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세화된 CMIP5 기후변화전망의 다중모델앙상블 접근에 의한 농업기후지수 평가
Evaluation of Agro-Climatic Index Using Multi-Model Ensemble Downscaled Climate Prediction of CMIP5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7 no.2, 2015년, pp.108 - 125  

정유란 (APEC 기후센터 기후변화연구팀) ,  조재필 (APEC 기후센터 기후변화연구팀) ,  이은정 (APEC 기후센터 기후변화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수의 기후요소를 지수화하고 특정지역의 기후 자원량을 분석하여, 종합 및 판단하는 과정은 특정지역의 농업기후자원의 특성을 한 눈에 알 수 있게 한다. 농업기후자원의 특징을 단순 명료하게 표현한 것을 농업기후지수라고 하는데, 이 지수는 기후자원(예, 기온, 일사, 강수)으로부터 작물의 생육과 수량 추측을 위한 가능성과 여러 가지 영농기술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농업생산성의 주요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농업기후지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라 항상 변화할 수 있다. 최근 IPCC 제5차 평가보고서에서 온실가스 대표경로(RCP)에 따른 시나리오가 많은 연구에 이용됨에 따라서 기후정보의 역학 및 통계적 규모축소를 통한 미래기후변화전망정보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PCC 제5차 평가 보고서에 사용된 RC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비모수적 분위사상법을 이용한 상세화된 기후변화 전망정보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농업기후지수(예, 식물기간 및 작물기간, 생장도일, 무상기간)의 시공간적인 변화와 불확실성을 평가하였다. 동일한 과거 기간에 대하여 기후모델(GCM)으로부터 계산된 농업기후지수와 관측자료에 의해 계산된 농업기후지수를 비교한 결과, KMA-12.5km를 제외하고 사용된 8개 개별 GCM의 농업기후지수의 각각의 평균은 4대강 유역 모두에서 관측자료에 의해 계산된 값의 평균과 비교적 잘 일치하여 개별 GCM 뿐만 아니라 다중모델앙상블(MME)의 과거기후 재현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MME 계산에서 사용되는 GCM의 개수가 무한적으로 증가한다고 해서 오차가 줄어들지 않았다. 추가 연구가 계속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3-4개의 GCM을 사용하는 경우 확실하게 오차가 개선되기 시작하였으며, 대체로 7-8개 이후부터는 더 이상 오차가 개선되지 않았다. 미래전망 결과에서, 4대강 유역 전체에 대하여 inmcm4가 과거 기간의 MME에 대한 RCP 4.5에서 1% 증가, RCP 8.5에서 2% 증가로 9개 개별 GCM 중에서 가장 낮았고, CanESM이 과거 기간의 MME에 대하여 RCP 4.5에서 10%, RCP 8.5에서 15% 증가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다. 4대강 유역의 시공간분포의 변화에서 관측자료와 다른 경향을 보이는 개별 GCM이 있어서 지형 특성과 개별 GCM의 일변동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상세화 방법의 개선 및 개발이 필요하다. 도출 및 평가된 본 연구의 농업기후지수는 농업용 상세 전자기후도와의 활용뿐만 아니라, 후속 연구를 위한 농업이상기후지수 및 생산성지수의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낙동강 유역과 영산-섬진강 유역의 무상기간 증가로부터 '겨울기간이 짧아질 수 있다'라고 가정할 경우, 농업이상 기후지수(예, 저온발생빈도) 분석을 통해 겨울작물의 생산성지수의 불확실성 증감 혹은 재배시스템(예, 이모작 혹은 이기작 등)의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 증감 등에 대한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gro-climatic index is one of the ways to assess the climate resources of particular agricultural areas on the prosp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it can be a key indicator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by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different and various 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모델에 의해 생산된 미래 기후변화 전망을 신뢰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또한 기후모델에 의해 생산된 미래 기후변화 전망을 신뢰하기 위해서는 기후모델이 과거 및 현재 기후를잘 모사해야 한다. 즉 과거 및 현재기간에 대해 모의된 기후모델 결과를 동일 기간의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GCMs의 계통오차(systematic bias)를 보정해 주는 편의보정(bias correction)이 필요하다. 많은 연구자들이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유역규모에 적용할 때 통계적 방법에 의한 공간적 상세화뿐만 아니라 일단위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한 시간적 상세화를 통해 생산된 일별 자료를 수자원분야의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다양한 연구에 활용해 왔다(Kang et al.
농업기후지수는 무엇인가? 다수의 기후요소를 지수화하고 특정지역의 기후 자원량을 분석하여, 종합 및 판단하는 과정은 특정지역의 농업기후자원의 특성을 한 눈에 알 수 있게 한다. 농업기후자원의 특징을 단순 명료하게 표현한 것을 농업기후지수라고 하는데, 이 지수는 기후자원(예, 기온, 일사, 강수)으로부터 작물의 생육과 수량 추측을 위한 가능성과 여러 가지 영농기술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농업생산성의 주요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농업기후지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라 항상 변화할 수 있다.
농업기후지수는 어떻게 농업생산성의 주요지표가 될 수 있는가? 다수의 기후요소를 지수화하고 특정지역의 기후 자원량을 분석하여, 종합 및 판단하는 과정은 특정지역의 농업기후자원의 특성을 한 눈에 알 수 있게 한다. 농업기후자원의 특징을 단순 명료하게 표현한 것을 농업기후지수라고 하는데, 이 지수는 기후자원(예, 기온, 일사, 강수)으로부터 작물의 생육과 수량 추측을 위한 가능성과 여러 가지 영농기술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농업생산성의 주요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농업기후지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라 항상 변화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J. B., J. Y. Hong, and K. M. Shim, 2010a: Agro-climatic indices changes over the Korean Peninsula in $CO_2$ doubled climate induced by Atmosphere-Ocean-Land-Ice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1), 1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hn, J. B., J. Hur, and K. M. Shim, 2010b: A simulation of agroclimate index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dynamical downscaling with a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1),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e, D. H., I. W. Jung, B. J. Lee, and M. H. Lee, 2011: Future Korean water resources projection considering uncertainty of GCMs and hydrological model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5), 389-4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D. H., and S. H. Yun, 1989: Agroclimatic zone and characters of the area subject to climatic disaster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34(2), 13-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Gudmundsson, L., J. B. Bremnes, J. E. Haugen, and T. Engen-Skaugen, 2012: Technical Note: Downscaling RCM precipitation to the station scale using quantile mapping - a comparison of methods. Hydrology & Earth System Sciences 16, 3383-3390. 

  6. Im, E. S., J. B. Ahn, A. R. Remedio, and W. T. Kwon, 2008: Sensitivity of the regional climate of East/Southeast Asia to convective parameterizations in the RegCM3 modelling system. Part 1: Focus on the Korean peninsul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8(14), 1861-18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Im, E. S., M. H. Kim, and W. T. Kwon, 2007: Projected change in mean and extreme climate over Korea from a double-nested Regional Climate Model simulation.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5(6), 717-732. 

  8.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996pp. 

  9. IPCC,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535pp. 

  10.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51 pp. 

  11. Jang, J. H., and J. H. Ahn, 2012: Assessing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components in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1), 1121-1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ang, J. Y., Y. D. Kim, and B. S. Kang, 2013: Effect of change in hydrological environment by climate change on river water quality in Nam River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8), 873-8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C. R., Y. O. Kim, S. B. Seo, and S. W. Choi, 2013: Water Balance Projection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8), 807-8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J. H., and J. I. Yun, 2008: On mapping growing degreedays (GDD) from monthly digital climatic surfaces for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1),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H. S., J. H. Kim, and J. I. Yun, 2014: Recent trends in blooming dates of spring flowers and the observed disturbance in 2014.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4), 396-4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K., H. J. Baek, S. H. Park, H. S. Kang, and C. H. Cho, 2012: Future Projection of Changes in Extreme Temperatures using High Resolution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7(2), 208-2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artre, P., D. Wallach, S. Asseng, and F. Ewert, 2015: Multimodel ensembles of wheat growth. Many models are better than one. Global Change Biology 21(2), 911-925. 

  18. Moran, P.A.P., 1950: Notes on continuous stochastic phenomena. Biometrika 37, 17-23. 

  19. Shim, K. M., G. Y. Kim, K. A. Roh, H. C. Jeong, and D. B. Lee, 2008: Evaluation of Agro-Climatic Indices under Climate Chang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4), 113-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기상청, 2013: 2013년 이상기후 보고서, 기상청, 28-41. 

  21. 농촌진흥청, 2012: 농업연구개발사업 대표성과 보고서, 농촌진흥청, 70-71. 

  22. 윤진일, 1999: 농업기상학, 아르케, 118-119. 

  23. 조재필, 2013: 불확실성을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의 기후변화 영향 평가, APEC 기후센터, 36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