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SA 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Effects of PSA programming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18 no.5, 2015년, pp.1 - 13  

김형철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  고영민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  김한일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  김철민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개발 적용되고 있는 국내외 교육과정에서는 지식정보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핵심 소양으로 '문제해결' 역량이 강조되고 있으며, 문제해결력 향상을 목표로 한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관련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프로그래밍 문제는 전통적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문제와 차별성이 없었으며, 제시된 문제를 다루는 방법의 대부분은 문제해결 능력 제고에 적합하기 보다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를 습득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역량 함양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문제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문제해결활동(PSA)을 중심으로 교수 학습 콘텐츠를 설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콘텐츠를 교재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학습자의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목적으로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콘텐츠나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할 때 기초 자료로나 참조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it is emphasized that students should acquire 'problem solving' competence as a member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various programming educational methods of improving problem solving competence have been studied.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활동이 PSA를 통해 산출된 문제해결책을 정형화하는 활동이라는 점과, 프로그래밍 능력을 키움으로써 일상의 문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는 점을 인식시킬 수 있는 탐구문제를 개발하였다. 또한, 제시된 탐구활동을 수행하면서 실질적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다섯째, 문제해결 과정에 실세계와의 상호작용이 수반되고 학습자 동기 유발 효과도 큰 문제를 다룬다. 본 연구에서 교육용 로봇 LEGO Mindstorms EV3와 프로그래밍 언어 RobotC를 활용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고 로봇 프로그래밍 활동을 수행하게 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미래 핵심역량인 문제해결력을 실질적ㆍ종합적으로 배양하기 위해서는, 실세계에서 발생할 수있는 실질적 문제들과 연계성이 높은 문제를 제시하여 분석하게 하고, 그 효과적 해결책을 종합적으로 구상ㆍ설계ㆍ구현하게 하는 문제해결활동 (Problem Solving Activities, 이하 PSA) 중심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SA 중심 프로그래밍 교수ㆍ학습콘텐츠를 개발ㆍ활용하여 실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이나 개념적 요소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책으로의 체계적 접근, 질 좋은 프로그램의 요건, 문제해결 패러다임 등을 고려하여 문제들을 선정하였고, PSA의 기본 틀을 설정해 그에 맞는 교수ㆍ학습 콘텐츠를 설계ㆍ개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활동이 PSA를 통해 산출된 문제해결책을 정형화하는 활동이라는 점과, 프로그래밍 능력을 키움으로써 일상의 문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는 점을 인식시킬 수 있는 탐구문제를 개발하였다. 또한, 제시된 탐구활동을 수행하면서 실질적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해결이란? PISA에서는 문제해결을 “해결과정이 명료하지 않고,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 실제적이고 범교과적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한 인지적 과정”[8]으로, 심진숙(2004)은 “문제해 결이란 문제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문제해결력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하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정의하고 있다[9]. 또한, 유중현(2008)은 문제해결 과정을 “사고와 적용으로 분류하고 이를 계속적으로 반복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0].
지식정보화 사회의 핵심역량은? 문제해결력은 지식정보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핵심역량 중 하나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도 ‘문제해결력’을 포함해 ‘창의력’, ‘정보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10가지를 지식정보화 사회의 핵심역량으로 분류ㆍ제시하고 있으며, 뉴질랜드, 독일,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국외의 교육과정에서도 ‘문제해결’ 능력에 주목하고 있다[1].
PSA 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의 설계 방향은? 첫째,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경험 유무나 다소에 상관없이 단계별로 주요 개념 및 핵심 원리의 기초를 다져가며 실질적 유익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둘째, 학습자가 배우고 경험한 문제해결 기법이나 패러다임들이 프로그래밍에 어떻게 녹아들어 있는지, 프로그래밍에 적용되는 문제해결 기법이 우리 일상의 문제해결 방법과 얼마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지, 특정 대상(사람, 컴퓨터 등)이 이해ㆍ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문제해결책을 표현 하려면 어떤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알아 갈 수 있게 한다. 셋째, 탐구문제해결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 역량 함양의 핵심 요소(개념, 원리, 방법론 등)들이 자연스레 습득되게 한다. 넷째, 프로그램 작성을 위해 초기에 익혀야 할 내용(수행 환경이나 프로그래밍 언어 종속적인 내용 등)들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학습자가 처음부터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한다. 일례로 학습자가 입출력 작업을 보다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사용자 수준의 데이터 타입별 입출력 함수(이하 간편입출력 함수라 함)를 정의ㆍ제공하였다. 다섯째, 문제해결 과정에 실세계와의 상호작용이 수반되고 학습자 동기 유발 효과도 큰 문제를 다룬다. 본 연구에서 교육용 로봇 LEGO Mindstorms EV3와 프로그래밍 언어 RobotC를 활용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고 로봇 프로그래밍 활동을 수행하게 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여섯째, 제시된 탐구문제를 수행하면서 실질적 문제해결능력을 효과적으로 키워나갈 수 있도록, 주변상황 감지 및 물리적 작동 능력을 가진 로봇을 매개로 실세계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의 해결책을 탐색할 수 있게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설계 방향에 기초한 교수․학습 콘텐츠를 개발하되, 수정․보완․검증 절차를 반복하여 그 완성도를 높인다. 본 연구에서 콘텐츠의 완성도를 제고시키는 작업에 8명(컴퓨터교육과 교수 2인, 박사과정 2인, 석사과정 1인, 학부생 2인, 정보교사 1인)이 참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경훈?강오한?김영식?김윤영?서인순?안성진?정순영?최현종 (2012).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기반의 정보 교육 정책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7. 

  2. 김경훈?김성백?김성식?김현철?박지현?서인순?안성진?최재혁?최현종?김일환 (2011). 2011 정보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개발.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교육과정 시안개발 수탁과제 답신보고 CRC 2011-9.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연구 - 증보편. 연구보고 CRC 2013-13. 

  4. 미래창조과학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5). 소프트웨어중심사회. http://www.software.kr 

  5. 미래창조과학부 (2015). 미래이야기. http://www.msip.go.kr/webzine/posts.do?postIdx91 

  6.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 (2015). 소프트웨어교육 운영 지침. 교육부. 

  7. 미래창조과학부 (2015). K-ICT 전략. http://www.msip.go.kr 

  8.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4]. 

  9. 심진숙 (2004). 문제해결학습이론과 그 실제.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유중현?김종혜 (2008). 문제 해결과정에서의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에 대한 개념적 고찰. 정보창의교육논문지, 2(2), 15-24. 

  11. 백영균?우인상(1994). LOGO 프로그래밍 수업 방법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9(1), 73-90. 

  12. 이은경?이영준 (2007).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0(6), 19-27. 

  13. 백선련?송정범?박정호?이태욱 (2008).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을 위한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1(1), 85-95. 

  14. 조성환?송정범?김성식?이경화 (2008). CPS에 기반한 스크래치 EPL이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1), 77-88. 

  15. 송정범?조성환?이태욱 (2008).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교원교육, 24(4), 432-447. 

  16. 허미선 (2009). 정보교육에서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방안 연구.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7. 최서경?김영식 (2012). 앵커드 수업을 통한 알고리즘 학습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5(3), 1-10. 

  18. 안형진?마대성 (2013).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초등학교 Scratch 교육과정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7(3), 317-327. 

  19. 신갑천 (2010). 스크래치를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 채재호?배영권?유인환 (2008). 로봇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24(2), 361-376. 

  21. 배학진?이은경?이영준 (2009). 문제 중심학습을 적용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수학습 모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3), 11-22. 

  22. 권대용 (2013). 텐지블 프로그래밍 도구를 활용한 논리적 사고력기반의 초등 로봇 과제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6(4), 13-21. 

  23. 이미경?손원숙?노언경 (2007).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7-25. 

  24. Roadranka, V. & Yeany, R. H, & Russell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 

  25. 이재분?현주?류덕엽 (2002). 초?중학생의 지적?정의적 발달수준 분석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2-4-1. 

  26. 이재분?현주?류덕엽 (2002). 초?중학생의 지적?정의적 발달수준 분석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2-4-2. 

  27. 임시혁 (2011). 통계검증의 실제적 유의성과 검증력 분석의 고찰. 교육논총, 48(1), 267-281. 

  28. 윤일규?김종혜?이원규 (2010).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의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3(2),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