이블TV산업의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에 관한 실증분석,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상규.이종철(2009), "대량화물 운송시장 진입규제의 경제적 효과", 해운물류연구, 제25권, 509-537. 

  20. 이정동.오동현, "효율성 분석이론-DEA 자료포락분석법", 지필미디어. 

  21. 전영인.민경창.하헌구(2013), "방사적 및 비방사적 접근법을 이용한 국내공항의 효율성 분석", 대한교통연구, 제31권, 11-19. 

  22. 조윤기(2006), "한중일 컨테이너항만의 효율성 비교 분석", 동북아경제연구, 제18권, 1-22. 

  23. 최기영.박용안(2009), "한국 해운산업 구조조정 및 경쟁력 제고정책에 대한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25권, 487-507. 

  24. 하영석.이명헌(2004), "해운선사의 효율성 및 생산함수 특성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43권, 1-16. 

  25. 하영석(1994), "외항해운기업의 비용구조와 비용의 규모탄력성", 해운물류연구, 제18권, 109-128. 

  26. 하영석(2014), "한국해운산업의 위기극복사례 비교연구-해운산업합리화 조치, IMF 구제금용과 글로벌 금융위기-", 해운물류연구, 제28권, 143-167. 

  27. 하헌구.최아영(2007), "우리나라 물류산업의 효율성 분석: DEAANP(Data Envelopment Analysis-Analytic Network Process)의 적용",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55-63. 

  28. 한종길(2005), "대량화물의 장기적 거래관계 구축을 통한 일본 선화주의 공생관계", 해운물류연구, 제44권, 1-15. 

  29. 한종길(2002), "성장기 일본 해운정책의 결정과정에 대한 고찰", 해운물류연구, 제36권, 25-45. 

  30. Bang, H., Kang, H., Martin, J., & Woo, S.(2012), "The impact of operational and strategic management on liner shipping efficiency: a two-stage DEA approach," Maritime Policy & Management, 39, 653-672. 

  31. Banker, R., Charnes, A., & Cooper, W.W.,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 1078-1092. 

  32. Boussofiane, A., R.C. Dyson, & E.(1991) Thanassoulis, " Applied Data Envelopment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32, 1-15. 

  33. Cullinane, L., & Khanna, M.(1999), "Economies of scale in large containerships: optimal size and geographical implication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8, 181-195. 

  34. Cullinane, L., & Khanna, M.(2000), "Economies of scale in large containerships," Journal of Transport Economies and Policy, 33, 185-208. 

  35. Gilman, S.(1983), The Competitive Dynamics of Liner Shipping, Aldershot: Gower. 

  36. HA, Y., & SEO, J.(2013), "An Anlysis of Market Concentration in the Korean Liner Shipping Industry,"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29, 249-266. 

  37. Jasson, J., & Shneerson, D.(1987), Liner Shipping Economics, London: Champman and Hall. 

  38. Lin, W., Liu, C., & Liang, G.(2010), "Analysis of dept-paying ability for a shipping industry in Taiwan,"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4, 77-82. 

  39. Stopford, M.(2009), Maritime Economists, 3rd edition, Routledge. 

  40. Tone, K.(2001), "A Slack-Based Measure of Efficiency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30, 498-509. 

  41. Wang, G., Woo, S., & Mileski, J.(2014), "The relative efficiency and financial risk assessment of shipping companie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41, 651-666. 

  42. Wu, W., & Lin, J.(2015), "Productivity growth, scale economies, ship size economies and technical progress for the container shipping industry in Taiwa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Review, 73,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