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이유와 컴퓨팅사고력간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y in learning to program and Computational Thinking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18 no.5, 2015년, pp.55 - 62  

오경선 (성균관대학교 교과교육학과 컴퓨터교육전공) ,  안성진 (성균관대학교 교과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금은 국내외적으로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 컴퓨팅사고력기반의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 양성을 하기 위해 많은 나라들이 힘을 쏟고 있다. 더욱이 직업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학에서는 소프트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며 IT계열이 아닌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더욱 확산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학에서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들이 초보 학습단계에서 보이는 어려움의 정도를 사고단계별로 설문하여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컴퓨팅 사고영역과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이 배우는 프로그래밍 교육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living in a software-centered global community. lots of countries are putting most efforts on breeding a creative manpower well equipped with problem-solving abilitie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Upon this colleges and universities where most strongly related to job activities are proc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처음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대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영역의 사고를 도출한 후 이와 관련된 컴퓨팅사고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처음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하는 대학생들이 어려워하는지 사고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관련 연구 자료와 전문가 의견을 통해 문항 개발을 하였다.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사고와 컴퓨팅사고능력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SW교육이 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대학생들이 프로그래밍을 어려워하는 이유 중 사고 영역과 관련된 요소들을 밝히고 그 요소들과 컴퓨팅사고력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관계있는 요소들을 탐색하였다.
  • 본 연구는 처음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대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영역의 사고를 도출한 후 이와 관련된 컴퓨팅사고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처음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하는 대학생들이 어려워하는지 사고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관련 연구 자료와 전문가 의견을 통해 문항 개발을 하였다. 이러한 문항들 중 프로그래밍을 작성하기 전의 사고과정을 총12개의 예비 문항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 그렇다면 코딩하기 전까지의 단계는 컴퓨팅사고능력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이에 컴퓨팅 사고력의 9가지 요소를 살펴보고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지적영역 부분은 사고영역이라기 보다는 지식에 관련된 것으로 이는 사고과정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역이지만 사고과정 자체가 아니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고과정영역만을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사고의 핵심 9가지 개념은 무엇인가? CETA와 ISTE에서는 David Barr, John Harrison, & Leslie Conery(2011)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보과학적 사고의 핵심 9가지 개념인 자료수집(Data Collection), 자료 분석(Data Analysis), 자료표현(Data Representation), 문제분해(Problem Decomposition), 추상화(Abstraction),알고리즘과 절차(Algorithms & Procedures), 자동화(Automation), 시뮬레이션(Simulation), 병렬화(Parallelization)가 있다.[13]
컴퓨팅사고능력은 어떤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가? 결국, 컴퓨팅사고능력은 문제를 해결하는 단순 과정이나 프로그래밍이 아니라, 논리화되고 절차화된 사고와 방법론을 통해 컴퓨터과학의 원리와 개념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인지적/정의적 사고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14]
IT와 밀접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첨단사회에서는 사람들에게 어떤 능력이 요구되는가? IT와 밀접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첨단사회에서는 터치한번 말 한마디로 모든 것을 조작할 수 있는 세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요구되는 능력은 단순히 컴퓨터를 잘 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팅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를 토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이라 할 수 있다.[1] 이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영역에서 컴퓨터 과학적 사고를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도록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ttp://news1.kr/articles/?2184259 

  2.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72036951 

  3.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72381388&intype1 

  4. http://www.usline.kr/news/articleView.html?idxno4924 

  5. Douglas Rushkoff (2010). Program or be programmed: Ten Commands for a digital age. OR Books, New York. 

  6. 최현종(2011). 대학 프로그래밍 강좌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레임워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1), 69-79. 

  7. 장선희(2011).정보교과교육에서 사전 프로그래밍 교육의 도구로써 퍼즐의 활용 제안.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8. Judith Gal-Ezer(1995). A Pre-Programming Introduction to Algorithmics. 

  9. RobFaux(2005).Impact of Preprogramming Course Curriculum on Learninginthe First Programming Course. Education, IEEE Transactions on ,49(1) 

  10. RussellL.Shackelford and Richard J.LeBlanc(1997).Introducing Computer Science Fundamentals Before Programming, Jr.College of Computing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30332-0280. 

  11. http://www.open.edu/openlearn/science-maths-technology/computing-and-ict/introduction-computational-thinking/content-section-5 

  12. http://www.nationalacademies.org/ 

  13. http://www.csta.acm.org/Curriculum/sub/CompThinking.html 

  14. 최형신(2013),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 및 평가 접근에 대한 고찰. 한국정보교육학회 학술논문,4(1), pp.283-288. 

  15. 노경섭(2014).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 SPSS & AMOS 21.한빛아카데미(주) 

  16. 오인환(1992). 사회조사 방법론-오차요인 집중 연구. 나남.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