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POS 시스템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POS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4 no.2, 2015년, pp.143 - 158  

윤정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 경영연구원) ,  문현실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 경영연구원) ,  김재경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 경영연구원) ,  최주철 ((주)컨팩)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anies and governments in an era of big data have been tried to create new values with their data resources. Among many data resources, many companies especially pay attention to data which is obtained from Social Network Service (SNS) because it reveals precise opinion of customers and can be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상의 담론을 실시간으로 수집 및 저장하고 키워드를 중심으로 SNS 데이터와 판매 데이터를 매칭하여 그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S-POS(Social POS)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특히 S-POS 시스템은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으로 기존의 유통망에 보급되어 있는 POS 시스템을 활용하고 판매 집계정보와 더불어 SNS 분석 결과를 시스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에 따라 고객 접점에서의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 또한 고객 접점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적절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환경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POS 시스템을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하는 한편 SNS 데이터와 판매 데이터 간의 매칭을 통해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여 위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려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OS 시스템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가? 하지만 현재의 POS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편적인 정보만으로 제공하는 소비자 서비스는 한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되는 SNS 데이터와 판매데이터를 매칭하여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POS 시스템을 제안하게 되었다. 첫째,SNS 상의 단어와 POS 데이터를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제품 추천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SNS 상의 사용자들이 현재 맵다라는 키워드를 지닌 담론을 주로 생성할 때 소비자가 라면을 구입하려 하면 매운 라면을 POS 단말기를 통해 추천할 수 있다. 둘째, 신상품을 출시했을 때 판매추이뿐만 아니라 키워드로 매칭된 SNS 상의 의견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신상품의 판매 현황과 해당 상품에 대한 정확한 의견의 수집이 가능하여 신상품 판매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이 용이해진다. 마지막으로 고객 관계 관리(CRM) 관점에서 S-POS시스템은 고객의 구매 기록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석 원천으로 사용될 수 있는 SNS 데이터의 수집및 저장 방법을 제안한다. 고객 관계 관리는 기존고객, 신규 고객 및 잠재 고객의 요구를 이해하고 예측하여 고객을 관리하는 것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과정으로 이를 위해서는 고객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의 수집이 필수적이다(Kim et al., 2009; Zhanget al.
POS는 무엇인가? POS는 “Point Of Sales”의 약어로 판매시점정보관리를 의미하며 POS 시스템은 매장에서 상품 및 서비스가 판매되는 시간과 장소에서 그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취득 및 처리하여 필요한 일련의 조치가한 번에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POS 시스템은 바코드, 광학스캐너, 카드리더 등과 결합되어 있는 PC나 단말기(Terminal)로 구성되며 일련의 판매를 통해 생성 및 수집되는 데이터는 일차적으로 재고관리 등에 활용된다.
POS 시스템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POS는 “Point Of Sales”의 약어로 판매시점정보관리를 의미하며 POS 시스템은 매장에서 상품 및 서비스가 판매되는 시간과 장소에서 그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취득 및 처리하여 필요한 일련의 조치가한 번에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POS 시스템은 바코드, 광학스캐너, 카드리더 등과 결합되어 있는 PC나 단말기(Terminal)로 구성되며 일련의 판매를 통해 생성 및 수집되는 데이터는 일차적으로 재고관리 등에 활용된다. 또한 판매 활동으로부터 수집되는 고객의 행동에 관한 정보는 적절한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통해 마케팅 활동에 활용되고 있다(Kim,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ae, S.B., S.H. Ahn, and S.I. Jeon, "Big Data : The Epicenter of Industrial Cataclysm",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CEO Information, Vol.851, 2012, 1-25. (채승병, 안신현, 전상인, "빅데이터 : 산업 지각변동의 진원",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제851권, 2012, 1-25.) 

  2. Cho, S.A., S.H. Kim, and D.H. Lee, "Software Integrity Verification Method in POS System",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22, No.5, 2012, 987-997. (조성아, 김성훈, 이동훈, "POS 시스템 내 소프트웨어 무결성 검증 방안",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2권, 제5호, 2012, 987-997.) 

  3. Cho, S.W., "Technology of an Era of Big Data", KT Technologies Lab, 2011, 5-7. (조성우, "Big Data 시대의 기술", KT 종합기술원, 2011, 5-7.) 

  4. Cho, Y.L., "Understanding of Big Data and Major Issu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16, No.3, 2013, 43-65. (조영임, "빅데이터의 이해와 주요 이슈들",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6권, 제3호, 2013, 43-65.) 

  5. Choi, D.S. and Y.M., Kim, "Big Data and Enterprise Security 2.0",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Vol.30, No.6, 2012, 65-72. (최대수, 김용민, "빅 데이터와 통합보안 2.0", 정보과학회지, 제30권, 제6호, 2012, 65-72.) 

  6. Choi, H.G. and E.J., Hwang, "Emotion-bas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witter Document Analysis",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Vol.18, No.11, 2012, 762-767. (최홍구, 황인준, "트위터 문서 분석을 통한 감정 기반의 음악 추천 시스템",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제18권, 제11호, 2012, 762-767.) 

  7. Choi, K.H., "An Investigation on Service Quality of SNS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Business Adminstration Research Institute, Vol.5, No.2, 2012, 1-29. (최규현, "사용자의 만족도 및 기대를 바탕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조사", 경영관리연구, 제5권, 제2호, 2012, 1-29.) 

  8. Choi, Y.K., "Reality and Strategy of Social Media as Marketing Tool", Marketing, Vol.44, No.8, 2010, 31-37. (최영균, "마케팅 툴로서 소셜미디어의 실제와 전략", 마케팅, 제44권, 제8호, 2010, 31-37.) 

  9. Han, C.Y. and H.W. Jang, "An Empirical Study on the Use of POS System for Inventory Efficiency",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Vol.10, No.1, 2005, 81-88. (한창엽, 장형욱, "기업의 재고 수준 효율화를 위한 POS 시스템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2005, 81-88.) 

  10. Hong, M.K.,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using SNS", Advertising Research, No.91, 2011, 515-547. (홍문기,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광고연구, 제91권, 2011, 515-547.) 

  11. Jansen, B.J., M. Zhang, K. Sobel, and A. Chowdury, "Twitter Power : Tweets as Electronic Word of Mouth",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60, No.11, 2009, 2169-2188. 

  12. Jeon, M.A., S.H. Jun, S.M. Rho, and E.J. Hwang, "Music Recommendation Scheme based on the Analysis of Twitter Hash Tags and Tweets", Conference on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2013, No.6, 2013, 1257-1259. (전민아, 전상훈, 노승민, 황인준, "트위터 해시태그와 트윗 분석을 통한 음악 추천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013권, 제6호, 2013, 1257-1259.) 

  13. Kim, D.H., "Importance of POS Data and Strategic Application Plan", Marketing, Vol.31, No.9, 1997, 26-30. (김동훈, "POS 데이타의 중요성과 전략적 활용방안", 마케팅, 제31권, 제9호, 1997, 26-30.) 

  14. Kim, D.H. M.S. Kang, and C.J. Park, "Development of RFID-based Automatic Analytical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for Ubiquitous CRM in an Exhibit Hall",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12, No.1, 2009, 85-96. (김도현, 강문석, 박찬정, "전시장에서 유비쿼터스형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RFID 기반의 분석정보 자동생성 시스템 개발",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2009, 85-96.) 

  15. Kim, J.Y., J.P., Shim, and K.M., Ahn, "Social Networking Service : Motivation, Pleasur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Vol. 51, No.4, 2011, 92-101. 

  16. Kim, Y.H. and E.N., Huh, "Dynamic Big Data Analytics System Architecture on Hadoop and Mongo DB", Conference on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2014, 128-129. (김용현, 허의남, "Hadoop과 Mongo D/B를 이용한 동적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조",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4, 128-129.) 

  17. Kim, Y.J., "Use and Gratification Research about Social Network Service", Media, Gender and Culture, Vol.20, 2011, 71-105. (김유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0권, 2011, 71-105.) 

  18.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Survey of Internet User Using SNS", 2009.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 이용 자의 SNS 이용실태조사", 2009.) 

  19. Korea Database Agency, "Big Data Analysis Trends", Database White Paper, 2013, 214-241. (한국데이터베이스 진흥원, "빅데이터 분석 동향", 데이터베이스백서, 2013, 214-241.) 

  20. Kwak, H.W., C.H. Lee, H.S. Park, and S.B., Moon, "IS Twitter Social Network?", Institute of Communication Research, Vol.48, No.1, 2011, 87-113. (곽해운, 이창현, 박호성, 문수복, "트위터는 소셜 네트워크인가?",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2011, 87-113.) 

  21. Lee, M.J., "Big Data and the Utilization of Public Data",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Vol.2, No.2, 2011, 47-64. (이만재, "빅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 활용",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제2권, 제2호, 2011, 47-64.) 

  22. Lee, B.Y., J.T. Lim, and J.S. Yoo, "Utilization of Social Media Analysis Using Big Data",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2, 2013, 211-219. (이병엽, 임종태, 유재수, "빅 데이터를 이용한 소셜 미디어 분석 기법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2013, 211-219.) 

  23. Lee, J.N., E.J. Byun, and J.M. Han, "A Study on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Social Media in Organizations : A Focus on Twitter",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10, No.4, 2011, 149-169. (이재남, 변유진, 한재민, "기업의 소셜미디어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 트위터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0권, 제4호, 2011, 149-169.) 

  24. Lee, K.Y., K.H. Nam, J.C. Shim, K.S., Cho, and W., Ryu, "Establishing Knowledge Base for Using Big Data in the Public Center",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30, No.6, 2012, 40-46. (이강용, 남궁현, 심재철, 조기성, 류원, "공공분야에 서의 빅 데이터 활용을 위한 지식자산 (Knowledge Base) 구축", 정보과학회지, 제30권, 제 6호, 2012, 40-46.) 

  25. Lee, S.Y. and L.S. Jung,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Network Services in the Context of Web 2.0 Perio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9, No.4, 2010, 143-167. (이석용, 정이상, "웹 2.0 시대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에 관한 고찰", 경영과 정보연구, 제29권, 제4호, 2010, 143-167.) 

  26. Oh, Y.S., "Market Analysis Using POS DATA", Marketing, 1998, 55-58. (오영석, "POS DATA 를 활용한 시장 분석", 마케팅, 1998, 55-58.) 

  27. Park B.K. and T.H. Kim, "Design and Applications of the POS System for Wallpaper Companies",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6, No.3, 2001, 1-16. (박병권, 김태현, "벽지업체를 위한 POS 시스템 설계 및 활용 방안",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6권, 제3호, 2001, 1-16.) 

  28. Park, Y.S. and Y.S. Kim,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the Usage of Social Network Service : Focusing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nd the Flow",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11, No.1, 2012, 247-272. (박윤서, 김용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요인간 구조적 관계 : 기술수용 모델(TAM)과 플로우(Flow)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1권, 제1호, 2012, 247-272.) 

  29. Shin, D.H., S.H. Cho, J.T. Lee, and Y.H.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POS System using PDA in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3, No.1, 2003, 47-57. (신동헌, 조수현, 이준택, 김영학,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PDA 를 이용한 웹 기반 POS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3권, 제1호, 2003, 47-57.) 

  30. Song, E.J., "A Study on the Case Analysis of Customer Reputation Based on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7, No.10, 2013, 2439-2446. (송은지, "빅 데이터를 이용한 고객평판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2013, 2439-2446.) 

  31. Song, H.J., S.B. Park, and S.J. Lee, "User Profiles Identification from Mobility and Social Media Texts",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Vol.19, No.7, 2013, 393-397. (송현제, 박성배, 이상조, "모빌리티와 소셜 미디어 텍스트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식별",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제19권, 제7호, 2013, 393-397.) 

  32. Syed-Ahmad, S.F. and J. Murphy, "Social Networking as a Marketing tool : The Case of a Small Australian Company",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and Management, Vol.19, No.7, 2010, 700-716. 

  33. Tsukida, I., T. Kinoshita, M. Yamamoto, T. Itani, R. Ishihara, and M. Yamamoto, "Development of DCMSTORE-POS, a POS System for Mass Retailers Based on Human-Centered Design", NEC Technical Journal, Vol. 8, No.3, 2014, 81-85. 

  34. Wu, X., X. Zhu, G.Q. Wu, and W. Ding, "Data Mining with Big Data",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Vol. 26, No.1, 2014, 97-107. 

  35. Yoo, H.L. and I.K. Song, "Evolution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Depend on Web Service Change",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1, No.3, 2010, 52-62. (유혜림, 송인국, "웹 서비스 형태 변화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진화",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제11권, 제3호, 2010, 52-62.) 

  36. Zhang, Y.R., S.C. Kang, and D.H. Min, "Impact of CRM Activities on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the Relational Benefits : A Focus on the Cosmetic Industry",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Vol.10, No.2, 2011, 21-39. (장원용, 강승철, 민대환, "고객 접점에서의 CRM 활동이 관계혜택을 매개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산업을 중심으로", 한국 IT서비스학회지, 제10권, 제2호, 2011, 21-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