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디지털 영상과 CAD/CAM 시스템을 활용한 전악 임플란트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utilizing 3D digital image and CAD/CAM system: case report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31 no.2, 2015년, pp.158 - 168  

강세하 (연세대학교 원주의대 치과보철과) ,  정승미 (연세대학교 원주의대 치과보철과) ,  신재옥 (연세대학교 원주의대 치과보철과) ,  방정환 (연세대학교 원주의대 치과보철과) ,  김대환 (연세대학교 원주의대 치과보철과) ,  최병호 (연세대학교 원주의대 구강악안면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증례는 상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진단, 식립 그리고 보철물 제작에 디지털 방식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상악은 구개 부위, 하악은 기존 의치에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부착한 후 구강스캔 및 CBCT 촬영을 시행하였다. 구강스캔 이미지와 CBCT 이미지를 중첩시켜 진단 및 수술가이드와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였다. 골유착 후에는 스캔바디를 이용한 구강스캔을 통해 최종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수복에서 디지털 방식을 다양하게 활용하였으며 정확성과 환자의 불편감 최소화라는 목적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describes how to use digital system in a fully edentulous case that diagnosis to definitive prosthesis fabrication. While proceeding oral scan and CBCT taking, digital markers were attached on maxillary palate and lower existing denture. Using CBCT image and oral scan image, the bon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경우 수작업에 의한 제작이 이루어지고 내원 횟수도 늘어나며 제작과정 중 오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였다.4-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원에서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구개부와 의치에 부착하여 연조직스캔 이미지와 CBCT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중첩하는 방법을 개발해왔다. 본 증례에서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기술과 CAD/CAM을 이용하여 3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중첩하고 이를 통해 top-down 개념의 수술가이드, 즉시보철물 및 최종보철물 제작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하드웨어적으로 소프트웨어적으로도 해결하고 발전시켜야 할 부분이 많고 그를 뒷받침해 줄 연구들이 필요 하다. 본 증례는 상 하악 무치악 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수복에서 디지털 방법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진단과정에서 중첩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방사선 불 투과성 마커를 이용하였고, 이로 인해 방사선 스텐트의 제작과정을 생략하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 4-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원에서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구개부와 의치에 부착하여 연조직스캔 이미지와 CBCT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중첩하는 방법을 개발해왔다. 본 증례에서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기술과 CAD/CAM을 이용하여 3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중첩하고 이를 통해 top-down 개념의 수술가이드, 즉시보철물 및 최종보철물 제작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스캐너를 사용할 때 어떻게 해야 정확한 스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나? 또한 스캔하는 캡쳐 수가 많아질수록 스캔 이미지의 stitching 오차가 누적되며 디지털 작업 시 속도저하와오차를 만들게 된다. 즉 환자는 가급적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가급적 적은 양의 캡쳐로 스캔을 진행해야 정확한 스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임플란트는 최근 어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가? 임플란트와 관련한 기술은 그 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개발 초기에는 임플란트의 골유착과 생존율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최근에는 골유착은 기본적인 요구사항이고, 이상적인 보철물 제작을 위한 정확한 식립 위치, 최소 침습적이고 편안한 진료, 내원 횟수의 감소 등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구강스캐너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기술 및 CAD/CAM (Computer-aided design / Computer-aided manufacturing)의 발전, CB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의 보급은 임플란트 분야에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하악에서 의치를 이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방사선 불투과성의 마커는 스캔 이미지와 CBCT 이미지 모두에서 선명하게 관찰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두 이미지를 정확하게 중첩할 수 있었다. 상악은 구개부에, 하악은 의치에 마커를 부착하였는데 하악에서 의치를 이용한 이유는 첫째, 하악은 상악의 구개부처럼 마커를 붙일 수 있는 비가동성 조직부를 찾기 어렵고, 둘째, 하악은 혀와 협점막의 방해로 직접적으로 구강 내 스캔을 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경우 대부분 의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안모, 수직교합고경, 악간관계, 치아배열 등에 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Seitz H, Tille C, Irsen S, Bermes G, Sader R, Zeihofer HF. Rapid Prototyping models for surgical planning with hard and soft tissue representation. Int Congress Series 2004;1268:567-72. 

  2. Ganz SD. Use of stereolithographic models as diagnostic and restorative aids for predictable immediate loading of implants. Pract Proced Aesthet Dent 2003;15:763-71. 

  3. Hajeer MY, Millett DT, Ayoub AF, Siebert JP. Applications of 3D imaging in orthodontics: part II. J Orthod 2004;31:154-62. 

  4. Di Giacomo GA, Cury PR, de Araujo NS, Sendyk WR, Sendyk CL. Clinical application of stereolithographic surgical guides for implant placement: preliminary results. J Periodontol 2005;76:503-7. 

  5. Ruppin J, Popovic A, Strauss M, Spuntrup E, Steiner A, Stoll C.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three different computer-aided surgery systems in dental implantology: optical tracking vs. stereolithographic splint systems. Clin Oral Implants Res 2008;19:709-16. 

  6. Van Assche N, van Steenberghe D, Guerrero ME, Hirsch E, Schutyser F, Quirynen M, Jacobs R. Accuracy of implant placement based on pre-surgical planning of three-dimensional cone beam images: a pilot study. J Clin Periodontol 2007;34:816-21. 

  7. van Steenberghe D, Naert I, Andersson M, Brajnovic I, Van Cleynenbreugel J, Suetens P. A custom template and definitive prosthesis allowing immediate implant loading in the maxilla: a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2;17:663-70. 

  8. Kim KS, Lim YJ, Kim MJ, Kwon HB, Yang JH, Lee JB, Yim SH. Variation in the total lengths of abutment/implant assemblies generated with a function of applied tightening torque in external and internal implant-abutment connection. Clin Oral Implants Res 2011;22:83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