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 및 노지 재배 오디의 숙기에 따른 기능성 성분 함량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Constituents of Mulberries (Morus alba L.) Cultivated in a Greenhouse and Open Field during Matur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0, 2015년, pp.1588 - 1593  

김하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이지영 (창원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협동과정) ,  황인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한혜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박보람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한귀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박종태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설 및 노지에서 재배된 오디를 숙기별로 분획하여 phenolic acid, flavonoid, anthocyanin의 구성성분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주요 phenolic acid로 caffeic acid, coumaric acid, ferulic acid, sinapic acid가 확인되었고, 각각 $96.37{\sim}824.00{\mu}g/g$, $19.45{\sim}68.23{\mu}g/g$, $4.50{\sim}18.66{\mu}g/g$, $15.61{\sim}29.27{\mu}g/g$ 범위 수준을 나타내었다. 시설 및 노지 오디의 caffeic acid 및 sinapic acid의 함량은 숙기 초기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oumaric acid는 일정 함량을 유지하였다가 마지막 단계에서 감소하였으며, ferulic acid는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설 및 재배방법 간에는 전체적으로 노지 재배 오디의 phenol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Flavonoid 성분 중 quercetin과 kaempferol의 함량은 각각 $44.17{\sim}1,661.73{\mu}g/g$$108.67{\sim}360.20{\mu}g/g$의 범위 수준을 나타내었다. Quercetin은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kaempferol은 노지 재배 오디의 경우 일정량을 유지하였으나 시설 재배 오디의 경우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배방법 간에는 quercetin이 노지 재배 오디의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kaempferol은 노지 재배 오디의 함량이 초기에는 높았다가 중간 단계에서는 낮았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Anthocyanin 중 주요성분은 cyanidin, delphinidin, malvidin, pelargonidin이 검출되었으며, 각각의 함량은 $30.43{\sim}6,443.88{\mu}g/g$, $0{\sim}52.10{\mu}g/g$, $1.06{\sim}1,650{\mu}g/g$, $1.92{\sim}401.97{\mu}g/g$ 범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Anthocyanin은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재배방법별로는 노지 재배 오디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숙성되었거나 숙성 전단계의 오디가 활성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시설 재배보다는 노지 재배 오디의 성분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능성 성분이 풍부한 함량을 가진 숙기 단계를 고려하여 오디를 수확한다면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ents of phenolic acids, flavonoids, and anthocyanins of mulberries (Morus alba L.) cultivated in a greenhouse (GH) and open field (OF) were evaluated by HPLC during maturation. In the case of phenolic acids, caffeic acid ($96.37{\sim}824.00{\mu}g/g$), coumaric acid ($19.45{\sim}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디의 경우시설 재배와 노지 재배에 따른 숙기별 기능성 성분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 및 노지 재배된 오디를 대상으로 숙기별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의 성분 함량을 조사하여 오디를 이용한기능성 제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Joo와 Lim(44)은 광합성에 의해 체내에 탄수화물을 증가시킴으로써 색소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청색 및 적색 필름 처리구에서 안토시아닌을 거의 형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여 광질의 차이가 안토시아닌 형성에도 크게 관여한다고 보고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설 재배 시 사용된 필름이 투과되는 광질에 영향을 미쳐 anthocyanin의 함량이 적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나무란? 뽕나무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us)에 속하는 식물자원으로 열대지방부터 온대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오디는 이 뽕나무의 열매로 anthocyanin 계통의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4), 유기산 및 페놀성 화합물이 풍부한 과실로(5,6) 각광을 받으면서 소비와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7).
폴리페놀 화합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최근 천연 식품에 포함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여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을 밝혀 이를 이용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 및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폴리페놀 화합물(polyphenolics)은 다양한 식물자원에서 발견되는 천연색소로 주로 세포 내에서 결합형이나 유리형, 에스테르형이 있으며(2) phenolic acids, anthocyanins, flavonoids, pro(antho)cyanidins, resveratrols, lignans 및 tannins 등이 있다(3).
뽕나무의 열매가 가진 생리 활성 기능은? 오디는 이 뽕나무의 열매로 anthocyanin 계통의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4), 유기산 및 페놀성 화합물이 풍부한 과실로(5,6) 각광을 받으면서 소비와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7). 지금까지 밝혀진 오디의 생리활성 기능으로는 항암, 항염증, 항산화, 항당뇨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주목을 받고 있다(8-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2. Naczk M, Shahidi F. 2003. Phenolic compounds in plant foods: chemistry and health benefits. Nutraceuticals & Food 8: 200-218. 

  3. D'Archivio M, Filesi C, Di Benedetto R, Gargiulo R, Giovannini C, Masella R. 2007. Polyphenols, dietary sources and bioavailability. Ann Ist Super Sanita 43: 348-361. 

  4. Park SW, Jung SW, Ko SW.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 anthocyanins among mulberry cultivars and their pharmacological screening. Kor J Hort Sci Technol 38: 722-724. 

  5.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67-1475. 

  6. Kim HB, Kim AJ, Kim SY. 2003. The analysis of functional materials in mulberry fruit and feed product development trends. Food Science and Industry 36(3): 49-60. 

  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Food and Rural Affairs, Seoul, Korea. 

  8. Kim TW, Kwon YB, Lee JH, Yang IS, Youm JK, Lee HS, Moon JY.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38: 100-107. 

  9. Kim SY, Park KJ, Lee WC. 199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204-209. 

  10. Kim HJ, Cha JY, Choi ML, Cho YS.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soluble extrac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8-152. 

  11. Lee SH, Kim HG. 2008. Inhibitory effect of mulberry extracts on angiogenesis in porcine pulm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J Life Sci 18: 653-659. 

  12. Jang MH, Ahn SY, Kim DY, Kim SH, Yun HK. 2010. Characteristics of grapevine growth under rain-cut cultivation system in the vineyard. Kor J Hort Sci Technol 28: 94-95. 

  13. Moon YE, Kim YH. 2005.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 at maturing stage on fruit quality of citrus tangor (Shiranuhi, Kiyomi, and Tsunokaori) in the plastic film house. Kor J Hort Sci Technol 23: 49. 

  14. Lee SG, Choi CS, Lee HJ, Jang YA, Lee JG. 2015. Effect of air temperature on growth and phytochemical content of beet and SSamchoo. Kor J Hort Sci Technol 33: 303-308. 

  15. Kim JG, Jo JG, Kim HL, Ryou MS, Kim JB, Hwang HS, Hwang YS. 2011.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Northland' cultivar as influenced by open field and rain shelter house cultivation. J Bio-Environment Control 20: 387-393. 

  16. Shin SS, Yeon IK, Do HW, Lee JE, Seo YJ, Kang CK, Choi CD, Chun H, Choi YH, Chung DS, Park JS. 2007. Effect of different greenhouse film on growth and yield in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J Bio-Environment Control 16: 338-343. 

  17. Kataoka I, Beppu K. 2004. UV irradiance increases development of red skin color and anthocyanins in 'Hakuho' peach. Hort Sci 39: 1234-1237. 

  18. Jabben M, Shanklin J, Vierstra RD. 1989. Red light-induced accumulation of ubiquitin-phytochrome conjugates in both monocots and dicots. Plant Physiol 90: 380-384. 

  19. Yun HK, Kim YC, Seo TC, Lee SG, Kim KY, Lee JG. 2003. Effect of various kinds of ultraviolet irradiation on growth and antioxidant contents of some leafy vegetables. Kor J Hort Sci Technol 21: 94-97. 

  20. Caldwell CR, Britz SJ. 2006. Effect of supplemental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carotenoid and chlorophyll composition of green house-grown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cultivars. J Food Compos Anal 19: 637-644. 

  21. Abdel-Aal ESM, Rabalski I. 2008. Bioactive compound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in selected primitive and modern wheat species. Open Agric J 2: 7-14. 

  22. Shin YW, Lee SK, Kwon YJ, Rhee SJ, Choi SW. 2005.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mulberry (Morus spp.) cake. J Food Sci Nutr 10: 326-332. 

  23. Kim JS, Ha TY, Ahn JY, Kim HK, Kim S. 2008. Composi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tilbenoids in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and fruits with DAD/UV HPL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4-128. 

  24. Lee JY, Park HR, Moon SO, Kwon YJ, Rhee SJ, Choi SW. 2004.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s and flavonoid in mulberry (Morus sp.) cultivars. Food Sci Biotechnol 13: 176-184. 

  25. Jun HI, Kim YA, Kim YS.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Morus alba L.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381-388. 

  26. Whang HJ. 1999. Changes of phenolic compounds in Korean apple (Fuji)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 Nutr 12: 364-369. 

  27. Harborne JB. 1989. Plant phenolics. In Methods in Plant Biochemistry. Academic Press, London, UK. Vol 1, p 329-335. 

  28. Coseteng MY, Lee CY. 1987. Changes in apple polyphenoloxidase and polyphenol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degree of browning. J Food Sci 52: 985-989. 

  29. Dixon RA, Paiva NL. 1995. Stress-induced phenylpropanoid metabolism. Plant Cell 7: 1085-1097. 

  30. Rivero RM, Ruiz JM, Garcia PC, Lopez-Lefebre LR, Sanchez E, Romero L. 2001. Resistance to cold and heat stress: accumul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tomato and watermelon plants. Plant Sci 160: 315-321. 

  31. Lattanzio V. 2003. Bioactive polyphenols: their role in quality and storability of fruit and vegetables. J Appl Bot 77: 128-146. 

  32. Son KH, Park JH, Kim DI, Oh MM. 2012. Leaf shape index, growth, and phytochemicals in two leaf lettuce cultivars grown under monochromatic light-emitting diodes. Kor J Hort Sci Technol 30: 664-672. 

  33. Tsormpatsidis E, Henbest RGC, Davis FJ, Battey NH, Hadley P, Wagstaffe A. 2008. UV irradiance as a major influence on growth, development and secondary products of commercial importance in Lollo Rosso lettuce 'Revolution' grown under polyethylene films. Environ Exp Bot 63: 232-239. 

  34. Kang GS, Youm JR, Kang SS. 1993. Seasonal variations of the flavonol glycoside content from Ginkgo biloba leaves. Kor J Pharmacogn 24: 47-53. 

  35. Park JC, Kim SH. 1995. Seasonal vari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the leaves of Cedrela sinen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578-581. 

  36. Kim DS, Kozukue N, Han JS, Kim MH. 2004. The changes of components by maturity stage of tomato II. Korean J Food Culture 19: 605-610. 

  37. Chae JY, Lee JY, Hoang IS, Whangbo D, Choi PW, Lee WC, Kim JW, Kim SY, Choi SW, Rhee SJ. 2003.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ves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5-21. 

  38. Lee ST, Lee YH, Choi YJ, Shon GM, Lee HJ, Heo JS. 2002. Comparison of quercetin and souble tannin in Houttuynia cordata THUNB. according to growth stages and plant par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12-16. 

  39. Lee ST, Lee YH, Choi YJ, Lee YH, Cho JS, Heo JS. 2001. Yield and bioactive component on different compost amounts and cultural method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9: 220-224. 

  40. Kakani VG, Reddy KR, Zhao D, Mohammed AR. 2003. Effects of ultraviolet-B radiation on cotton (Gossypium hirsutum L.) morphology and anatomy. Ann Bot 91: 817-826. 

  41. Oh MM, Trick HN, Rajashekar CB. 2009. Secondary metabolism and antioxidants are involved in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stress tolerance in lettuce. J Plant Physiol 166: 180-191. 

  42. Kim HY, Cho MS. 2001. Effects of enhanced ultraviolet-B radiation on plants. J Bio-Environ Con 10: 197-206. 

  43. Yao Y, Yang Y, Ren J, Li C. 2006. UV-spectra dependence of seedling injury and photosynthetic pigment change in Cucumis sativus and Glycine max. Environ Exp Bot 57: 160-167. 

  44. Joo MK, Lim JS. 2002. Effect of light and temperature on yield, chlorophyll and anthocyanin contents of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Kor J Intl Agri 14: 105-1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