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주관적 건강상태와 영향요인: 사회경제적 상태와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Elderly: Focused on Socioeconomic Status and Family Support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2, 2015년, pp.140 - 149  

오세은 (단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간호학과) ,  고영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and related factors for Korean Elderly. Methods: Data from the survey for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in 2010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weighted propor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및 사회경제적 상태와 가족지지가 노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편적인 분석에서 더 나아가 사회경제적 상태와 노인의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가족지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자기보고적 건강영역에서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에 일관성이 없어[3,13], 본 연구에서 노인의 건강수준 중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집단의 건강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에 있어 우선순위 대상 및 중재전략을 개발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본 연구는 2012년 3차년도 고령화연구패널 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 논문으로 남녀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주관적 건강상태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기술연구이다.
  • 이렇게 가족지지가 사회경제적 위치로 인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에서만 가족지지를 영향요인으로 고려해왔다[11,15].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및 사회경제적 상태와 가족지지가 노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편적인 분석에서 더 나아가 사회경제적 상태와 노인의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가족지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자기보고적 건강영역에서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에 일관성이 없어[3,13], 본 연구에서 노인의 건강수준 중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평균수명의 연장과 노인인구의 증가로 노인인구의 건강불평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인구 집단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주관적 건강상태 수준을 파악하고, 남녀노인에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경제적 상태와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고 불건강한 상태에 있었다.
  • 노인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과 연령이 포함되었다. 질환 이환정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의사에게 진단을 받은 질환을 조사 하였다. 사회경제적 상태로는 교육수준과 경제수준(연간 가구자산)이 포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불평등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우리나라는 건강잠재력 강화와 질병과 조기사망 감소로 인구 집단간 건강격차를 완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수명을 연장하고, 건강불평등을 감소시키는 것을 국가 건강증진목표로 삼고 있다[1]. 건강불평등은 하나의 집단과 다른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건강상태가 서로 다른 것으로, 주로 건강상태는 사회경제적 상태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그 결과 소득격차에 따라 불평등한 결과가 나타나기 쉽다. 이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격차가 일관되게 증대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기존 연구결과에서도 확인된 사실이다[2-4].
노인 집단에서 건강불평등을 확인하고 감소하는 국가보건정책이 필요한 이유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데에는 노인인구의 특성이 동질하며 일반적으로 건강상태가 나쁘고, 명확한 건강 결정요인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이 장애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8]. 그러나 노년기는 사회경제적 요인의 누적적 결과로 건강불평등이 가장 심각하게 나타나는 시기이며[9], 노인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나타나는 노화 현상과 더불어 가정이나 사회에서의 역할변화로 인해 의료이용 및 기타 자원의 접근성이 낮아져 역건강 결과가 생겨나기 쉽다[10]. 그러므로 다른 어느 집단보다 건강한 노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노인 집단에서 건강불평등 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국가보건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건강불평등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건강잠재력 강화와 질병과 조기사망 감소로 인구 집단간 건강격차를 완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수명을 연장하고, 건강불평등을 감소시키는 것을 국가 건강증진목표로 삼고 있다[1]. 건강불평등은 하나의 집단과 다른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건강상태가 서로 다른 것으로, 주로 건강상태는 사회경제적 상태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그 결과 소득격차에 따라 불평등한 결과가 나타나기 쉽다. 이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격차가 일관되게 증대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기존 연구결과에서도 확인된 사실이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3rd national health plan (2011-2020). 2011.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July. Report No.: 11-1352000-000285-13. 

  2. Lee SM. A study on health status by social class an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mong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2;22(3):135-157. 

  3. Woo H, Yoon I. Differences in the health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by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01;9:67-106. 

  4. Huisman M, Kunst AE, Mackenbach JP.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bidity among the elderly; A European overview. Social Science & Medicine. 2003;57(5):861-873. 

  5. Kang E. Educational attainment and subjective unhealthinessan exploration of the mediat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08;14(1):51-74. 

  6. Kim HR.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Seoul,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05:25(2):3-35. 

  7. Kim YS. Equity in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by income: Analyzing different populations in old adult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2;31:55-81. 

  8. Grundy E, Holt G. The socioeconomic status of older adults: How should we measure it in studies of health inequaliti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001;55: 895-904. http://dx.doi..org/10.1136/jech.55.12.895 

  9. Park K. The future of inequality in old ag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01;35(6):141-168. 

  10. Flasherud JH, Winslow BJ. Conceptualizing vulnerable populations health-related research. Nursing Research. 1998;47(2): 69-78. 

  11. Jeon G, Jang S, Rhee S.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gender difference of disability and subjective health among elderly Korean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09;42(3):199-207. 

  12. Huisman M, Kunst AE, Andersen O, Bopp M, Borgan J-K, Borrell C, et al.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among elderly people in 11 European population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004;58:468-475. http://dx.doi.org/10.1136/jech.2003.010496 

  13. Kim J. Equity in health level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of elderly people in Korea.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1; 27(2):65-87. 

  14. Kim J, Won S. The impact of late-life poverty on self-rated health: A mediated moderation model of health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1;31(3):463-478. 

  15. Kim D, Yoo B, Min J.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elderl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1;42(3):267-290.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Strategy for integrating gender analysis and actions into the work of WHO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cited 2015 April 1]. Available from: http://whqlibdoc.who.int/publications/2009/9789241597708_eng_Text.pdf 

  17. Lynch JW, Kaplan GA. Socioeconomic position. In: Berkman LF, Kawachi I, editors. Social Epidemi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 13-25. 

  18. van Oort FV, van Lenthe FJ, Mackenbach JP. Material, psychosocial, and behavioural factors in the explanation of educational inequalities in mortality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Epidemiological and Community Health. 2005;59(3):214-220. http://dx.doi.org/10.1136/jech.2003.016493 

  19. Park JH, Lim S, Lim J, Kim K, Han M, Yoon IY, et al. An overview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Psychiatry Investigation. 2007;4(2):84-95. 

  20. Back JH, Lee Y. Gender differe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ircis. 2011; 52(3):e140-e144. 

  21. Won CW, Yang KY, Rho YG, Kim SY, Lee EJ, Yoon JL, et al.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2;6(2):107-120. 

  22. Boey KW. Cross-valid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ES-D in chines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99;14(8):608-617. 

  23. Vlachantoni A. Financial inequality and gender in older people. Maturitas. 2012;72(2):104-107. http://dx.doi.org/10.1016/j.maturitas.2012.02.015. 

  24. Deeg DJ, Portrait F, Lindeboom M. Health profiles and profile-specific health expectancies of older women and men: The netherlands. Journal of Women & Aging. 2002;14(1-2): 27-46. http://dx.doi.org/10.1300/J074v14n01_03 

  25. Davidson PM, Digiacomo M, McGrath SJ. The feminization of aging: How will this impact on health outcomes and servic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011;32(12): 1031-1045. http://dx.doi.org/10.1080/07399332.2011.610539 

  26. Kim J, Song Y, Paek E. Education and self-rated health: The links through labor-market status and economic statu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13;47(2):211-239. 

  27. Jang SN. Life course approach on health disparities i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3;17(3): 111-117. http://dx.doi.org/10.4235/jkgs.2013.17.3.111 

  28. Oh YH, Bae HO, Kim YS. A study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self-perceived health of older persons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6;26(3): 461-4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