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랜스미디어 담론에 대한 집단지성론적 고찰
The Meaning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Transmedia Discourse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0, 2015년, pp.261 - 285  

김기홍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젠킨스(Henry Jenkins)에 의해 재구성되어 유포된 트랜스미디어(Transmedia) 담론은 하나의 이야기 세계가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들며 확장되는 것을 의미하며, OSMU나 미디어믹스 등과의 유사성에 의하여 산업론적 관점에서 다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은 이 연구담론의 초기 기획의도를 중심으로 버밍엄에서 비롯된 서구 문화연구의 전통에서 이 담론을 고찰하고 의미 있는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했다. 트랜스미디어 담론은 기존 문화연구의 능동적 수용자(active audience) 연구의 전통에서 출발하고 있으나, 비판이론적 연구 전통의 고전적 프레임인 미디어에 의한 권력 은폐문제와 수용자의 능동성 문제, 지배/피지배, 순응/저항 등의 이분법적 패러다임과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레비(Pierre Levy)의 집단지성 개념에 크게 영향을 받아 수용자의 '능동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열고자 한것이다. 문화의 상품성에 대한 인정이나 고전적 문화연구의 주요 관심사였던 수용자의 '고유의 정치적 활동' 가능성 등에 대한 논제들의 해명에서 레비의 영향이 도드라진다. 그러나 무엇보다 담론의 철학적 기저에 있어서 집단지성론은 특유의 유토피아적 접근을 통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집단 참여를 새롭게 해석했다는 점에서 트랜스미디어 담론에 크게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미디어컨버전스와 트랜스미디어 담론의 배경에 대해 고찰하며, 디지털시대 미디어의 변화양상과 수용자에 대한 기본적 가정들을 살펴보았다. 이는 트랜스미디어론과 집단지성 개념에 의한 수용자 위치의 재규정으로 연계되어, 기존 문화연구의 맥락에서 행해졌던 연구의 전제와 시각을 기존으로 트랜스미디어 담론에서 제시하는 변화된 양상을 자세히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연구의 비판이론적 프레임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이러한 시각적 변화의 요구 내지는 실천에 대해 그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특히 집단지성론이라는 철학적 기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디지털미디어의 시대 수용자를 보는 새로운 연구 관점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논의하며, 문화연구적 가치를 밝힘으로써, 관련 연구를 다양화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nsmedia has become a significant theme in the media studies sector and an academic discourse itself since its wide diffusion through Henry Jenkins' seminar book Convergence Culture.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authentic intention of the proposer to understand its profound meaning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것은 최초에 서사학적 연구의 주제어로 제시된 것인가? 산업론인가? 첨단 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신개념 마케팅론인가? 어떻게 보면 이들 모두에 해당되는 듯 보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논의가 의미 있게 회자되는 영역은 문화연구 분야이며, 그 배경에는 네트워크 참여문화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논쟁의 역동적인 변화 양상이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현상과 담론에 대한 문화연구적 고찰로서, 특히 버밍엄 문화연구 그룹의 능동적 수용자연구로부터 시작된 관련 연구가 레비(Pierre Lévi)의 ‘집단지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확장해 간 논의의 궤적을 추적하고 그 함의를 짚고자 한다.
  • 젠킨스의 주장인데, 이 구분을 통해 그가 주장하는 바는 기존의 문화연구적 시각으로는 디지털미디어의 시대에 부합하는 팬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기 힘들다는 것이며, 그 대안이 트랜스미디어 담론이라는 것이다. 하나씩 살펴보며 그의 주장이 합당한지 알아보겠다.

가설 설정

  • 그러나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즉흥 다성 합창 음악”과같이, 혹은 “집단적 발화 체제” 형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런 민주주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34) 사이버스페이스의 참여문화를 통해 그 간 불가능했던 유토피아적 세계에 대한 꿈꾸기가 가능해 졌다는 것이다. 트랜스미디어 담론은 이런 꿈꾸기의 일환일 수 있다.
  • 의미작용의 기본 원리를 송신자로부터 수신자로 텍스트가 일방적으로 전달된다고 가정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프레임을 코딩과 디코딩(coding &decoding) 모델로 변형해, 저항적 독해를 포함한 적극적 의미생산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젠킨스(Henry Jenkins)가 쉽게 정리하듯, “하나의 스토리가 영화로 소개되고, 텔레비전, 소설, 만화로 확장”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미디어, 예컨대 “게임 플레이를 통해 탐험되기도 하고, 놀이공원의 명물로서 경험”될 수 있도록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 세계를 갖는 것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부합하는 콘텐츠의 예시는 무엇인가? 2) 이런 정의에 부합하는 콘텐츠는 너무나 많으며, 뉴스를 통해 자주 사례를 접할 수 있다. 가령, 2015년 개봉 영화<매드 맥스 : 분노의 도로>에 등장한 외팔이 여전사 퓨리오사 캐릭터에 대한 프리퀄(prequel), 즉 그가 팔을 잃고 전사가 된 과정 이야기가 만화로 제작되었다던가,3) 1977년 첫 개봉 이래 30년 넘는 기간 동안 여섯 편을 크게 흥행시킨 영화 <스타워즈>의 일곱 번 째 에피소드 개봉이 예고된 상태에서, 첫 번째 <스타워즈>와 두 번째 영화 <스타워즈2 : 제국의 역습> 사이에 주인공 스카이워크에게 일어난 일을 다룬 만화책이 발간되어 기록적인 선판매고를 올렸다는 등4)이 사례가 될 것이다.
국내에서 트랜스미디어가 무엇으로 관심을 끌었는가?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현상과 담론에 대한 문화연구적 고찰로서, 특히 버밍엄 문화연구 그룹의 능동적 수용자연구로부터 시작된 관련 연구가 레비(Pierre Lévi)의 ‘집단지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확장해 간 논의의 궤적을 추적하고 그 함의를 짚고자 한다. 그 동안 트랜스미디어는 국내에서 OSMU, 미디어 믹스, 프랜차이즈 마케팅 등 다양한 주제어들과 비교되며 관심을 끌어왔으나,1) 네트워크의 참여문화와 관련지어 수행된 연구는 드물다. 그러나 트랜스미디어론은 본연적으로 디지털미디어와 수용자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다양한 관계와 가치의 파생에 대한 탐구였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영재,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28호, 2012, pp.155-180. 

  2. 김희경, 컨버전스와 트랜스미디어 프랜차이즈의 세계, 철학과 문화 제26집, 2013. pp.97-114. 

  3. 신성환, 폴 비릴리오의 전쟁론과 시각 테크놀로지의 상관성 人文硏究 제66집, 2012. pp.245-280. 

  4. 프랑크 하르트만, 미디어 철학, 이상엽.강웅경 옮김, 북코리아, 2008. 

  5. 피에르 레비, 사이버 문화: 뉴 테크놀로지와 문화협력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김동윤.조중형 옮김, 문예출판사, 2000. 

  6. 피에르 레비, 집단지성, 문학과 지성사, 2002. 

  7. 허진,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의 감성마케팅을 위한 사용자 경험디자인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집 제9호 2012. pp.194-201. 

  8. Alexander Bard, Jan Soderqvist, Netocracy: the new power elite and life after capitalism, Pearson Education Ltd, 2002. 

  9. Alison Flood, "Star Wars makes million-selling return to Marvel comics", 영국 일간지 The Guardian 인터넷판, http://www.theguardian.com/books/2015/jan/09/star-wars-million-selling-marvel-comics. 

  10. Brian Truitt, "Miller expands 'Mad Max' mythos in comics", USA Today, 2015. 3. 18. 미국 일간지 USA Today 인터넷판. http://www.usatoday.com/story/life/movies/2015/05/18/george-miller-madmax-fury-road-comics-exclusive-preview/27518457 

  11. Chris Anderson, Long Tail: How Endless Choice is Creating Unlimited Demand, Random House Business Books, 2006. 

  12. Chris Atton, Alternative Media, Sage, 2002. 

  13. Christian Metz, Film Language: A Semiotics of the Cinema,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14. Henry Jenkins, "The Cultural Logic of Media Converg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7:33, 2004, pp.33-43. 

  15. Henry Jenkins,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16. Henry Jenkins, Fans, Bloggers, and Gamers,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팬, 블로거, 게이머: 참여문화에 대한 탐색, 정현진 옮김, 비즈앤비즈, 2008. 

  17. Herbert Shiller, Culture Inc.: The Corporate Takeover of Public Express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8. Jay David Bolter, Richard Grusi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MIT Press, 1999. 

  19. John Fiske, "Active Audience" in Television Culture, Routledge, 1987. pp.49-66. 

  20. John Storey,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n Introduction, Harvest Wheatsheaf, 1993. 

  21. Andrew Keen, The cult of the amateur: How today's Internet is killing our culture and assaulting our economy, Nicholas Brealey Publishing, 2007. 

  22. Marsha Kinder, Playing With Power in Movies, Television, and Video Games: From Muppet Babies to Teenage Mutant Ninja Turtle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23. Matt Hills, Fan Cultures, Routledge, 2002. 

  24. Nick Stevenson, Understanding Media Culture, Sage, 2002. 

  25. Stuart Hall, "Encoding/Decoding" in Stuart Hall, et. al.(Eds.), Culture, Media, Language, Hutchinson, 1980, pp.128-139. 

  26. Uta Degner, Nobert Christan Wolf, "Intermedialitat und Mediale Dominanz: Einleitung", Uta Degner, Nobert Christan Wolf (Eds.) Der neue Wettstreit der Kunste: Legitimation und Dominanz im Zeichen der Intermedialitat, Bielefeld, 2010, pp.7-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