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식생활적응 정도에 따른 식생활 및 건강 특성
Japa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by Level of Dietary Adaptation after Immigration to Korea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5, 2015년, pp.765 - 778  

아사노가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시현 (배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apa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fter immigration to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with Japanese women married to Korean men and having one child or more aged 7 to 18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 식생활적응 정도에 따라 식생활 고적응군과 식생활 저적응군으로 나누어 식생활과 건강 특성 등에 대해 비교․분석함으로써 이들을 제도적,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른 출신 국가 여성결혼이민자에 비해 한국에 장기 거주하는 비율이 높은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향후 베트남, 필리핀, 태국 등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겪게 될 식생활과 건강 특성 등에 대한 예측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전체 여성결혼이민자 수가 2014년에 비해 2015년 감소한 이유는? 법무부의 ‘국민의 배우자 지역별·국적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5년 6월말 기준 국내 전체 여성결혼이민자는 12만 5137명으로 2014년 같은 기간 12만 8749명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이러한 감소는 2014년 4월부터 정부가 국제결혼건전화를 목적으로 결혼이민자에 대한 비자발급 심사 기준을 강화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출신 국적별로 보면, 중국 조선족,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시아 국적 여성결혼이민자의 감소가 두드러진 반면 미국, 일본 등 OECD 국가나 영어권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 국적의 여성결혼이민자 수는 어떤 변화 추이를 갖는가? 출신 국적별로 보면, 중국 조선족,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시아 국적 여성결혼이민자의 감소가 두드러진 반면 미국, 일본 등 OECD 국가나 영어권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 국적의 여성결혼이민자는 2015년 6월말 기준 1만 1533명으로 2014년 1만 853명에 비해 700명 가까이 증가하였다(Ministry of Justice 2015).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해 정부에서는 어떠한 노력을 하는가?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사회적응을 위해 정부 주도 하에 지자체별로 지원센터를 세워 한국어교육, 한국요리, 한국역사 등의 교육과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언어 문제, 경제적 어려움, 외로움, 문화적 차이, 자녀양육 및 교육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Jeon KT et al 2013). 특히 한국인 남편과 살면서 문화차이를 느낀다고 응답한 여성결혼이민자는 출신 국가에 상관없이 절반 가까이가 식습관에서 문화차이를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Jeon KT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ano K, Yoon J, Ryu SH (2014)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 Korea: comparison between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Korean J Community Nutr 9: 317-327. 

  2. Asano K, Yoon J, Ryu SH (2015) Factors related to Korean dietary adaptation in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 234-245. 

  3. Cha SM, Bu SY, Kim EJ, Kim MH, Choi MK (2012) Study of dietary attitudes and diet manag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according to residence period. J Korean Diet Assoc 18: 297-307. 

  4. Chung K (2008)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s Korean migration and their adjustment of life in Korea. Stud Humanit Soc Sci 20: 69-104. 

  5. Dogra S, Meisner BA, Ardem CI (2010) Variation in mode of physical activity by ethnicity and time since immigration:a cross-sectional analysis. Int J Behav Nutr Phys Activ 7. http://www.ijbnpa.org/content/7/1/75 (accessed on 20. 8. 2015) 

  6. Gray VB, Cossman JS, Dodson WL, Byrd SH (2005) Dietary acculturation of Hispanic immigrants in Mississippi. Salud Pblica Mex 47: 351-360. 

  7. Han YH, Shin WS, Kim JN (2011) Special them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dentity of migrants;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migrants. Comp Korean Stud 19: 115-159. 

  8. Hyun KJ, Kim YS (2011) Development of a Korean life adaptation measur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ealth Soc Welf Rev 31: 63-100. 

  9. Jeon KT, Chung HS, Kim YS, Kim YR, Joo JS, Kim HY, ...Tong C (2013) A study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Report No. 2012-59. 

  10. Jeon MY, Kim HS, Kim HJ, Lee HJ (2012)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by the homeland of the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mmigrants living in Chungbuk.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13: 3500-3512. 

  11. Kim H, Yoo S, Cho S, Kwon EJ, Kim S, Park JY (2010)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health risk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Korean J Health Edu Promot 27: 79-89. 

  12. Kim HR, Paik SH, Jung HW, Lee AR, Kim E (2011)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needs for nutrition services, and development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port No. 2011-67. 

  13. Kim JM, Lee HS, Kim MH (2012) Food adaptation and nutrient intake of female immigrants into Korea through marriage. Korean J Nutr 45: 159-169. 

  14. Kim K (2012) Married immigrant women's social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the case of women from China, Vietnam, and Japan. Korea J Popul Stud 35: 185-208. 

  15. Kim KJ (2011) Thoughts on multicultural family issues in a new religion- focusing on Japanese immigrant wives of the Unification Church. J New Relig 24: 327-361. 

  16. Kim SH, Kim WY, Lyu JE, Chung HW, Hwang JY (2009)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Korean J Community Nutr 14: 22-30. 

  17. Lara M, Gamboa C, Kahramanian MI, Morales LS, Bautista DE (2005) Acculturation and Latino health in the United Stat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sociopolitical context. Annu Rev Public Health 26: 367-397. 

  18. Lee JH (2012) A study of life history on Japanese immigrant wives in Korea. Jpn Mod Assoc Korea 35: 233-254. 

  19. Lee JS (2012)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807-815. 

  20. Ministry of Justice (2015) Status of a foreign spouse of a Korean national by regions and nationalities. Available from http://www.moj.go.kr/ Accessed August 24, 2015. 

  21. Nam S (2010) A study on an acculturation model for the realization of a Korea multicultural community among Japanese, Chinese, Korean-Chinese, Vietnamese, and Philippine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living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Korean J Human Dev 17: 19-51. 

  22. Oh KS (2010) Marital conflict in relation with dietary adapt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Ph D Dissertation Jeonbuk University, Jeonbuk. pp 73. 

  23. Park YI (2009)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wives adapting to Korean cuisine and dietary pattern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22, 81, 97. 

  24. Rosenmoller DL, Gasevic D, Seidell Jaap, Lear SA (2011) Determinants of changes in dietary patterns among Chinese immigrants: a cross-sectional analysis. Int J Behav Nutr Phys Activ 8. http://www.ijbnpa.org/content/8/1/42 (accessed on 20. 6. 2015) 

  25. Seol DH, Lee H, Cho SN (2006)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in Korea: current status and policy measures.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Report No. 2006-55. 

  26. Shin BG, Kwon YJ (2010) Research articles: difference analysis on the cognition, image, attitude,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among American, Chinese, and Japanese groups. J Foodserv Manage 13: 311-332. 

  27. So J, Han SN (2012)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Korean J Community Nutr 17: 589-602.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Available from http://www.wpro.who.int/nutrition/documents/Redefining_obesity/en/ Accessed March 20, 2015. 

  29. Yang SJ (2011) Health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by ethnicity.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2: 66-74. 

  30. Yoo S, Cho HI (2012) Heterogeneity in obesity status and cardiovascular risks in multiethnic Asian female immigrants in South Korea. Asia Pac J Public Health 27: NP448-4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