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전기 남동부 연해읍성의 축조유형 구분과 이건배경
The construction classification of coastal castl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 background on their relocation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4 no.4, 2015년, pp.29 - 44  

권순강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재)우리문화재연구원 건축고고과) ,  이호열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astal eupseongs, which are mainly built in the period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are essential materials in studying the history of Joseon period eupseo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nect the annexation of local districts with the reloca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e, so a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국시대에는 무엇 때문에 연해 군현이 발전하여 연해 지역에 비교적 큰 군현들이 경영되고 있었는가? 삼국시대에는 남해안의 해상교역의 중요성으로 인해 연해 군현이 발전하여 연해지역에 비교적 큰 군현들이 경영되고 있었다. 하동군, 고성군, 남해군, 거제군, 의안군, 동안군(生西良), 동래군이 설치되어 있었다.
읍성은 어떤 요소로 축조 여부와 규모가 결정되는가? 읍성은 전략적 중요도, 왜사신의 왕래도로, 군현의 위계에 따라 축조여부와 규모가 결정된다. 이중 규모는 변방의 군사적 목적으로 건립한 군현을 제외한 일반 군현에 서는 군현의 위계와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
경남, 부산, 울산 지역의 연해읍성 14기에서, 평지성은 김해, 창원, 고성, 남해, 거제 사등성, 웅천, 진해 모두 7(50%)곳이지만 이에 반해 평산성은 모두 몇 곳인가? 한편 경남, 부산, 울산 지역의 연해읍성 14기에서 평지성은 김해, 창원, 고성, 남해, 거제 사등성, 웅천, 진해 모두 7(50%)곳이다. 평산성은 동래, 울산, 곤양, 사천, 거제 고현성, 기장 모두 6곳(43%)이며, 산성은 하동이 1곳 (7%)이다. 사등성(1448년 완공)은 1451년 고현성으로 이건하는데 평지성에서 평산성에 이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三國史記, 서울亞細亞文化社刊, 1145년 

  2. 高麗史地理志, 서울亞細亞文化社刊, 1451 

  3. Joseon wangjo sillok(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belonging to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4. 慶尙道地理志, 서울亞細亞文化社刊, 1425. 

  5. 慶尙道續撰地理志, 서울亞細亞文化社刊, 1469. 

  6. 新增東國輿地勝覽, 민족문화추진회, 1530 

  7. 嶺南邑誌, 1894. 

  8. 大東地誌, 東國輿地志 漢陽大學校附設國學硏究院 影印本, 1974 

  9. The Original Cadastral Map(地籍原圖), National Archive of Korea. 

  10. Sim, Jeong Bo, A Study of the town-walls located in Korea, 學硏文化社, 1999.9. 

  11. Lee, Soo Gun,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1989. 

  12. 한글학회, 한국 지명 총람 10, 한글학회, 2003,3. 

  13. 李春先, 金海 鳳凰洞 土城址, (財)東西文物硏究院, 2010, 5. 

  14. 財團法人 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慶尙南道敎育廳, 金海古邑城, 세종문화사, 2008, 10. 

  15. 金海市. 慶南文化財硏究院, 김해 가야사 2단계 조성사업 주차장 부지 내 김해 대성동유적, 오션커뮤니케이션스, 2013, 3. 

  16.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馬山市, 馬山 會原縣城-馬山 會原縣城 整備復元을 爲한 發掘調査報告書-, 삼덕정판인쇄, 2008. 4. 

  17. 固城郡.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固城邑城址地表調査報告書, 昌原綜合印刷, 2001, 12. 

  18. 東亞大學校博物館, 固城邑城址, 世宗文化社, 2006, 3. 

  19. 경남발전연구센터 역사문화센터, 고성 서외리 49번지 일원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4,11. 

  20. Lee, Il Gab, A Study on the Coastal Town-Wallls in the Gyeongnam Area, Dong-A University, 2007. 

  21. Choi, Shin Kyu, Inscribed Tile unearthed seoori-ri, Goseong, review, Goseong(고성), 2014. 

  22. Kim, Gwang Chul, The change of Geoje Community and the movement of GeojeHyeon(巨濟縣) in the late Coryeo Dynasty, JOURNAL OF SEODANG ACADEMY VOLUME 46, 2010.3 

  23. An, Seong Hyeon, A Study on the Earthen Fortifications 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in Gyeongnam Region, Korea Fortress Academy, 2012, 5. 

  24. Yoon, Kyeong Jin, The Implementation and the Reorganization of Gyogun/僑郡units in the ending days of Koryeo and the beginning of Joseon, Korea culture, 2007,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