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경북 일부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Contribution of Emotional Labor to Burnout and Work Eng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4, 2015년, pp.610 - 618  

허창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이경아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이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조리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적절한 대책 및 개입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2014년 3월 3일부터 2014년 4월 25일까지 총 35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35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리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면행동내면행동,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의 전체 평균 점수를 살펴보면 표면행동 2.38/5.00점, 내면행동 3.46/5.00점, 직무 소진 2.67/5.00점, 직무 열의 3.41/5.00점으로 나타났다. 표면행동 점수는 일반적 특성 가운데 조리사 자격증의 유무(P<0.001)와 이직 횟수(P<0.001), 연봉(P<0.001), 근무학교(P<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내면행동 점수는 학력(P<0.001),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01), 고용형태(P<0.001), 연봉(P<0.001), 근무학교(P<0.01), 1일 급식 횟수(P<0.05)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직무 소진 점수는 학력(P<0.01),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5), 고용형태(P<0.001), 근무학교(P<0.001), 1일 급식 횟수(P<0.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무 열의 점수는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1), 고용형태(P<0.001), 근무학교(P<0.001), 1일 급식 횟수(P<0.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그들이 사용하는 감정노동의 두 가지 전략에 따라 매우 상이한 결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이들이 표면행동을 사용할수록 직무 소진이 높아졌으나 직무 열의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이들이 내면행동을 사용할수록 직무 열의가 높아졌으나 직무 소진은 변화하지 않았다. 특히 조리원의 감정노동은 표면행동이 내면행동에 비해 강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감정노동 상황에서 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변인은 표면행동으로 인한 직무 소진임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하지만 표면행동이 직무 열의를 낮추지는 않는다는 점과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지는 않았다는 점을 통해 표면행동 상황에서도 내면행동이 유발될 수 있으며, 내면행동의 증가로 직무 소진을 낮추지는 못하지만 직무 열의를 증가시킴으로써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하겠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먼저 이론적인 측면에서 감정노동의 두 가지 전략, 즉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을 직무장면의 주요 결과변인인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감정노동 전략의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실제적인 측면에서 감정노동자의 감정노동 행위가 부정적인 결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조리원을 대상으로 내면행동의 의미, 필요성, 결과에 대한 교육을 통해 긍정적 감정노동 전략을 학습시킴으로써 감정노동 종사자의 직무태도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을 수행할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표면행동이 직무 소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주기적인 감정노동 진단을 통해 낮은 내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strategies, burnout, and work engag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as well as verify differential effects of two emotional labor strategies on burnout and work engagement. Our survey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이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조리원의감정노동에 대한 적절한 대책 및 개입요소를 알아보기 위해실시되었다. 조사는 2014년 3월 3일부터 2014년 4월 25일까지 총 35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350부를 분석에사용하였다.
  • 다음으로 실제적인 측면에서 감정노동자의 감정노동 행위가 부정적인 결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향후 조리원을 대상으로 내면행동의 의미, 필요성, 결과에대한 교육을 통해 긍정적 감정노동 전략을 학습시킴으로써감정노동 종사자의 직무태도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을 수행할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표면행동이 직무소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주기적인 감정노동 진단을 통해 낮은 내면행동과 높은 표면행동을주로 사용하는 종업원의 경우 직무 소진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사전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 경북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들이 인지하는 감정노동의 2가지 전략과 직무 소진 및 직무열의를 살펴보고, 표면행동과 내면행동 같은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Education. 2014. Position of school Foodservice of 2012. http://www.moe.go.kr/web/100066/ko/board/view.do?bbsId318&boardSeq53992#me2day (accessed Sep 2014). 

  2. Kim HC, Baek SH.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school dietitians,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orean J Culinary Res 17: 18-34. 

  3. Kim GM, Lee SY. 2007. Effects of job stress factors on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levels of school dietitians in the Seoul and Incheo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143-151. 

  4. Song NC, Lee HS, Lee KE. 2007. The factors (job burnout, job engagement, the workplace safety) influencing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unity Nutr 12: 606-616. 

  5. Brotheridge CM, Grandey AA. 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 Vocational Behavior 60: 17-39. 

  6. Lee HM, Han JS. 2014. The effects of perceived expression request on the emotional labor,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hotel employees: A case of five star hotels in Seoul.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23: 105-122. 

  7. Na YS, Cho SH, Lee OJ. 2011.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dissonance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tel and foodservice culinary employees; focusing on the culinary-related service. Korean J Culinary Res 17: 104-116. 

  8. Hochschild A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USA. p 7. 

  9. Dollard MF, Dormann C, Boyd CM, Winefield HR, Winefield AH. 2003. Unique aspects of stress in human service work. Australian Psychologist 38: 84-91. 

  10. Brotheridge CM, Lee RT. 2002.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J Occup Health Psychol 7: 57-67. 

  11. Judge TA, Woolf EF, Hurst C. 2009. Is emotional labor more difficult for some than for others?: A multilevel, experience-sampling study. Personnel Psychology 62: 57-88. 

  12. Yi R, Gim WS, Shin KH. 2006. The role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i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with burnout and engagement: call centre employee case. Korean J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 573-596. 

  13. Heo CG. 2014.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customer-related social stressor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 3524-3533. 

  14. Choi EY, Kim HA. 2012. Effect of job stress on job burnout of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97-110. 

  15. Choi KB, Shin KJ, Lyu ES. 2009.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s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Busan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619-631. 

  16. Im HJ, Lee YE. 2011. Job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Human Ecology 20: 651-663. 

  17. Cho IJ, Lee HS. 2012.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dietitians working at foodservice of the correctional institution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7: 321-328. 

  18. Kim HA. 2010. Contribution of emotional labor to job stress of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1-53. 

  19. Lee HY. 2014.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exhaustion of school dietitians: comparison on level of self-efficacy. Korean J Food Cookery Sci 30: 84-91. 

  20. Kim HA, Jung HY. 2012. Understanding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job attitud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itchen staff. Korean J Food Culture 27: 354-366. 

  21. Diefendorff JM, Croyle MH, Gosserand RH. 2005.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J Vocational Behavior 66: 339-357. 

  22. Schaufeli WB, Leiter MP, Maslach C, Jackson SE. 1996.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In MBI Manual. 3rd ed. Maslach C, Jackson SE, Leiter MP, eds.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alo Alto, CA, USA. p 22-26. 

  23. Bakker AB, Demerouti E, Verbeke W. 2004. Us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to predict burnout and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43: 83-104. 

  24. Maslach C, Schaufeli WB, Leiter MP. 2001. Job burnout. Annu Rev Psychol 52: 397-422. 

  25. Shirom A. 2002. Job related burnout: A review. In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Quick JC, Tetrick LE, ed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p 245-264. 

  26. Cordes CL, Dougherty TW. 1993.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 621-656. 

  27. Leiter MP. 1993. Burnout as a developmental process: Consideration of models.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Schaufeli W, Maslach C, Marek T, eds. Taylor and Francis, Washington, DC, USA. p 237-250. 

  28. Schaufeli WB, Bakker AB. 2003.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Preliminary manual.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Unit, Utrecht University, Utrecht, Netherlands. 

  29. Lee O, Cho M, Chang H. 2014. The organization commitment and percep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employment types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62-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