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과외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xtracurricular Coaching Programs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Leadership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1 no.2, 2015년, pp.202 - 214  

배수현 (경산1대학교 간호학과)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xtracurricular coaching program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leadership for nursing students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Methods: The 8-week extracurricular coach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Joo, Whitmore and Hong m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과 리더십 향상을 위해 개발된 코칭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계열 실험설계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도력 진단도구, 간호학 학습성과 리더십 점수 및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리더십 활동 횟수 평가를 통해 측정하였는데, 이는 일반적인 측면에서의 리더십 능력 뿐 만아니라, 간호학 학습성과 리더십 측정을 통해 간호대학생에게 요구되는 간호현장에서의 리더십 능력을 측정하고, 또한 객관적인 포트폴리오 리더십 횟수 측정을 포함하기 위해서이다.
  •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평가는 실제 상황처럼 설정된 비구조화된 학습환경 속에서 임상환자와 같은 행동 및 증상을 보이도록 준비된 환자에게 학생이 접근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계획된 학습방법으로써(Son, Moon, Lee, & Roh, 2011), 이 과정을 통해 간호학생들은 대상자와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능력을 학습하고 평가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환자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시나리오에 의해 연출된 상황에 따라 수행하고 표준화환자가 미리 개발된 체크리스트를 가지고 수행 여부의 평가를 통하여 보다 객관화된 평가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과외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추후 연구에서는 활동 횟수뿐만 아니라 단체 활동 참여정도, 참여기간 등의 리더십 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항목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교과외 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2학년과 3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리더십을 향상시키고자 시도하였다. 향후 1학년 학생의 학과 적응도, 2학년 학생의 의사소통과 협력 능력, 3학년 학생의 문제해결 능력과 리더십, 4학년 학생의 취업과 국제적 역량 등 학년별로 차별화된 학습성과를 중심으로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장기적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인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교수제를 활용한 교과외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제 1-1가설: “교과외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 능력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 · 제 1-2가설: “교과외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간호학 학습성과 의사소통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 · 제 1-3가설: “교과외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의사소통 관찰 평가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 · 제 2-1가설: “교과외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리더십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 · 제 2-2가설: “교과외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간호학 학습성과 리더십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 · 제 2-3가설: “교과외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리더십 활동 횟수가 증가할 것이다.
  • 제 1가설: “교과외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 제 2가설: “교과외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리더십이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과외 과정을 활용시 장점은 무엇인가? 대학의 교육과정은 정규 교과과정과 교과외 과정으로 구성 되어 있는데, 코칭, 상담, 멘토링, 교수와 학생의 관계, 동아리 활동, 운동 등의 교과외 과정은 정규 교과과정이 지닌 한계에서 벗어나 다양성을 보장하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 동기를 확보할 수 있다(Kim & Song, 2012). 이러한 교과외 과정을 적절히 활용하면 교과과정만으로는 보장하기 어려운 기본 소양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중에서 코칭은 한 개인이나 집단이 현재 있는 지점에서 그들이 바라는 더 유능하고 만족스러운 지점까지 나아가도록 인도하는 기술이자 행위로서, 협력적 수평적 관계를 형성하여 현재 문제에 초점을 두어 역량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과정이자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미래의 성장과 변화에 초점을 두고 인격적 발달을 돕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Hong, 2009; Whitmore, 2002).
간호사 핵심역량에 포함되는 3가지역량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한국간호교육평가원(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KABONE])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졸업 후 2~3년이 지난 시점의 간호사가 다양한 임상현장 에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간호사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는데, 여기에는 간호학의 전문지식뿐만이 아니라 일반지식에 속하는 의사소통과 협력 역량, 리더십 역량, 윤리적 책임 인식 역량 등이 포함되어 있다(KABONE, 2013). 의사소통 역 량은 간호현장에서 다양한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문제를 확인하고, 신체적 간호, 정서적 지지 및 교육과 상담을 제공 하며, 보건의료인들과 협력하고 정보를 교류하는데 필요하고 (Son, Kim, Koh, & Yu, 2011), 리더십 역량은 간호실무 수행을 위한 팀 구축에 필수적인 요인으로 급변하는 보건의료계의 변화에 혁신적으로 대응하고 간호조직이 가진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필요하다(Bae & Park, 2013). 이러한 의사소통 역량과 리더십 역량은 간호대학생이 반드시 갖추어야할 기본소양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도출한 간호사 핵심역량이란 무엇인가? 한국간호교육평가원(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KABONE])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졸업 후 2~3년이 지난 시점의 간호사가 다양한 임상현장 에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간호사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는데, 여기에는 간호학의 전문지식뿐만이 아니라 일반지식에 속하는 의사소통과 협력 역량, 리더십 역량, 윤리적 책임 인식 역량 등이 포함되어 있다(KABONE, 2013). 의사소통 역 량은 간호현장에서 다양한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문제를 확인하고, 신체적 간호, 정서적 지지 및 교육과 상담을 제공 하며, 보건의료인들과 협력하고 정보를 교류하는데 필요하고 (Son, Kim, Koh, & Yu, 2011), 리더십 역량은 간호실무 수행을 위한 팀 구축에 필수적인 요인으로 급변하는 보건의료계의 변화에 혁신적으로 대응하고 간호조직이 가진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필요하다(Bae & Park,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rews, J., & Higson, H. (2008). Graduate employability, 'soft skills' versus 'hard' business knowledge: A european study. Higher Education in Europ, 33(4), 411-422. http://dx.doi.org/10.1080/03797720802522627 

  2. Bae, S. H., & Park, J. S. (2013).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2), 203-21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203 

  3. Buckley, S., Coleman, J. Davison, I., Khan, K. S., Zamora, J., Malick, S., et al. (2009). The educational effects of portfolios on undergraduate student learning: A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11. Medical Teacher, 31(4), 282-298. http://dx.doi.org/10.1080/01421590902889897 

  4. Choi, B. M. (2011). A study on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socio-cultural, educational content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Social Science Education Studies, 13, 23-49. 

  5. Choi, C. W. (2001). A Study o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Choi, S. H. (2013). The role and future of the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onsortium. Oral presented at 2013 Yeongnam region consortium joint discuss, Daegu. 

  7. Hong, E. S.(2009). The effect of leadership coaching mediated by self efficacy on job-related performance 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8. Joo, B. K. (2005). Executive coaching: A conceptual framework from an integrative review of practice research.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4(4), 462-488. http://dx.doi.org/10.1177/1534484305280866 

  9. Ju, J. S. (2005).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0. Jung, H. U., Park, B. G., Choi, S. W., & Gang I. G. (2003). A study to develop the diagnostic scale of leadership(RR2003-15-02).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1. Kim, E. K., Kim, S. Y., Jung, M. S., Jang, K. S., Kim, J. H., Kim, J. K., et al. (2011). Current status and considerations for education in nursing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2), 238-246. 

  12. Kim, E. Y., & Song, M. H. (2012).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creativity program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Focusing on the 'creativity community'.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2(3), 29-55. 

  13. Kim, J. D. (2002).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through youth particip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1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3).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 (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15. Kunda, Z., & Oleson, K. C. (1995). Maintaining stereotypes in the face of disconfirmation: Constructing grounds for subtyping devia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565-579. http://dx.doi.org/10.1037//0022-3514.68.4.565 

  16. Lee, E. J. (2011).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in improving team leaders' leadership compet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17. Lee, H. K. (2005). Introduction coaching. Seoul: Kyobo book. 

  18. Lee, S. H. (2013). The effects of leadership coaching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leadership life skill of university students mentor volunte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19. Lee, S. J., Jang, Y. K., Lee, H. N., & Park, K. Y.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RR 2003-15-03).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 Liu, J. E., Mok, E., Wong, T., Xue, L., & Xu, B. (2007). Evaluation of an integrate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program for nurses in cancer care in Beijing, China. Nursing Research, 56(3), 202-209. http://dx.doi.org/10.1097/01.nnr.0000270030.82736.8c 

  21. Oh, Y. J. (2008).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empower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theory of transfer of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2. Park, J. H. (2010).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and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2), 202-212. http://dx.doi.org/10.5977/jkasne.2010.16.2.202 

  23. Park, S. J. (2011). Study on the effect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to improve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24. Shin, K. A., & Lee, E. S. (2011).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149-158. 

  25. Son, H. J., Moon, J. B., Lee, H. A., & Roh, H. R. (2011). Reliability of standardized patients as raters i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Journal of Academia -Industrial Technology, 12(1), 318-326.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318 

  26. Son, H. M., Kim, H. S., Koh, M. H., & Yu, S. J. (2011).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326-434. 

  27. Song, C. B., & Lee, G. W. (2007). Activation plans navigation for the dedicated advisor system in college. Journal of Kyungbuk College, 25, 137-155. 

  28. Yu, M. S. (2001).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1), 94-112. 

  29. Wasylyshyn, K. M. (2003). Executive coaching: An outcome study.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55(2), 94-106. http://dx.doi.org/10.1037/1061-4087.55.2.94 

  30. Whitmore, J. (2002). Coaching for performance: Growing people, performance and purpose (3rd ed.). Naperville, IL: Nicholas Breale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