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출구 온도와 반복 압출성형이 백삼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ie Temperature and Repeated Extrus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White Ginse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6, 2015년, pp.921 - 927  

최관형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류기형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사출구 온도와 반복 압출성형이 백삼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수분 함량 20%와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을 고정시키고 독립변수로서 사출구 온도 $100^{\circ}C$, $120^{\circ}C$, $140^{\circ}C$로 1회, 2회 반복 압출성형 실험을 하였다.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사출구 온도 $140^{\circ}C$에서 1회 압출성형물이 295.0 kJ/kg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조직감 특성 중 탄성계수에서는 사출구 온도 $100^{\circ}C$에서 2회 압출성형물이 $7.53{\times}10^8N/m^2$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사출구 온도 $120^{\circ}C$에서 1회 압출성형물이 $1.78{\times}10^8N/m^2$로 가장 낮은 결과값을 나타냈다. 또한 파괴력은 사출구 온도 $100^{\circ}C$에서 2회 압출성형물이 $7.49{\times}10^5N/m^2$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사출구 온도 $140^{\circ}C$에서 2회 압출성형물이 $1.33{\times}10^5N/m^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팽화 특성에서 $120^{\circ}C$ 1회 백삼압출성형물의 직경팽화율이 $2.283{\pm}0.011$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길이 체적밀도에서는 사출구 온도 $140^{\circ}C$에서 1회 압출성형물과 사출구 온도 $100^{\circ}C$에서 2회 백삼압출성형물이 각각 $123.790{\pm}2.802m/kg$, $0.260{\pm}0.020g/cm^3$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수분흡착지수(WAI)와 수분용해지수(WSI)는 백삼압출성형물 모두 백삼분말보다 증가하였다. WAI는 1회 압출성형을 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며, 2회 압출성형을 하였을 때는 감소하였다. 또한 사출구 온도가 증가할수록 WAI도 증가하였다. WSI의 경우 WAI와 반대로 사출구 온도가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위 연구를 통하여 백삼의 압출성형 조건을 달리하여 물리적 특성의 향상과 새로운 백삼제품 및 소재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 temperature and repeated extrus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white ginseng (EWG). The di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100, 120, and $140^{\circ}C$, and extrusion was repe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with their corresp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은 사출구 온도와 반복 압출성형이 백삼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수분 함량 20%와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을 고정시키고 독립변수로서 사출구 온도 100°C, 120°C, 140°C로 1회, 2회 반복 압출성형 실험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출구 온도와 반복 압출성형이 백삼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압출성형 조건은 수분 함량 20%와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을 고정시키고 독립변수로서 사출구 온도 100°C, 120°C, 140°C로 1회,2회 반복 압출성형 실험을 하였다.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사출구 온도 140°C에서 1회 압출성형물이 295.0 kJ/kg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조직감 특성 중 탄성계수에서는 사출구 온도 100°C에서 2회 압출성형물이 7.53×108 N/m2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사출구 온도 120°C에서 1회압출성형물이 1.78×108 N/m2로 가장 낮은 결과값을 나타냈다. 또한 파괴력은 사출구 온도 100°C에서 2회 압출성형물이 7.49×105 N/m2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사출구 온도 140°C에서 2회 압출성형물이 1.33×105 N/m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팽화 특성에서 120°C 1회 백삼압출성형물의 직경팽화율이 2.283±0.011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길이 체적밀도에서는 사출구 온도 140°C에서 1회 압출성형물과 사출구 온도 100°C에서 2회 백삼압출성형물이 각각 123.790±2.802 m/kg, 0.260±0.020 g/cm3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수분흡착지수(WAI)와 수분용해지수(WSI)는 백삼압출성형물 모두 백삼분말보다 증가하였다. WAI는 1회 압출성형을 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며, 2회 압출성형을 하였을 때는 감소하였다. 또한 사출구 온도가 증가할수록WAI도 증가하였다. WSI의 경우 WAI와 반대로 사출구 온도가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위 연구를 통하여 백삼의 압출성형 조건을 달리하여 물리적 특성의 향상과 새로운 백삼제품 및 소재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압출성형 후 압출성형 백삼 추출물의 화학적 조성과 항산화 활성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인삼의 압출성형에 대한 연구를 보면 압출성형 백삼 추출물의 화학적 조성 및 항산화 활성은 압출성형 후 사포닌, 산성다당체, 항산화 활성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3). 또한 인삼전분의 알코올 발효적성 및 발효인삼주의 특성 연구(4)에서 인삼약주는 전통주와 비교하여 향기성분이 우수하고 알코올 함량도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압출성형 공정의 장점은 무엇인가? 압출성형 공정은 독립변수인 수분 함량, 스크루 회전속도, 배럴 온도, 시료 투입량, 사출구 크기 및 모양 등의 변화에 따라 종속변수인 압력, 점도, 비기계적 에너지 등을 제어하여 목적하는 제품을 다양한 특성의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2) 압출성형 공정은 혼합, 분쇄, 가열, 성형 등의 단위 조작이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효율적인 가열공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YM, Han YH, Paek NS. 2002. Studies on the ginseng tea using spore-forming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61-665. 

  2. Gu BJ, Ryu GH. 2011. Effect of die geometry on expansion of corn flour extrudate. Food Eng Prog 15: 148-154. 

  3. Kim ST, Jang JH, Kwon JH, Moon KD. 2009.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and white ginseng after puffing. Korean J Food Preserv 16: 335-361. 

  4. Roh SK, Song JS, Park KH. 2001. Alcohol fermentability of Insam starch and characteristics of Insam wine. Food Eng Prog 5: 43-51. 

  5. Son HJ, Han MS, Ryu GH. 2009. Antibacterial of Et-OH extract from extruded white ginseng on tooth decay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51-957. 

  6. Ryu GH, Remon JP. 2004. Extraction yield of extruded ginseng and granulation of its extracts by cold extrusionspheroniz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899-904. 

  7. Kim BS, Ryu GH. 2005. Effect of extrusion temperature on puffing of white and red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09-1113. 

  8. Han JY, Lee YS, Ryu GH. 2008.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accharification of extruded white ginseng. Food Eng Prog 12: 36-43. 

  9. Son HJ, Ryu GH. 2009.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a extruded white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46-950. 

  10. Choi KH, Gui Y, Ryu GH. 2014. Effects of die temperature and repeated extrusion on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uded white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58-264. 

  11. Ryu GH, Mulvaney SJ. 1997.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and mechanical energy input of cornmeal extrudates fortified with dairy products by carbon dioxide inje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47-954. 

  12. Alverez-Martinez L, Kondury KP, Harper JM. 1988. A general model for expansion of extruded products. J Food Sci 53: 609-615. 

  13. Jin T, Gu BJ, Ryu GH. 2010. Manufacturing of hemp seed flake by using extrusion process. Food Eng Prog 14: 99-105. 

  14. Ryu GH, Ng PKW. 2001. Effects of selected process parameters on expan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whole cornmeal extrudates. Starch-Starke 53: 147-154. 

  15. AACC. 1983. Approved method of the AACC.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 56-20. 

  16. Ryu GH, Neumann PE, Walker CE. 1993. Pasting of wheat flour extrudates containing conventional baking ingredients. J Food Sci 58: 567-573. 

  17. Jin T, Lee ES, Hong ST, Ryu GH. 2007. Manufacturing of Goami flakes by using extrus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46-151. 

  18. Gu BJ, Norajit K, Ryu GH.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defatted hemp seed and its energy bar manufacturing. Food Eng Prog 14: 127-134. 

  19. Gui Y, Gil SK, Ryu GH. 2012. Effects of extrusion con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ed ginseng. Prev Nutr Food Sci 17: 203-209. 

  20. Gil SK, Ryu GH. 2013. Effects of die temperature and $CO_2$ gas inject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brown ricevegetable mix.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848-1856. 

  21. Chinnaswamy R, Hanna MA. 1999. Macromolecular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native and extrusion cooked cornstarch. Cereal Chem 67: 490-499. 

  22. Han JY, Kim MH, Jin T, Kim SJ, Kim MH, Ryu GH. 2007. Change in characteristics of extruded vitamin C cornstarch matrix by moisture content and barrel temperature. Food Eng Prog 11: 253-260. 

  23. Grant LA. 1998. Effects of starch isolation, drying, and grinding techniques on its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Cereal Chem 75: 590-594. 

  24. Han JY, Chung KH, Ryu GH. 2008.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release characteristics of extruded tissue cultured mountain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18-10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