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념의 연계성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 달과 암석의 순환 개념을 중심으로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Science Curriculum Concepts Continuity - Focus on the Concepts of Moon and Rock cycle -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4, 2015년, pp.677 - 689  

이효녕 (경북대학교) ,  김진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박병열 (경북대학교) ,  전재돈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6개국(대만, 영국, 핀란드, 미국, 캐나다, 한국)의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에 초점을 둔 비교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과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NCIC)에서 수집한 각 나라의 교육과정 원문과 국문 번역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교육과정 구성의 특징과 종적 횡적 연계성 요소를 기초로 한 과학과 내의 '달'과 '암석의 순환'에 대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제적으로 교육과정의 학년 간 그리고 교과 간 연계의 강화를 위해 빅 아이디어(Big Ideas)나 교차 개념(Crosscutting Concepts) 등과 같은 연결 고리의 역할을 하는 개념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도 시스템의 관점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내용에 대해서는 비교 국가들 중 우리나라는 '달'과 '암석의 순환'에 대해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고 있었으나, 달의 내용 중 일부를 초 중 고등학교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동일하게 다루고 있는 단순 반복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암석의 순환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다양한 관점과 수준에서 다루어 비교적 짜임새 있는 조직 구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도 교육과정의 연계성 강화를 위해 이러한 연결 고리 역할을 할 수 있는 적합한 도구가 요구되며, 그 방안으로 시스템적 접근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학년 수준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 발달 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to strengthen the science curriculum continuity of Korea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focus on the continuity of science curriculum in six countries (Taiwan, the United Kingdom, Finland, the United States, Canada, Korea). Orig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정 개정의 초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다양한 이유로 제1차에서부터 제7차, 2007 개정, 그리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지나면서 내용상의 체계와 구성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Leem & Kim, 2013; Park, 2005). 특히, 교육과정의 질과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사회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모든 학년에 걸쳐 각 교과에 대한 내용 지식을 더욱 긴밀하게 구성하고 체계적으로 연계시키는데 교육과정 개정의 초점을 두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2012). 이와 같이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과정에서 내용 상의 종적․ 횡적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들은 과학, 기술, 수학 교과는 물론 다른 학교 교과들에 대한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중요시 된다.
선행 연구들에서 교육과정 연계성의 개념은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가? 선행 연구들에서 교육과정 연계성의 개념은 계속성(continuity), 계열성(sequence), 통합성(integration), 접합성(articulation), 관계성(relation) 그리고 연결성(connection) 등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Fogarty, 1991; Hwang et al., 2006; Kim, 2006; Lee, 1949/1987; Paik et al.
개념 연계성의 분석 대상으로는 ‘달’과 ‘암석의 순환’에 대한 개념은 무엇을 바탕으로 선정하였는가? 개념 연계성의 분석 대상으로는 ‘달’과 ‘암석의 순환’에 대한 개념을 선정하였다. 이는 각 나라별로 교육과정 내용에서 다루어지는 핵심적인 개념들의 출연 빈도와 그 중요성을 바탕으로 선정되었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과학 개념들 중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교과별로 각각 ‘빛’, ‘전기’, ‘물질의 상태’, ‘화학 결합’, ‘광합성’, ‘소화’, ‘달’, ‘암석의 순환’의 8가지 개념이 분석 대상 후보로 선정되었고, 이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달’과 ‘암석의 순환’에 대한 개념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runer, J.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2. Department for Education. (2011). The Framework for the National Curriculum. A report by the Expert Panel for the National Curriculum review.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3. Department for Education. (2013).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 Framework document for consultation.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4. Department for National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敎育部國民及學前敎育署]. (2008a). Ordinary high school compulsory syllabuses [普通高級中學必修科目課程綱要]. Taipei: National Education Department for primary and secondary. 

  5. Department for National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敎育部國民及學前敎育署]. (2008b). 9 years national basic curriculum for natural life and technology learning [國民中小學九年一貫課程綱要自然與生活科技學習領域]. Taipei: National Education Department for primary and secondary. 

  6.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03).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Upper Secondary Schools 2003. Helsinki: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7.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04).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2004. Helsinki: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8. Fogarty, R. (1991).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NY: Skylight. 

  9. Hwang, G.-H. (1999). Meanings and criteria of curriculum continui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7(1), 167-192. 

  10. Hwang, Y., Kang, H.-S., & Yoo, J.-S. (2006). Research on the shared articulation of science and mathematics i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a.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6(3), 33-57. 

  11.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IAEEA].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Science. Boston: TIMSS & PIRLS. 

  12. Kang, H., Lee, W., Huh, Y., Lee, J., Yoo, J., Park, Y., Choe, H., & Park, C. (2008). Understanding by design (G. Wiggins & J. McTighe,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13. Kim, D. (2013). Present states and issues of curriculum continuity. 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Ed.), A strengthening plan for improvement of national curriculum continuity (Research report ORM 2013-35, pp.77-80).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4. Kim, D.-H., & Kim, H.-N. (2012).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n national science curricula.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2), 164-176. 

  15. Kim, J.-S. (2006). An investigation on the concept of curriculum continuit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4(4), 83-108. 

  16. Kim, J.-S., Park, S.-K., Choi, J., & Lee, H. (2013).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on the sequence and integr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a (Research report RRC 2013-3).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7. Kook, D.-S., & Kim, H.-M. (2004). An analysis on the conceptual connection of meteorology contents in science cours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20(1), 9-27. 

  18. Kwon, C.-S., & Jang, M.-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contents of DPRK and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7), 558-564. 

  19. Lee, H. (1987). Basic principl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R. W. Tyler, Trans.). Seoul: Kyoyookbook. (Original work published 1949). 

  20. Lee, Y., Yoon, H., Song, J.-Y., & Bang, D. (2014). Analysis of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of Singapore, Canada and US focused on the integrated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1), 21-32. 

  21. Lee, Y.-R. (2004). Analysis of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tatements of the curriculum an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3), 468-480. 

  22. Lee, Y.-R., Kwak, Y., & Kim, D.-Y. (2005).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earth science content relevance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8), 759-770. 

  23. Leem, Y., & Kim, Y.-S. (2013). A historical study on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iology Education, 41(3), 483-503. 

  24. Maeng, S., Seong, Y., & Jang, S. (2013). Present states, methodological features, and an exemplar study of the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61-180. 

  25.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A guide for science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 General statement (MEST Notification No. 2009-41).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Science curriculum (MEST Notification No. 2011-361).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8. Nam, S.-K., Lee, K.-H., & Song, K.-O. (2010). Diagnosis of present situation for educational articulation in school system (MEST Notification No. 2009-11).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9.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0.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8: Science and Technology. Ontario: Queen's Printer for Ontario. 

  31.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08a).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9 and 10: Science. Ontario: Queen's Printer for Ontario. 

  32.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08b).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1 and 12: Science. Ontario: Queen's Printer for Ontario. 

  3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0). PISA 2009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 Vol. 1. Paris: OECD. 

  34. Paik, N.-J. (2014). Review of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subject curriculum : Focusing o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Republic of Korea and the U. 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2(2), 101-131. 

  35. Paik, S.-H., Kim, H.-N., & Cho, B.-K. (2000). Development of a tool for K-12 science curriculum artic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 262-273. 

  36. Park, C.-H. (2005). The transi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system in liberated Korea.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3), 35-55. 

  37. Park, H., Kim, Y., Noh, S., Jeong, J.-S., Lee, E., Yu, E., Lee, D., Park, J., & Baek, Y. (2012). Developmental study of science education content standard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4), 729-750. 

  38. Son, M. (2004). An appraisal of the sequential coherence between primary-secondary curriculum :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presentation of content knowledge in the primary science curriculum. Asian Journal of Education, 5(2), 159-181. 

  39. Song, S.-H., Lee, Y.-H., Lee, J.-R., Kim, S.-W., Kang, S.-H., Park, J.-Y., Kang, S.-J., Kim, K.-H., & Yoo, K.-H. (199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nalysis taxonomy for curricular articulation in mathematics and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1(2), 119-131. 

  40. Suh, Y. (2008). An analysis of sequence of earth science content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Korea and the U. 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4), 356-370. 

  41. Woo, H., & Cha, H. (2013). A study on connectivity of the unit of evolu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biology textbooks reformed according to the 7th and 2009 revised Korea national science curriculum. Biology Education, 41(4), 618-637. 

  42. Yoo, Y.-E., & Kim, E.-J. (2013). Analysis of the continuity and sequence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s for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4), 241-265. 

  43. Yun, E., & Park, Y. (2014). Relationship of using science terminology between science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7), 667-6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