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절 수술을 받은 정형외과 환자에서 섬망의 장기간의 이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longed duration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patients who underwent orthopedic joint surge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6, 2015년, pp.3926 - 3933  

황병문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마취통증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관절 수술을 받은 정형외과 환자에서 섬망의 이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2012년 1월 에서 2014년 2월 사이에 일개 대학병원 정형외과에서 관절 수술 후 섬망 증상을 보인 환자 266명으로 하였으며, 섬망의 이환 기간에 따라 2일 이내의 짧은 기간 섬망을 가진 군(129명, 48%)과 3일 이상 장기간 섬망을 가진 군(137명, 52%)으로 나누었다. 뇌졸중과 치매는 짧은 기간 섬망을 가진 군에 비해 장기간 섬망을 가진 군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다중회귀분석에서도 뇌졸중과 치매는 섬망의 장기간의 이환과 연관되어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과 치매를 가진 환자들에서 관절 수술이 시행되는 경우에는 섬망의 예방과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uration of postoperative delirium following orthopedic joint surgery. This study included 266 patients who underwent orthopedic joint surgery at a single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12 and February 2014. Patient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형외과에서 관절 수술 후에 섬망 증상으로 정신신경과에 의뢰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섬망의 기간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관절 수술을 받는 정형외과 환자를 대상으로 섬망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관찰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경환경(중환자실, 내과계 병동 입원, 수술, 신경정신과 질환, 암환자, 완화치료, 고령)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섬망의 기간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요인들을 조사하였다[7,8,9,12].
  • 본 연구는 정형외과에서 관절 수술을 받은 후에 섬망을 경험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섬망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술 전에 치매를 가진 환자들과 뇌졸중을 가진 환자들은 장기간 섬망을 가진 환자들의 비율이 높았으며, 치매와 뇌졸중은 섬망의 기간연장과 연관되어 있었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관절 수술을 받는 정형외과 환자를 대상으로 섬망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관찰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경환경(중환자실, 내과계 병동 입원, 수술, 신경정신과 질환, 암환자, 완화치료, 고령)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섬망의 기간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요인들을 조사하였다[7,8,9,12]. 기존에 발표된 연구 결과와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수술적 요인과 마취 관련 요인을 포함하여, 섬망의 기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요인들을 선택하여 본 연구에 포함시켰다.
  • 더구나 기존 연구들은 과거의 진단 기준과 치료법을 이용하여 섬망 환자를 관리하여, 현재의 진단 기준과 치료 방침에 의해 관리되는 환자들과 섬망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를 수 있다[10,11,12]. 이에 저자들은, 수술 및 마취와 관련된 요인들을 포함한, 섬망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섬망의 발생률은 수술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2], 골반, 허벅지 관절 부위의 정형외과 수술 환자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가설 설정

  • 첫째, 본 연구는 단일 대학병원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설계는 섬망의 자연적인 경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환자들은 섬망의 증상이 나타난 후에 전문의의 진료와 함께 최적의 치료를 받았으며, 이러한 치료는 섬망의 자연적인 경과를 왜곡시킨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이란 무엇인가? 섬망(delirium)은 뇌신경계의 기능 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급성 의식장애(disturbance of consciousness)로, 수술 후 발생하는 흔한 정신신경계의 질환이다[1,2]. 수술 후 섬망은 수술 후에 급작스럽게 발생하고 증상의 기복이 심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의식 수준의 변화, 지남력의 상실, 주의집중력의 장애 등의 양상을 보인다.
급성 의식장애 중 섬망은 관절 수술 환자의 몇%에서 발생하는가? 수술 후 섬망은 수술 후에 급작스럽게 발생하고 증상의 기복이 심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의식 수준의 변화, 지남력의 상실, 주의집중력의 장애 등의 양상을 보인다. 섬망은 특히 정형외과에서 관절 수술 후에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으며, 관절 수술 환자의 12-61%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3,4].
수술 후 섬망 환자에게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섬망(delirium)은 뇌신경계의 기능 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급성 의식장애(disturbance of consciousness)로, 수술 후 발생하는 흔한 정신신경계의 질환이다[1,2]. 수술 후 섬망은 수술 후에 급작스럽게 발생하고 증상의 기복이 심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의식 수준의 변화, 지남력의 상실, 주의집중력의 장애 등의 양상을 보인다. 섬망은 특히 정형외과에서 관절 수술 후에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으며, 관절 수술 환자의 12-61%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 J. Chaput, G. L .Bryson, "Postoperative delirium: risk factors and management: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an J Anaesth, Vol. 59, No. 3, pp. 304-320, 2012. 

  2. S. R. Allen, H. L. Franke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elirium", The Surg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92, No. 2, pp. 409-431, 2012. 

  3. Y. Gustafson, D. Berggren, B. Brannstrom, G. Bucht, A. Norberg, L. I. Hansson, B. Winblad, "Acute confusional states in elderly patients treated for femoral neck fracture", J Am Geriatr Soc, Vol. 36, No. 6, pp. 525-530, 1988. 

  4. K. J. Kalisvaart, R Vreeswijk, J. F. Jonghe, T. van der Ploeg, W. A. van Gool, P. Eikelenboom, "Risk factors and prediction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hip-surgery patients: implementation and validation of a medical risk factor model", J Am Geriatr Soc, Vol. 54, No. 5, pp. 817-822, 2006 . 

  5. J. Witlox, L. S. Eurelings, J . F. de Jonghe, K. J. Kalisvaart, P. Eikelenboom, W. A. van Gool,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nd the risk of postdischarge mortality, institutionalization, and dementia: a meta-analysis", J Am Med Assoc, Vol. 304, No. 4, pp. 443-451, 2010. 

  6. G. Bellelli, P. Mazzola, A. Morandi, A. Bruni, L. Carnevali, M. Corsi, G. Zatti, A. Zambon, G. Corrao, B. Olofsson, Y. Gustafson, G. Annoni, "Duration of postoperative delirium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6-month mortality in older adults after hip fracture", J Am Geriatr Soc, Vol. 62, No. 7, pp. 1335-1340, 2014. 

  7. M. A. Pisani, T. E. Murphy, K. Araujo, P. Slattum, P. H. van Ness, S. K. Inouye, "Benzodiazepine and opioid use and the duration of ICU delirium in an older population", Crit Care Med, Vol. 37, No. 1, pp. 177-183, 2009. 

  8. M. A. Pisani, T. E. Murphy, K. L. Araujo, P. H. van Ness, "Factors associated with persistent delirium after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in an older medical patient population", J Crit Care, Vol. 25, No. 3, pp. 540. e1-7, 2010. 

  9. C. J. Slor, J Witlox, D. Adamis, D. J. Meagher, T. van der Ploeg, R. W. Jansen, M. F. van Stijn, A. P. Houdijk, W. A. van Gool, P. Eikelenboom, J. F. de Jonghe, "Predicting delirium duration in elderly hip-surgery patients: does early symptom profile matter?", Curr Gerontol Geriatr Res, Article ID. 962321, 2013. 

  10. S. K. Inouye, P. A. Charpentier, "Precipitating factors for delirium in hospitalized elderly persons. Predictive model and interrelationship with baseline vulnerability", JAMA, Vol. 275, No. 11, pp. 852-857, 1996. 

  11. Y. Wada, N. Yamaguchi, "Delirium in the elderly :relationship of clinical symptoms to outcome", Dementia, Vol. 4, No. 2, pp. 113-116, 1993. 

  12. M. Dasgupta, L. M. Hillier, "Factors associated with prolonged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Int Psycho geriatr, Vol. 22, No. 3, pp. 3732-394, 2010. 

  13. W. A. Knaus, E. A. Draper, D. P. Wagner, J. E. Zimmerman, "APACHEII: a severity of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Critical care Medicine, Vol. 13, pp. 818-829, 1985. 

  14. J. Pereira, P. Lawlor, A. Vigano, M. Dorgan, E. Bruera,"Equianalgesic dose ratios for opioids. A critical review and proposals for long-term dosing", J Pain Symptom Manage Vol. 22, No. 2, pp. 672-687, 2001. 

  15. R. Gao, Z. Yang, M. Li, Z. Shi, Q. Fu, "Probable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delirium in patients undergoing spinal surgery", Eur Spine J, Vol. 17, pp. 1531-1537, 2008. 

  1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revised, DSMIV, Fourth Edition,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2000. 

  17. P. T. Trzepacz, D. Mittal, R. Torres, K. Kanary, J. Norton, N. Jimerson, "Validat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comparison with the delirium rating scale and the cognitive test for delirium", J Neuro psychiatry Clin Neurosci, Vol. 13, No. 2, pp. 229-242, 2001. 

  18. D. K. Kiely, M. A. Bergmann, R. N. Jones, K. M. Murphy, E. J. Orav, E. R. Marcantonio, "Characteristics associatedwith delirium persistence among newly admitted post-acute facility patien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 59, No. 4, pp. 344-349, 2004. DOI: http://dx.doi.org/10.1093/gerona/59.4.M344 

  19. V. Camus, R. Gonthier, G .Dubos ,P. Schwed, I. Simeone, "Etiologicand outcome profiles in hypoactive and hyperactive subtypes of delirium", J Geriatr Psychiatry Neurol, Vol. 13, No. 1, pp. 38-42, 2000. 

  20. M. L. Gunther, A. Morandi, E. Krauskopf, P. Pandharipande, T. D. Girard, J. C. J ackson, J. Thompson, A. K. Shintani, S. Geevarghese, R. R. Miller, A. Canonico, K. Merkle, C. J. Cannistraci, B. P. Rogers, J. C. Gatenby, S. Heckers, J. C. Gore, R. O. Hopkins, E. W. Ely, "The association between brain volumes, delirium duration, and cognitive outcomes in intensive care unit survivors: The VISIONS Cohort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Crit Care Med, Vol. 40, No. 7, pp. 2022-2032, 2012. 

  21. A. Morandi, B. P. Rogers, M. L. Gunther, K. Merkle, P. Pandharipande, T. D. Girard, J. C. Jackson, J. Thompson, A. K. Shintani, S. Geevarghese, R. R. Miller, A. Canonico, C. J. Cannistraci, J. C. Gore, E. W. Ely, R. O. Hopkins,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rium duration, white matter integrity, and cognitive impairment in intensive care unit survivors as determined by diffusion tensor imaging: The VISIONS Prospective Cohort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Crit Care Med, Vol. 40, No. 7, pp. 2182-2189, 2012. 

  22. Y. Liu, N. Pan, Y. Ma, S. Zhang, W. Guo, H. Li, J. Zhou, G. Liu, M. Gao, "Inhaled Sevoflurane May Promote Progression of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rospective, Randomized Parallel-Group Study", Am J Med Sci, Vol. 345, No. 5, pp. 355-360, 2013. 

  23. M. A. Rudberg, P. Pompei, M. D. Foreman, R. E. Ross, C. K. Cassel, "The natural history of delirium in older hospitalized patients: a syndrome of heterogeneity", Age and Ageing, Vol. 26, No. 3, pp. 167-174, 1997. 

  24. R. Sagawa, T. Akechi, T. Okuyama, M. Uchida, T. A. Furukawa, "Etiologies of delirium and their relationship to reversibility and motor subtype in cancer patients", Jpn J Clin Oncol, Vol. 39, No. 3, pp. 175-182, 2009. 

  25. S. H. Wang, J. Y. Wang, P. Y. Lin, K. H. Lin, C. J. Ko, C. E. Hsieh CE, H. C. Lin, Y. L. Chen, "Predisposing risk factors for delirium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PLoS One, Vol. 9, No. 5, pp. e96676,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