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Proficiency and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5, 2015년, pp.135 - 151  

이윤아 (인하대학교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  이완정 (인하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아 72명을 대상으로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운동 능력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의 단축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실행 기능은 낮과 밤 과제, 깃발 들기 과제, 카드 분류 과제, 숫자 바로 따라 하기와 숫자 거꾸로 따라 하기 검사로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첫째, 5세 유아의 운동 능력이 4세 유아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세 유아의 실행 기능이 4세 유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운동 능력 중 미세 운동조절 능력이 실행 기능과 높은 상관을 보였고, 실행 기능 중 행동적 억제, 작업 기억 능력이 운동 능력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발달에서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 간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motor proficiency and their executive function. Participants were 72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individual tests. Motor proficiency was measured by a shortened form of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의 실행 능력과 운동 능력의 경향을 살펴보고 실행 기능과 운동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만 4세와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의 어린이집 2곳을 편의 표집하여, 표집 된 어린이집의 4세반과 5세반 유아 전체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의 발달 양상을 살펴보고,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 소재 어린이집 두 곳을 편의 표집하여 만 4세 및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 과제를 개별 검사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운동 능력은 소근육 운동 능력과 대근육 운동 능력을 모두 포함하며, 이 때 소근육 운동 능력은 손이 물체를 다루는 기능을 포함한 작은 근육을 사용하는 것을 주로 측정하고, 대근육 운동 능력은 폭넓은 움직임을 하기 위해 큰 근육을 사용하는 것을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운동 능력을 대근육 운동 능력과 소근육 운동 능력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대근육 운동 능력과 더불어 소근육 운동 능력이 급격히 발달되는 시기인 만 4세와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운동기능 평가를 통해 이들의 미세 운동 조절(fine manual control), 손 협응(manual coordination), 신체 협응(body coordination) 및 근력과 민첩성(strength and agility) 등을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령 전 유아기인 만 4세와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실행 기능을 억제, 인지적 유연성, 작업 기억 등의 요소로 측정해보고자 하였다. 학령 전 유아의 실행 기능을 측정하는 이유는 이들 실행 기능 하위 요인이 학령 전에 급속하게 발달한다(Anderson, 2002; Carson, 2005)고 밝혀져 왔기 때문이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 간의 관계를 밝혀보기 위해 두 요인이 급속히 발달하는 시기인 만 4세와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개별 과제 수행 능력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발달에서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행 기능이란? 실행 기능이란 자신의 행동에 대해 계획을 세우고, 목표 행동을 구사하기 위한 인지적 조절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행동은 나타나지 않도록 통제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실행 기능은 의도적이고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며(Etnier & Chang, 2009), 유기체가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요소이다(Mulder & Cragg, 2014).
유아의 활발한 신체 활동 참여는 인지적 기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근래 신체 활동과 인지적 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본 Barenberg, Berse 그리고 Dutke(2011)의 연구에서 유아의 활발한 신체 활동 참여는 일반적인 인지적 기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과제 수행 시 요구되는 실행 기능의 증진에도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Best(2010)의 실험 연구에서도 유산소 운동이 아동의 실행 기능을 촉진한다고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영유아기에 어떤 운동 능력이 발달하는가? 일반적으로 영유아기에는 운동 능력의 발달에 급속한 진전이 나타난다. 즉 영아기에는 걸음마를 배우고, 유아기에 이르면 점차 뛰기, 달리기, 공 던지기, 자전거타기, 그네타기 등의 대근육 활동을 하게 된다. 또한 유아기에는 대근육 운동뿐만 아니라 수저로 밥 먹기, 연필로 글씨쓰기, 크레용으로 색칠하기, 가위로 오리기, 단추 채우기 등 눈과 손의 협응 능력과 소근육의 통제 능력도 급속하게 발달하여, 유아기 후기가 되면 손의 사용 능력이 상당히 정교해진다. 특히 만 4세와 5세가 되면 발달과 능력 면에서 신속한 향상을 보이며 보다 복잡하게 분화된 동작 형태들의 표현이 두드러진다. 운동 신경의 발달은 모든 운동 신경의 형태가 5세까지 관찰 가능하고 5세가 지나면 더 이상의 새로운 운동 신경의 발달 경향을 보이지는 않으며, 10세에서 15세 때까지는 지금까지의 발달에서 익힌 기술들이 세련되어지는 과정으로 진행된다(임옥재,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2).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K-WISC-III) 지침서. 서울: 특수교육. 

  2. 김선진, 정연정, 류제광 (2013). 체육 영재 프로그램 참여자의 운동 능력과 인지기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9(2), 41-52. 

  3. 김충일, 이강이 (2013). 유아기 이동운동기술과 체력의 발달적 경향성과 관계: 만 2, 3, 4, 5세를 대상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2(2), 613-625. 

  4. 김태주, 신나리 (2013). 통합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289-307. 

  5. 김홍근, 박태진 (2003).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의 차이에 관한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3), 599-613. 

  6. 도례미, 조수철, 김붕년, 김재원, 신민섭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한국심리치료학회지, 2(2), 1-12. 

  7. 박대근 (2005). 유아기 대.소근육 운동발달의 과정적 특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오연주, 정민자 (2003). 4, 5세 유아의 개인특성 변인이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33, 185-208. 

  9.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2005). 유아의 정서지능, 마음이론,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집단게임놀이 효과. 유아교육연구, 25(3), 119-147. 

  10. 임옥재 (1990). 유아기에 나타나는 동작을 통한 운동기능의 발달과 기본적인 유형. 건국대학교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1, 73-88. 

  11. 정옥분(2005).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12. Anderson, P. (2002).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EF) during childhood. Child Neuropsychology, 8(2), 71-82. 

  13. Anderson, P. J., & Reidy, N. (2012). Assessing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Neuropsychol Rev, 22(4), 345-360. 

  14. Barenberg, J., Berse, T., & Dutke, S. (2011). Executive functions in learning processes: Do they benefit from physical activity. Educational Research Review, 6(3), 208-222. 

  15. Barnett, L. M., Beurden, E. V., Morgan, P. J., Brooks, L. O., & Beard, J. R. (2009). Childhood motor skill proficiency as a predictor of adolescent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4(3), 252-259. 

  16. Best, J. R. (2010).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Contributions of experimental research on aerobic exercise. Developmental Review, 30(4), 331-351. 

  17. Best, J. R., & Miller, P. H. (2010).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executive function. Child Development, 81(6), 1641-1660. 

  18. Bruininks, R. H., & Bruininks, B. D. (2005).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nd ed.). SA: Pearson. 

  19. Cameron, C. E., Brock, L. L., Murrah, W. M., Bell, L. H., Worzalla, S. L., & Grissmer, D. et al. (2012). Fine motor skills and executive function both contribute to kindergarten achievement. Child Development, 83(4), 1229-1244. 

  20. Carlson, S. M. (2005). Developmentally sensitive measures of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8(2), 595-616. 

  21. Deitz, J. C., Kartin, D., & Kopp, K. (2007). Review of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27(4), 87-102. 

  22. Donders, J. (2002). The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Introduction. Child Neuropsychology, 8(4), 229-230. 

  23. Ellemberg, D., & St-Louis-Deschenes, M. (2010). The effect of acute physical exercise on cognitive function during developmen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1(2), 122-126. 

  24. Etnier, J. L., & Chang, Y. K. (2009).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executive function: A brief commentary on definitions, measurement issue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31(4), 469-483. 

  25. Gerstadt, C. L., Hong, Y. J., & Diamond, A.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action: performance of children 3 1/2- 7 years old on a Stroop-like day-night test. Cognition, 53(2), 129-153. 

  26. Gioia, G. A., Isquith, P. K., & Guy, S. C. (2001).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In R. Simonsson & S. Reswnthal(Eds.), Psychological and developmental assessment. NY: The Guilford Press. 

  27. Hofsten, C. V. (2004). An action perspective on motor development. Trends in Cognitive Scienced, 6(8), 266-272. 

  28. Hughes, C. (1998).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Links with theory of mind and verbal ability.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6(2), 223-253. 

  29. Isquith, P. K., Crawford, J. S., Espy, K. A., & Gioia, G. A. (2005).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aged childre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11(3), 209-215. 

  30. Kambas, A., Michalopoulou, M., Fatouros, I. G., Christoforidis, C., Manthou, E., & Giannakidou, D. et al.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proficiency and pedometer-determined physical activity in young children. Pediatric Exercise Science, 24(1), 34-44. 

  31. Kloo, D., Perner, J., Aichhorn, M., & Schmidhuber, N. (2010). Perspective taking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Dimensional Change Card Sorting (DCCS) task. Cognitive Development, 25(3), 208-217. 

  32. Kochanska, G., Murray, K., Jacques, T. Y., Koenig, A. L., & Vandegeest, K. A. (1996). Inhibitory control in young children and its role in emerging internalization. Child Development, 67(2), 490-507. 

  33. Lam, H . M. Y . (201 1. )A ssessment of p reschoolers' g ross m otor p roficiency: Revisiting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1(2), 189-201. 

  34. Lopes, V. P., Rodrigues, L. P., Maia, J. A. R., & Malina, R. M. (2011). Motor coordination as predictor of physical activity in childhood.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21(5), 663-669. 

  35. Miyake, A., Friedman, N. P., Emerson, M. J., Witzki, A. H., Howerter, A., & Wager, T. D. (2000). The unity and diversity of executive func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complex “Frontal Lobe”Tasks: A latent variable analysis. Cognitive Psychology, 41(1), 49-100. 

  36. Mulder, H., & Cragg, L. (2014). Executive func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Curren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23(1), 1-3. 

  37. Piek, J. P., Dyck, M. J., Nieman, A., Anderson, M., Hay, D., & Smith, L. M. et al.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coordination, executive functioning and attention in school aged children.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19(8), 1063-1076. 

  38. Williams, M. D., Saunders, J. E., Maschette, W. E., & Wilson, C. J. (2013). Outcome and process in motor performance: A comparison of jumping by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ose with low motor proficiency.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17(2), 135-149. 

  39. Zelazo, P. D. (2006). The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CCS): A method of assessing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Nature Protocols, 1(1), 297-3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