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MR의 자발적 약물부작용보고 시스템을 이용한 한약약물유해반응 분석
Analysis of Herbal-drug-associated Adverse Drug Reactions Using Data from Spontaneous Reporting System 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36 no.1, 2015년, pp.45 - 60  

김미경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  한창호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reporting and characteristics of adverse drug reactions (ADRs) induced by herbal drugs and to make a suggestion for the domestic pharmacovigilance system on herbal medicine. Methods: We carried out a hospital-based observationa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후 저자들은 실제로 약물감시사업의 인과성평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선행 연구 때 보고된 사례 이외에 지속적으로 좀 더 많은 수의 한약약물유해반응 사례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을 평가 분석하는 과정에서 평가자간의 인과성평가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시스템상 부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여 수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양질의 한약약물유해반응 자료를 확보하고 분석할 수 있었는바 그 결과를 보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약의 약물감시제도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물감시란 무엇인가? 약물감시(Pharmacovigilance)란 약물유해반응(Adverse Drug Reaction, ADR)을 탐지 평가 해석하여 약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과학적 연구 및 활동을 말하며9) , 약물유해반응의 조기발견 및 효과적 예방을 위한 약물감시제도의 대표적 수단 중 하나가 자발적부 작용신고제도이다10) . 우리나라의 경우, 1988년부터 자발적부작용보고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제약회사와 약사의 경우 약물 시판 후 발생한 부작용 보고를 의무화하고 있다.
자발적부 작용신고제도란 무엇인가? 약물감시(Pharmacovigilance)란 약물유해반응(Adverse Drug Reaction, ADR)을 탐지 평가 해석하여 약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과학적 연구 및 활동을 말하며9) , 약물유해반응의 조기발견 및 효과적 예방을 위한 약물감시제도의 대표적 수단 중 하나가 자발적부 작용신고제도이다10) . 우리나라의 경우, 1988년부터 자발적부작용보고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제약회사와 약사의 경우 약물 시판 후 발생한 부작용 보고를 의무화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자발적 부작용 보고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이후 자발적 부작용 보고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당시 식품의약품안전청 산하에 연구사업으로 지역약물감시센터를 두고 적극적으로 약물유해반응을 수집하여 성과를 거둔바 있다. 현재는 조직이 확대된 식품의약품안전처 (이하 식약처)에 신고된 부작용을 수집 검토 평가하기 위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을 설치하였으며, 산하에 전국 25개 병원에 지역의약품안전센터를 두고, 2개의 중앙의약품안전센터를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과 대한약사회는 중앙의약품안전센터로 지정되어 지역의약품안전센터와 더불어 약물유해반응을 취합하여 관련 자료를 보고하고 있으며, 식약처뿐 아니라 세계보건기구(WHO)의 웁살라모니터링센터(Uppsala Monitoring Center, 이하 WHO-UMC)에도 제출함으로써 약물유해반응의 국제적 연구와 관리에 기여하고 있다9)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eon C, Park JS, Park S, Kweon KT, Shin Y, Ko SG. Necessity of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through the Trend of Internet News about Safety of Herbal Medicine.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2011;15(2):131-43. 

  2. Jang IS, Yang CS, Lee SD, Han CH. A Review of Herbal Medicinal Products Associated with Toxic Events in Korea. J Korean Oriental Med. 2007;28(1):1-10. 

  3. Heinrich M, Chan J, Wanke S, Neinhuis C, Simmonds MS. Local uses of Aristolochia species and content of nephrotoxic aristolochic acid 1 and 2--a global assessment based on bibliographic sourc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9;125(1):108-44. 

  4. Haller CA, Benowitz NL. Adverse Cardiovascular and Central Nervous System Events Associated with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Ephedra Alkaloid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0;343(25):1833-8. 

  5. Sato A, Toyoshima M, Kondo A, Ohta K, Sato H, Ohsumi A. [Pneumonitis induced by the herbal medicine Sho-saiko-to in Japan]. Nihon Kyobu Shikkan Gakkai zasshi. 1997;35(4):391-5. 

  6. Suk KT, Kim DJ, Kim CH, Park SH, Yoon JH, Kim YS, et al. A Prospective Nationwide Study of Drug-Induced Liver Injury in Korea. Am J Gastroenterol. 2012;107(9):1380-7. 

  7. Lee J, Son C, Lee JA, Choi J, Lee MS. Do herbal medicines negatively affect liver tests? A systematic review of Korean clinical studies on safety.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4;6(4):441-50. 

  8. Shin HK, Jeong SJ, Lee MS, Ernst E. Adverse events attributed to traditional Korean medical practices: 1999-2010. Bull World Health Organ. 2013;91(8):569-75. 

  9.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Pharmacovigilance. 2014. Available at: URL:https://www.drugsafe.or.kr/iwt/ds/ko/information/EgovDrugWatchTerm.do. Accessed February 21, 2014. 

  10. Korean Society for Pharmacoepidemiology & Risk Management. Pharmacoepidemiology. 2 ed. SNU Book. 2012:1-9, 33, 74-82, 108-121. 

  11. Kwon YJ, Cho WK, Han CH. Status of Herbal-drug-associated Adverse Drug Reactions Voluntarily Reported by EMR. J. Int. Korean Med. 2012;33(4):485-97. 

  12.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Adverse Drug Reaction Assessment Report. 1 ed.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2013:60-63. 

  13. Herbology Textbook Compilation Commitee for College of Korean Medicine, Herbology. Yeonglim. 2011. 

  14. WHO. WHO Monographs on Selected Medicinal Plants. WHO 2009. 

  15. Ryu JH. Analysis of Spontaneously Reported Adverse Drug Reactions(ADRs) and a Survey Regarding ADR from a Single Hospita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3. 

  16. Kyung EJ, Ryu JH, Kim EY. Evaluation of adverse reactions to contrast media in the hospital. 2013;86(1032):20130418. 

  17.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Terminology Guide for Reporting Adverse Drug Reactions.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2014:1-6. 

  18. Shaw D, Graeme L, Pierre D, Elizabeth W, Kelvin C. Pharmacovigilance of herbal medicin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2;140(3): 513-8. 

  19. Park JW. Spontaneous Adverse Drug Reaction Reporting Program in Korea JPERM. 2008; 1:20-4. 

  20. Woo YJ, Chung SY, Park BJ. Current Status of Spontaneous Adverse Reactions Reporting System on Herbal Medicine in China, Japan, Korea and WHO. J. Int. Korean Med. 2014; 35(2):111-8. 

  21. Kim MG, Kang HR, Kim JH, Ju YS, Park SH, Hwang YI, et al. Analysis of adverse drug reactions collected by an electronic reporting system in a single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9;77(5):601-9. 

  22. Rhew KY, Lee S. Analysi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dverse Drug Reaction Reports. Kor. J. Clin. Pharm. 2011;21(2):138-44. 

  23. Korean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The Domestic Survey on the Usage and Awareness Level of Korean Medicine. Health & Welfare Issue & Focus. 2012;140(2012-21):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