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지역 청소년의 채소 선호에 따른 식생활습관 및 영향요인 비교
A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Vegetable Preferences of Adolescents in Gyeongnam Provinc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0 no.4, 2015년, pp.259 - 272  

곽수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우태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 ,  이경애 (부산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 higher consumption of vegetables is emphasized as the core component of most dietary guidelines.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ietary habits and influencing factors of vegetable preferences of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채소 선호도를 중심으로 채소선호 및 비선호군으로 나누어 채소선호군별로 식생활 습관 및 청소년을 위한 식생활 지침 실천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채소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인지이론의 구조에 따라 분석하여 추후 청소년 대상 영양중재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이나 호주, 일본 등에서는 채소의 선호도를 높이고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책들은? 채소 섭취는 건강한 식생활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로써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채소나 과일의 섭취를 증진시키기 위한 캠페인을 실시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7] 미국이나 호주, 일본 등에서는 채소의 선호도를 높이고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학교급식에서 학생들에게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제공함으로써 과일과 채소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채소나 과일을 먹는 습관을 형성하기 위해 신선과일채소급식(Fresh Fruit and Vegetable Program)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8], 전 미국인을 대상으로 1991년부터 ‘5 A Day for Better Health’ 캠페인으로 채소와 과일을 하루 400g, 약 80g 정도의 분량을 5회 이상 섭취할 것을 권고해왔다 [9]. 호주에서는 채소 및 과일 섭취를 증진시키기 위해 ‘Go for 2&5’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7]. 일본에서도 ‘건강 일본21’의 제2차 세부 식생활지침에서 2010년도 채소 평균섭취량 282 g에서 채소섭취를 350 g으로 높이는 목표로 세우고 미국의 ‘5 A Day for Better Health’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채소 섭취량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10].
최근 청소년의 식생활에서 거론되고 있는 영양문제로는?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올바른 식습관을 가지고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1]. 최근 청소년의 식생활에서 거론되고 있는 영양문제로써 외식, 간식, 패스트푸드 및 탄산음료 섭취는 증가하고 채소·과일의 섭취는 감소하는 것 등이 있다 [1, 2]. 특히, 청소년의 채소 섭취율은 2008년 이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1일 3회 이상 채소를 섭취하고 있는 청소년은 15.
청소년기란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단계로서 태아기에 이어 제 2의 성장기이며, 신체적·심리적·사회적인 면에서 급속한 성장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식생활에 있어서도 이 시기에 식사 관련 행동이나 식습관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고, 또래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 때의 식습관은 성인기의 식습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ee KH, Kim KW, Lee YK, Lee SM, Son SM. Practice in nutrition education & counseling. 3rd ed. Seoul: Life Science Pulishing Co; 2015. p. 31, 353-364. 

  2. Cho SH, Yoo HH.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19-533. 

  3.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10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ternet]. 2014 [cited 2015 Feb 10]. Available from: http://yhs.cdc.go.kr.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internet]. 2014 [cited 2015 Jan 10].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5. Marlett JA. Sites and mechanisms for the hypocholesterolemic actions of soluble dietary fiber sources. Adv Exp Med Biol 1997; 427(1): 109-121. 

  6. Jenkins DJ, Kendall CW, Axelsen M, Augustin LS, Vuksan V. Viscous and nonviscous fibers, nonabsorbable and low glycaemic index carbohydrates, blood lipids and coronary heart disease. Curr Opin Lipidol 2000; 11(1): 49-56. 

  7. Pollard CM, Nicolson C, Pulker CE, Binns CW. Translating government policy into recipes for success! Nutrition criteria promoting fruits and vegetables. J Nutr Educ Behav 2009; 41(3): 218-226. 

  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resh fruit and vegetable program [internet]. 2002 [cited 2015 Feb 1]. Available from: http://www.fns.usda.gov/ffvp. 

  9. Hong JH, Cho MS. Acceptance of vegetable menus of a school lunch program by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its association with health and dietary behavioral facto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2; 44(1): 121-134. 

  10.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The 2nd Health Japan 21[internet]. 2013 [cited 2015 Feb 1]. Available from: http://www.kenkounippon21.gr.jp.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p. 609.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Plan 2020 [internet]. 2011 [cited 2014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 

  13. Kim GR, Park SH, Kim MJ. A survey on intake of vegetable foods for proper dietary habit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ulinary Res 2007; 13(4): 128-137. 

  14. Ahn YK, Ro HK. A survey on preferences for vegetable cooking methods and vegetable-aversion-rel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wangju and Chonnam region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5): 531-544. 

  15. Ahn Y, Kim KW. Beliefs regarding vegetable consumption,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in vegetable consumption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1-13. 

  16. Ham E, Choi MK. Evaluation of vegetable intake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of adolescents in Chu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6): 926-933. 

  17. Contento IR. Nutrition education-link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1st ed. Sudbury: Jones and Barlett Publishers; 2006. p. 88-108, 91, 122, 125, 117-118. 

  18. Middaugh AL, Fisk PS, Brunt A, Rhee YS. Few associations between income and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J Nutr Educ Behav 2012; 44(3): 196-203. 

  19. Kim JY.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 and perception for vegetables depending on their knowledge of nutrition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graduated school of education; 2013. p. 58-65. 

  20. Chung SJ. Usage the stage of change model preceed-proceed model. Proceedings of 2006 Workshop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6 Feb 2; Seoul: p. 1-10. 

  21. Baek JY, Kim HY. Vegetable eating behavior an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Korean J Food Cult 2007; 24(2): 146-154. 

  22. Chung EJ, Lee SH, Ahn HS. Vegetable preferenc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nutritional knowledge and health-related variables in 5th and 6th grade schoolchildren. J Korean Diet Assoc 2009; 15(2): 83-96. 

  23. Jung HK, Jo HJ, Choi MJ. A study on vegetable & fruit eating habits and dietary fiber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 J Korean Soc School Health Educ 2011; 12(3): 43-64. 

  24. Suh YS, Choi AS, Chung YJ.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with the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by stage of chang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ungnam province. Korean J Nutr 2009; 42(7): 639-649. 

  25. Suh YS, Chung YJ.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vegetable and fruit intak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re-action stages. Korean J Nutr 2010; 43(6): 597-606. 

  26. Lanfer A, Bammann K, Knof K, Buchecker K, Russo P, Veidebaum T et al. Predictors and correlates of taste preferences in European children: The IDEFICS study. Food Qual Preference 2013; 27(2): 128-136. 

  27. Park SH, Park HR, Jeon SB, Jeong SY, Tserendejid Z, Seo JS, Lee KH, Lee YK. Awareness and practice of dietary action guide for adolesc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2): 133-145. 

  28. Cho HS, Choi MK. A study on body image and dietary habits by body mass index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nam. Korean J Food Nutr 2010; 23(3): 368-375. 

  29. Park SH, Kim MJ. Acceptance and preference of vegetables in menu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12): 1660-1666. 

  30. Cho HK, Kim MH.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in university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aste preference. J Korean Diet Assoc 2010; 16(2): 100-115. 

  31. Ku UH, Seo JS.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2): 151-162. 

  32. Wardle J, Cooke LJ, Gibson EL, Sapochnik M, Sheiham A, Lawson M. Increasing children's acceptance of vegetables; a randomized trial of parent-led exposure. Appetite 2003; 40(2): 155-162. 

  33. Woo TJ, Lee KH. Effects of sensory education based on classroom activities for lower grade school children. Nutr Res Pract 2013; 7(4): 336-341. 

  34. Woo TJ, Lee KH. Relationship between sweet preferences and motivation factors of 2nd grade schoolchildren. Korean J Food Nutr 2014; 27(3): 383-392. 

  35. Kristal AR, Glanz K, Tilley BC, Li S. Mediating factors in dietary change: understanding the impact of a worksite nutrition intervention. Health Educ Behav 2000; 27(1): 112-125. 

  36. Liem DG, Mars M, Graaf C. Sweet preferences and sugar consumption of 4-and 5-year-old children: role of parents. Appetite 2004; 43(3): 235-2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