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질의 입자적 관점 도입에 대한 초등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ational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Science Textbook on Introduction of Particulate Concept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7 no.2, 2018년, pp.147 - 160  

심병주 (서울동교초등학교) ,  윤희숙 (강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ingapore to know how the contents on particulate concept of matter is introduced and expressed. In Korea, particulate concept of matter was adopted as a term for 'molecu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다른 나라의 현행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물질의 입자적 관점을 어떻게 도입하고 있는가?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교육과정에서 물질의 입자적 관점의 도입이 이루어지는 시기와 수준을 교육과정의 변천 시기에 따라 살펴보았으며, 이를 미국, 일본, 싱가포르 세 나라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국가별 현행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를 중심으로 물질의 입자적 관점의 도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표현되고 있고, 나라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다만 이러한 의사결정은 여러 측면에서 이론적 혹은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물질의 입자적 관점을 초등에 도입하는 것의 적절성의 여부를 재고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지 점검 사항 중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국제적인 비교를 통해 입자적 관점의 도입 시기와 형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변천에서 초등학교에서 입자 개념의 도입 역사가 어떻게 되었으며,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어떠한 상황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지금까지 초등학교 수준에서 물질의 입자적 관점과 관련된 국제 비교 연구는 한국, 영국, 미국, 일본, 핀란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Kim &Kim, 2005; Kim & Kim, 2012)가 있었으나, 교육과정만을 비교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물질의 입자적 관점이 기술되고 표현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의 입자적 표현 관점에서 여러 나라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교과서를 연계하여 비교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를 보완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과 교과서의 집필에 있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입자적 개념을 어느 시기에, 어떠한 과학적 내용을 설명할 때 도입하고 있으며, 어떻게 기술하고 표현하고 있는지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교육과정에서 물질의 입자적 관점의 도입이 이루어지는 시기와 수준을 교육과정의 변천 시기에 따라 살펴보았으며, 이를 미국, 일본, 싱가포르 세 나라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국가별 현행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를 중심으로 물질의 입자적 관점의 도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표현되고 있고, 나라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 셋째,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에서 현재 사용 중인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물질의 입자적 관점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 본 연구는 물질의 입자적 관점을 초등에 도입하는 것의 적절성의 여부를 재고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지 점검 사항 중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국제적인 비교를 통해 입자적 관점의 도입 시기와 형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변천에서 초등학교에서 입자 개념의 도입 역사가 어떻게 되었으며,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어떠한 상황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개정 시기별로 물질의 입자적 관점을 어떻게 도입하고 있는가?
  • 본 연구에서는 물질의 입자적 표현 관점에서 여러 나라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교과서를 연계하여 비교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를 보완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과 교과서의 집필에 있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입자적 개념을 어느 시기에, 어떠한 과학적 내용을 설명할 때 도입하고 있으며, 어떻게 기술하고 표현하고 있는지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정이란? 교육과정은 교육 기관에서 모든 교육을 마칠 때까지 요구되는 교육의 목적, 내용, 그리고 그 내용의 학습 지도에 필요한 연한과 학습 시간 배당 등에 대한 계획으로(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inSeoul National University, 1994), 특별히 국가교육과정은 한 국가의 초․중등학교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청사진이자 학교 교육을 실천하는 근간을 이룬다. 국가교육과정은 학생과 사회의 변화하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토를 거쳐 개정되어 왔다(Park et al.
학생들이 입자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대부분의 화학 개념이 물질의 입자성에 대한 개념 없이는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물질의 입자개념은 후속 학습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그러나 입자 개념은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감각할 수 없는 원자나 분자 같은 이론적 모델을 기반으로하고 있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경험적인 사고를 하는 많은 학생들은 입자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어려워하거나(Adbo & Taber, 2009), 관찰 현상을 입자개념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오개념을 갖기 쉽다(Herron, 1996; Park et al., 2010).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의 문제점은? , 2012).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이 공표된 지 채 2년이 지나지 않아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되었고, 또다시 6년이 지난 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되는 등 과거와 달리 급격하게 교육과정의 개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과거와 달리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과 요구에 따른 불가피한 개편인 측면도 있겠지만 이전의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과 검토가 부족한 상태의 개편이라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AAS (2006).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November 15. 2016. from http://www.project2061.org 

  2. Adbo, K. & Taber, K. S. (2009). Learners’ mental models of the particle nature of matter: A study of 16-year-old Swedish scienc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6), 757-786. 

  3. Anderson, C. W. & Berkheimer, G. D. (1998). Matter and molecules. Teacher's guide: Science book institute for research on teaching, College of Educ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Occasional Paper, 1988; No 21, 122. 

  4. Edens, K. M. & Potter, E. (2003). Using descriptive drawings as conceptual change strategy in elementary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3), 135-144. 

  5. Education World (2007). National Standards: Science. Retrieved on Dec. 4, 2007 from http://www.education-world.com/standards/national/science/index.shtml 

  6.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4). The dictionary for educational terms. Seoul: How. 

  7. Glynn, S. (1997). Drawing mental modes. Science Teacher, 64(1), 30-32. 

  8. Gobert, J. D. (1997). Expertise in the comprehension of architectural plans: Contribution of representation and domain knowled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9. Herron, J. D. (1996). The chemistry classroom: Formulas for successful teaching. Washington, DC: American Chemical Society. 

  10. Hong, M. & Jeon, K. (2007). Examining the concept of matter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1(1), 65-72. 

  11. Jang (2015). The study of 2015 National Curriculum draft development(I). Ministry of Education. 

  12. Jung, T. (1989). Textbook system improvement study. Journal of Textbook Study, 2, 22-29. 

  13. Kim, D. (2000) A study on the effect on the new teaching strategy facilitating reflective thinking in the learn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4(4), 600-610. 

  14. Kim, D. (2017). The effects on particulate concept formation based on abductive reasoning model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25-37. 

  15. Kim, D. & Kim, H. (2012).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n national science curricula.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2), 164-176. 

  16. Kim, W. & Kim, Y.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new middle-school level science curricula of Korea, Japan, Britain, and US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32, 11-27. 

  17. Korea Textbook Research Foundation (1992). Retrieved December 17, 2016, from http://www.textbook.ac 

  18. Kwon, H., Choi, E. & Noh, T. (2004).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analogies used in chemistry education and the limitations of using analog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2), 287-296. 

  19. Lee, C. & Kwon, C. (2013). Comparison of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6(1), 13-19. 

  20. Lee, S. & Kim, Y. (2012). Comparative study on illustrations of the Korean science textbooks of education curriculum rivised in 2007 and the American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5(1), 68-74. 

  21. Michael J. B., Michael A, D., Marjorie F. & Gerald H. K. (2009). HSP science 1-6. Harcourt school publishers. 

  22. Ministry of Education (1963).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1963-111. 

  23. Ministry of Education (1973).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1973-310. 

  24. Ministry of Education (1981).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1981-442. 

  25. Ministry of Education (1987).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1987-9. 

  26. Ministry of Education (1992).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1992-16. 

  27. Ministry of Education (1997).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1997-15. 

  28.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2007).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Announcement 2007-79. 

  29.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9).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nnouncement 2009-361 (supplement 9). 

  30. Ministry of Education (2015).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2015-74 (supplement 9). 

  31. Ministry of Education (2018). Teacher's guidebook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5-1. Seoul: Mirae-n Co. 

  32.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1994). Retrieved December 17, 2016, from http://ncic.kice.re.kr/ 

  33.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4.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5.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6. Park, H., Kim, Y., Noh, S., Jeong, J., Lee, E., Yu, E., Lee, D., Park, J. & Baek. Y. (2012). Developmental study of science education content standard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4), 729-750. 

  37. Park, J., Han, S. & Noh, T. (2010). Secondary science teach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1), 42-53. 

  38. Park, J. & Kim, S. (2001). Comparison of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dynamic versus static model emphasizing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for the learning of molecule on student’s conception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22, 39-55. 

  39. Park, J. & Paik, S. (2004). The learning effect of teaching materials using computer animation of particulate model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3(2), 116-122. 

  40. Sung, H. & Noh, S. (2017).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particulate concept i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e Journal of Education, 37(1), 165-182. 

  41. Van Meter, P. (2001). Drawing construction as a strategy for learning from text.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93(1), 129-140. 

  42. Yoon, H., Lee, J., Kim, Y., Paik, S. & Lee, K. (2009). 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research report 2009-3-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