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석 전 만성신장질환자의 신장 지식, 자기효능감, 신장 기능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of the Kidney, Self-efficacy, and Kidney Function in Pre-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Insufficienc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5, 2015년, pp.505 - 514  

차은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 ,  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ir levels of knowledge of the kidney, self-efficacy, and kidney function in pre-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insufficiency. Methods: A total of 142 pre-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insufficiency were recruited from a nephrology c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투석 전 만성신장질환자의 신장 지식, 자기효능감, 신장 기능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투석 전 만성신장질환자의 신장 지식, 자기효능감, 신장기능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만성신장질환자의 신장 기능의 감소 지연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투석 전 만성신장질환자의 신장 지식, 자기효능감, 신장 기능의 관계를 파악하여 만성신장질환자의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투석 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신장 기능에 따른 지식 정도만을 분석하고 지식 정도에 따른 관리에 대한 기대나 자신감은 포함하지 않았다[22]. 이에 본 연구는 투석 전 만성신장질환자의 신장 지식, 자기효능감, 신장 기능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여 만성신장질환자의 신장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신장질환의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서 무엇을 관리해야 하나요? 만성신장질환은 비가역적 질환으로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속도를 지연시키는 것이 일차적 치료 목표이다[5]. 이를 위해서는 병원 치료와 함께 식이, 혈당 조절, 혈압 조절, 규칙적인 운동 등의 생활 습관 조절, 투약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6]. 적절한 관리는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속도를 지연시키고 신부전에 도달하는 시기를 늦출 수 있는 반면[7-9], 부적절한 관리는 신장 기능의 감소 속도를 증가시키며 이로 인한 신장의 기능 상실은 건강 제반을 위협하여 투석이나 신장 이식 등의 신대체요법을 받아야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6].
만성신장질환자는 어떤 증상을 경험하나요? 만성신장질환은 매년 10~12%의 증가율을 보이는 질환 중의 하나이며[1] 진료비용 또한 연간 10% 이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2]. 만성신장질환자는 수면장애, 피로 등의 신체적 증상[3]과 함께 우울,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증상을 경험한 다[4]. 또한, 신장 기능의 손실로 신대체요법을 적용하게 되면 치료에 대한 추가적인 지출이 장기적으로 발생하여 개인과 사회에 경제적 부담을 준다[1].
만성신장질환의 일차적 치료 목표는 무엇인가요? 만성신장질환은 비가역적 질환으로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속도를 지연시키는 것이 일차적 치료 목표이다[5]. 이를 위해서는 병원 치료와 함께 식이, 혈당 조절, 혈압 조절, 규칙적인 운동 등의 생활 습관 조절, 투약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Chronic kidney disease prevalence rat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2 [cited 2013, August 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D#SubCont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1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 book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2 [cited 2013,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5020000&cmsurl/cms/open/04/02/03/02/1214346_24997.html&subject2011%eb%85%84+%ea%b1%b4%ea%b0%95%eb%b3%b4%ed%97%98%ed%86%b5%ea%b3%84%ec%97%b0%eb%b3%b4 

  3. Bonner A, Wellard S, Caltabiano M. The impact of fatigue on daily activity in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9(21-22):3006-15.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0.03381.x 

  4. Molzahn AE, Bruce A, Sheilds L. Learning from stories of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Nephrology Nursing Journal. 2008;35(1):13-20. 

  5. National Kidney Foundation. About chronic kidney disease [Internet]. New York: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13 [cited 2013, June 1]. Available from: http://www.kidney.org/kidneydisease/aboutckd.cfm 

  6. National Kidney Foundation.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chronic kidney disease: evaluation, classification, and stratification.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2002;39 (2):S1-S266. 

  7. Levin A, Stevens PE. Early detection of CKD: the benefits, limitations and effects on prognosis. Nature Reviews Nephrology. 2011;7(8):446-57. http://dx.doi.org/10.1038/nrneph.2011.86 

  8. McGovern AP, Rusholme B, Jones S, van Vlymen J, Liyanage H, Gallagher H, et al. Associat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and failure to monitor renal function with adverse outcomes in people with diabetes: a primary care cohort study. BMC Nephrology. 2013;14:198-208. http://dx.doi.org/10.1186/1471-2369-14-198 

  9. Zrinyi M, Juhasz M, Balla J, Katona E, Ben T, Kakuk G, et al. Dietary self-efficacy: determinant of compliance behaviours and biochemical outcomes in haemodialysis patients.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2003;18(9):1869-73. http://dx.doi.org/10.1093/ndt/gfg307 

  10. Walker R, James H, Burns A. Adhering to behaviour change in older pre-dialysis populations-what do patients think?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Renal Care. 2012;38(1):34-42. http://dx.doi.org/10.1111/j.1755-6686.2012.00262.x 

  11. Rifkin DE, Laws MB, Rao M, Balakrishnan VS, Sarnak MJ, Wilson IB. Medication adherence behavior and priorities among older adults with CKD: a semistructured interview study.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2010;56(3):439-46. http://dx.doi.org/10.1053/j.ajkd.2010.04.021 

  12. Strand H, Parker D. Effects of multidisciplinary models of care for adult pre-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 care. 2012;10(1):53-9. 

  13. Bandura A. Health promotion by social cognitive means.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04;31(2):143-64. http://dx.doi.org/10.1177/1090198104263660 

  14. Lorig K, Stewart A, Ritter P, Gonzalez VM, Laurent D, Lynch J. Outcome measures for health education and other health care interventions. Thousand Oaks, CA: Sage; 1996. 

  15. Oh HS, Park JS, Seo WS. Psychosocial influencers and mediators of treatment adherence in ha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3;69(9):2041-53. http://dx.doi.org/10.1111/jan.12071 

  16. Wright J, Greene JH, Wallston K, Eden S, Shintani A, Elasy T, et al. Pilot study of a physician-delivered education tool to increase patient knowledge about CKD.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2013;62(1):23-32. http://dx.doi.org/10.1053/j.ajkd.2013.01.023 

  17. Khalil A, Abdalrahim M.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towards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4;61(2):237-45. http://dx.doi.org/10.1111/inr.12085 

  18. Wright JA, Wallston KA, Elasy TA, Ikizler TA, Cavanaugh KL. Development and results of a kidney disease knowledge survey given to patients with CKD.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2011;57(3):387-95. http://dx.doi.org/10.1053/j.ajkd.2010.09.018 

  19. Park JS, Lee HS, Lee SY, Im HB, Oh HS.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management guidelin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adherence for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1;14(1): 39-46. 

  20. Hur J, Kim AJ. Effect of self-efficacy and Yangsaeng on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0;16(1):76-83. 

  21. Sim MK, Son SY.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 on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2;18(1):9-17. 

  22. Kim HW, Choi SM. Study on knowledge levels of pre-dialysis,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at glomerular filtration rates (GFRs) and their educational demand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0;12(2):114-26. 

  23.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24. Kim CJ, Chae SM, Yoo HR. Psychometric testing of the Chronic Disease Self-Efficacy Scale-Korean version (CDSES-K).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12;23(2):173-80. http://dx.doi.org/10.1177/1043659611434059 

  25. Levey AS, Stevens LA, Schmid CH, Zhang YL, Castro AF, Feldman HI, et al. A new equation to estimate glomerular filtration rat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9;150(9):604-12. 

  26. Finkelstein FO, Story K, Firanek C, Barre P, Takano T, Soroka S, et al. Perceived knowledge among patients cared for by nephrologists about chronic kidney disease and end-stage renal disease therapies. Kidney International. 2008;74(9):1178-84. http;//dx.doi.org/10.1038/ki.2008.376 

  27. Noble H, Meyer PJ, Bridge DJ, Johnson DB, Kelly DD. Exploring symptoms in patients managed without dialysis: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Journal of Renal Care. 2010;36(1):9-15. http://dx.doi.org/10.1111/j.1755-6686.2010.00140.x 

  28. Seo NS, Kang SJ, Kim JH, Kim SJ. Relationships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stres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2):285-97. 

  29. Seo YS. A study on health status by social-economic status of middle-aged an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1;31(4):1135-53. 

  30. White SL, Polkinghorne KR, Cass A, Shaw J, Atkins RC, Chadban SJ. Alcohol consumption and 5-year onset of chronic kidney disease: the AusDiab study.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2008;24(8):1464-72. http://dx.doi.org/10.1093/ndt/gfp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