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급출동지령서 개선을 통한 구급대원 현장 도착시간 단축방안
Improvement Strategies of Arriving Time to the Scene by Enhancing EMTs' Recognition of Triage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7 no.1, 2015년, pp.45 - 52  

오원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재난과학과) ,  정석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재난과학과) ,  윤명오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재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nhanc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by transporting them to the hospital within the golden hour through the operational improvement of emergency dispatch instruction. To this end,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current operating system were derived by carry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급대원의 현장 도착시간이 미치는 영향으로 현장까지의 거리, 구급대원의 지리 숙지 정도, 날씨, 건물의 높이 등 수많은 요인에 의하여 결정됨에도 불구하고 구급출동지령서에 대한 신뢰가 직무반응 즉 현장 도착시간과 상관관계가 크다는 것을 가정하고,(13) 구급대원의 응급환자에 대하여 현장 도착시간 단축의지를 분석하고 이를 구급활동 종료 후작성하는 구급활동일지의 중증도 분류(triage)에 따른 현장까지의 거리 및 시간을 비교하여 구급출동지령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급 차량의 교통사고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소방방재청에서 요구한 것은? 그러나 도시인구 증가에 따른 교통 혼잡 및 복잡한 도심의 구조, 비응급환자의 지속적인 증가 등으로 구급 차량의 교통사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이에 대한 보완으로 소방방재청에서는 구조․구급대원 안전관리 표준지침을 공표하고 구급차량 운행 시 교통법규를 준수할것을 요구하였다. 이 지침으로 구급차량 교통사고 건수는 2010년 207건에서 2011년 188건, 2012년 159건으로 감소하였으나 현장 도착 시간 지연으로 최적시간(golden hour) 이내에 환자를 이송하지 못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신속한 응급처치가 필요한 환자는? 국내적으로는 국민들의 의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응급의료 서비스 접근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국외적으로는 효율적인 응급의료체계 구축이 선진국 의료체계를 평가하는 하나의 척도가 되어 가고 있다. 신속한 응급처치가 필요한 환자는 호흡곤란 또는 호흡정지, 과다출혈, 심정지 등 뇌로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이며, 급성심정지환자의 소생률과 외상 예방 가능 사망률(preventable death rate)23을 이용하여 응급의료체계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급 차량의 교통사고 발생률이 증가한 이유는? 그러나 도시인구 증가에 따른 교통 혼잡 및 복잡한 도심의 구조, 비응급환자의 지속적인 증가 등으로 구급 차량의 교통사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이에 대한 보완으로 소방방재청에서는 구조․구급대원 안전관리 표준지침을 공표하고 구급차량 운행 시 교통법규를 준수할것을 요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 H. Kwon, C. M. Park and Y. T. Park, (2011), "A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Before and After the Trauma Team's Establishment: Treatment Outcomes and Lengths of Sta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Vol. 24, No. 2, pp. 75-81 

  2. K. Mashiko, (2005), "Trauma Systems in Japan :History, Pres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J Nippon Med Sch Vol 72 No. 4, pp 194-202 

  3. T. J. Esposito, T. L. Sanddal, S. A. Reynolds and N. D. Sanddal, (2003), "Effect of a Voluntary Trauma System on Preventable Death and Inappropriate Care in a Rural State" J Trauma Vol 54 No. 4, pp 663-669 

  4. H. M. Song and S. G. Roh, (2012), "A Research of Prehospital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6, No. 3, pp. 14-20 

  5. S. J. Lee, W. B. Park, J. S. Cho, S. Y. Hyun, Y. S. Lim, J. J. Kim, S. B. Lee and J. H. Yang, et al., (2012),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a Computerized Physician Order Entry System Serving Pediatric Patients who Visit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23, No. 1, pp. 132-140 

  6. K. H. Lee, S. H. Kim, Y. Y. Kyong, J. S. Oh, Y. M. Oh, S. M. Choi, K. H. Choi and S. P. Choi, et al, (2012), "Emergency Department Hypertension Screening Test",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23, No. 1, pp. 8-14 

  7. J. G. Park, J. W. Kim, M. W. Jo and H. S. Lim, (2008), "Increase of Vertical Evacuation Interval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ories in High-rise Buildings"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19, No. 2, pp. 147-152 

  8. J. S. Cho, H. K. Lim, K. Lee, H. J. Yang, S. C. Lee, S. R. Yeum, J. O. Park and K. W. Lee, (2012),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ramework for Emergency Medical Dispatcher(EMD) Education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23, No. 1, pp. 78-84 

  9. K. W. Jung, J. M. Jang, J. Y. Kim, S. J. Baek, S. Y. Song, C. S. Gang and K J. Lee, (2011), "Delayed Transfer of Major Trauma Patients Under the Current Emergency Medical System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Vol. 24, No. 1, pp. 25-30 

  10. J. Y. Han, and K. W. Lee, (2008), "The Effect of Perceived Credibility on Mobile User's Attitude and Behavioral Changes", Proceedings of 2008 Annual Conference, Human Computer Interaction KOREA, 221-226 

  11. E. E. Joseph and B. E. Winston, (2005), "A Correlation of Servant Leadership, Leade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Vol. 26, No. 1, pp. 117-128 

  12. K. T. Dirks and D. L. Ferrion, (2002), "Trust in Leadership: Meta-Analytic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7, No 4, pp. 611-628 

  13. E. K. Jeong and J. Y. Jeong, (2013), "Analysis of Predicted Instructions about Shockable Cardiac ArrestPatients by Dispatcher at 119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Cente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7, No. 6, pp. 122-128 

  14. H. C. Choe, (2007), "Methodology of Social Statistics", Nanam, R.O.K., pp. 237-238 

  15. K. Y. Lee and S. W. Yun, (2011), "Prehospital Care of 119 EMT for Non-traumatic Cardiac Arrest and Improvement to Increase Advanced Care Rat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5, No. 5, pp. 21-31 

  16. E. K. Jeong and J. Y. Jeong, (2013), "Analysis of Predicted Instructions about Shockable Cardiac Arrest Patients by Dispatcher at 119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Cente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7, No. 6, pp. 122-128 

  17. Enforcement Regulations of Emergency Medical Act, R.O.K., Clause 1 of Article 2. 

  18. NEMA(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1), "A guide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 

  19. I. S. Kim, (2002), "Effect of the relationship of the leadership and trust behavior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13, No. 2, pp. 19-41 

  20. S. G. Rho, (2010), "An Analysis of the 119 EMS System using the Standardized Record on the Efficient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Delivery Media",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24, No. 1, pp. 64-71 

  21. D. Limmer and M. F. O'Keefe, (2011), "Emergency Care", 12th Edition, Brady, U.S.A., pp. 15-16 

  22. A. G. Garza, M. C. Gratton, J. J. Chen and B. Carlson, (2003), "The Accuracy of Predicting cardiac arrest by Emergency Medical Services Dispatchers: The Calling Party Effec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Vol. 10, No. 9, pp. 955-960 

  23. E. J. MacKenzie, F. P. Rivara, G. J. Jurkovich, A. B. Nathens, K. P. Frey, B. L. Egleston, D. S. Salkever and D. O. Scharfstein, (2006), "A Nation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rauma-Center Care on Mortalit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54, pp. 366-3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