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융복합적인 웰니스를 위한 교양체육 수업의 효과 - 체력, 비만 및 대사증후군 지표 중심으로-
Effects of Fitness Management Class for Wellness Convergence - Based on Fitness, Obese Indices, Metabolic Syndrome Factors -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5, 2015년, pp.329 - 336  

이지영 (강릉원주대학교 체육학과) ,  김명수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  이신호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복합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체력관리 수업과 일반 교양체육 수업 간에 비만도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개선 및 체력 향상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내어 융복합적인 웰니스를 위한 체력관리 수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본교 체력관리 수강 남학생 113명, 본교 교양체육 실기과목 수강 남학생 67명, 타 대학의 운동과 다이어트 및 건강관리 수업 수강 남학생 40명 총 2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비만지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건강 기술관련 체력 변인들은 세 집단 간 수업 전후의 상호작용을 검정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체력관리 수업이 본교 교양체육 수업과 타 대학 교양체육 수업보다 개인의 비만도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개선시키고 체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력관리 교양수업은 기존의 스포츠 실기 및 이론 교양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건강과 체력을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목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manage fitness management class by experimenting effects of fitness management class on obese indices,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health and skill-related fitness in university students. Progress of fitness management class by exercise prescrip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교양체육 수업의 대부분이 주 1회 2시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농구, 탁구, 배드민턴, 축구, 수영 등과 같이 기술적인 능력 습득을 목표로 개설된 교양체육 수업과 비만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개선 및 체력 향상을 수업 목표로 하는 체력관리 수업에 있어 대학생들의 건강상태(비만지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건강·기술관련 체력 향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체력관리 수업이 궁극적으로 건강증진을 추구할 수 있는 수업인지를 실험적으로 규명함과 동시에 대학생 개개인의 건강 및 체력증진을 위한 교과목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 본 연구는 이론 교양체육 수업 및 기술적인 능력 습득(농구, 탁구, 배드민턴, 축구, 수영 등)을 목표로 구성된 교양체육 수업과 비만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개선 및 체력 향상을 수업 목표로 구성된 체력관리 수업 간에 대학생들의 건강상태(비만지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및 체력 향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복합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체력관리 수업과 일반 교양체육 수업간에 비만 지표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개선 및 체력향상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내어 체력관리 수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나라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건강 및 건강증진 관련 교양교과목이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질병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는 운동기술 및 건강관련 체력 향상을 목적으로 운동과 건강, 트레이닝 방법론, 운동과 웰니스, 운동처방과 같은 이론 교양수업 및 웨이트트레이닝, 농구, 축구, 수영, 배드민턴,볼링, 골프 등의 실기 교양수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운동 관련 정보제공 및 운동기술 습득 측면에 국한될 뿐, 효과적으로 건강관련 체력을 향상시키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12,21,10,1]. 다시 말해 현재 우리나라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건강 및 건강증진 관련 교양교과목이 가지는 문제점으로는 개개인의 체력수준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 많은 수강인원으로 편성된다는 점, 운동의 효과를 얻기에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는다는 점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신체구성 변인으로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BMI), 체지방률은 각각 어떻게 측정하였는가? 신체구성 변인으로는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체지방율(percent body fat)로 하였다. 신장(cm)과 체중(kg)은 자동측정기(DS-102, Jenix,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BMI는 체중(kg)/신장(m²)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체지방률은 X-scan Body Composition Analyzer(Jawon Medical Co., Seoul,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허리둘레는 줄자를 이용하여 배꼽 아래 2cm에서 측정하였으며, 혈압은 앉은 상태에서 10분간 안정을 취한 후 자동혈압계(Fj-500R,JAWON Medical, Korea)로 2회 측정하였으며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신체활동의 효과는 무엇인가? 신체활동 부족과 비활동적인 생활방식은 비만율의 증가를 비롯한 대사증후군 및 생활습관병의 이환율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고 있고[16,27,20,17,5], 신체활동(운동)은 기초대사량의 증진, 혈압감소, 혈중 지질 개선, 인슐린 저항성 개선, 심폐체력 및 건강관련 체력 증진을 통하여 대사증후군 및 생활습관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명백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4,25,26,18,11,23,8]. 체력즉 건강관련 체력은 좌식생활로부터 오는 질병을 예방하는 생리적인 기능이고, 기술관련 체력은 건강관련 체력 이상 스포츠 활동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생리적 기능인데[19], 특히 건강관련 체력 수준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운동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 S. Kim, "A comparative studies on the curriculum and managemen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action, Vol.35, No.4, pp.336-347, 1996. 

  2.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survey of national physical fitness", 2004.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 2005. 

  4. T. Y. Son, H. S. Kang,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body fatness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young adults", Exercise science, Vol.18, No3, pp.295-306, 2009. 

  5. J. Y. Lee, S. A. Shin, D. Y. Kim, J. H. Lee, Y. Y. Lee, H. S. Kang, "Correlative Comparison of Obesity Indices and Cardiopulmonary Fitness for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exercise nutrition & biochemistry , Vol.9, No.1, pp.49-56, 2005. 

  6.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Training materials of sports for all(first class)", 2008. 

  7. AAHPERD, "A Physical fitness education and assessment program" Physical best, 1988. 

  8.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ACSM], "Position stand: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weight loss and prevention of weight regain for adults" Med. Sci. Sports Exerc, Vol.33, No.12, pp.2145-2156, 2001. 

  9.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ACSM],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seven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10. J. A. Bank, "A curriculum for empowerment action and change. In C.E.Slter(Ed)", Empowerment through Multilateral Education Albany, NY:SUNY. Press, pp.125-141, 1991. 

  11. B. A. Brehm, "Elevation of metabolic rate following exercise. Implications for weight loss", Sports Med, Vol.6, No.2, pp.72-78, 1998. 

  12. C. A. Bucher, "Administration of physical education athletic programs", Saint Louis, The C. V. Mosby Co, 1983. 

  13. C. J. Caspersen, K. E. Powell, G. M. Christenson, "Physical activity,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for health related, Public Health Report, Vol.100, pp.126-131, 1985. 

  14. C. B. Corbin, "Concepts of physical fitness and wellness with laboratories", M.W:Brown & Benchmark Publishers, 1994. 

  15. C. B. Corbin, R. Lindsey, "Concepts of physical fitness with laboratories", W.M.C. Brown Publishers, 1988. 

  16. R. A., DeFronzo, E. Ferrannini, "Insulin resistance, A multifaceted syndrome responsible for NIDDM, obesity,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Care, Vol.14, No.3, pp.173-194, 1991. 

  17. B. Gutin, Z. Yin, M. C. Humphries, W. H. Hoffman, B. Gower, P. barbeau, "Relations of fatness and fitness to fasting insulin in black and white adolescents", The Journal of Pediatrics, Vol.145, No.6, pp.737-743, 2004. 

  18. M. Hargreaves, "Skeletal muscle carbohydrate metabolism during exercise", Exercise Metabolism,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p.41-72, 1995. 

  19. D. N. Hastad, A. C. Lac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Allyn & Bacon, 1998, 

  20. G. R. Hunter, T. Kekes-Szabo, S. W. Snyder, C. Nicholson, I. Nyikos, L. Berland, "Fat distribution,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29, No.3, pp.362-369, 1997. 

  21. A. E. Jewett, C. D. Ennis, "Ecological intergration as a vaue orientation for iurricula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urriculum and Supervision, Vol.5, pp.120-131, 1990. 

  22. S. Johnson, "The effect of training frequency of aerobic dance on oxygen uptake, body composition and personality", J. Sports Med. Phys. Fitness, Vol.24, pp.290-298, 1984. 

  23. I. Kiefer, U. Kunze, N. Mitsche, M. Kunze, "Obesity in Austria: epidemiologic and social medicine aspects:, Acta. Med. Austriaca, Vol.25, No.4-5, pp.126-128, 1998. 

  24. E. T. Poehlman, H. F. Viers, M. Detzer,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restraint on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young nonobese females", Can. J. Physiol. Pharmacol., Vol.69, No.3, pp.320-326, 1991. 

  25. J. A. Romijin, E. F. Coyle, L. S. Sidossis, A. Gastaldelli, J. F. Horowitz, E. Endert, R. R. Wolfe, "Regulation of endogenous fat and carbohydrate metabolism in relation to exercise intensity", Am. J. Physio, Vol.265, pp.E380-E391, 1993. 

  26. D. R. Sinacore, E. A. Gulve, "The role of skeletal muscle in glucose transport, glucose homeostasis, and insulin resistance: implications for physical therapy", Phys. Ther, Vol.73, No.12, pp.878-891, 1993. 

  2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USDHH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