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포도주 첨가량에 따른 무 피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dish Pickle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White Wine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4, 2015년, pp.72 - 85  

김기쁨 (극동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  안동기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황수영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남정석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최수근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백포도주의 첨가량(0, 3.75, 7.24, 10.48, 13.50%)을 달리하여 제조한 무 피클을 0, 1, 2, 3, 4주까지 저장하면서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피클과 조미액의 당도는 백포도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역시 감소하였다. 피클과 조미액의 염도는 백포도주의 첨가량이 증가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다. 피클과 조미액의 pH는 백포도주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p<0.00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0~4주의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다. 조미액의 L값은 백포도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으며, a값과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무피클의 L값은 백포도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 피클의 경도는 백포도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제조 1주후까지는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는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백포도주 10.48%를 첨가한 무 피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백포도주를 첨가한 피클의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백포도주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아삭함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고, 비교적 높은 기호도 및 관능검사의 결과를 나타내어 백포도주를 첨가하는 것이 피클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dish pickle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white wine (0, 3.75, 7.24, 10.48, and 13.50%), stored for 0, 1, 2, 3, and 4 weeks. The sugar content of the pickle solution decreased significantly(p<0.001) as the concentration of whi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리용 백포도주가 피클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품질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더불어 표준화된 조리용 포도주를 피클 제조시 사용함으로써 음식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 국내에서 서양식 음식의 보급이 확장되면서 여러 가지 피클 제품이 수입, 제조되면서 소비자의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재료의 피클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리용 백포도주를 무피클 제조시 첨가하여 피클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품질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피클의 대표적 재료인 오이의 대체 재료로 무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표준화된 조리용 포도주를 사용함으로써 피클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리용 백포도주를 무피클 제조시 첨가하여 피클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품질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피클의 대표적 재료인 오이의 대체 재료로 무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표준화된 조리용 포도주를 사용함으로써 피클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페놀성 물질 중 레스베라트롤의 효능은? 적포도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인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안토시아닌(antocyanin), 비니페린(viniferine),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등은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rankel EN et al 1993). 특히, 레스베라트롤은 암세포 성장 억제, 암 예방 효과, 항산화작용, 항염증 작용등의 생리 활성 기능을 가지고, 또한, 안토시아닌은 활성 산소 제거, 만성 퇴행성 질환 억제, 말초신경 순환 개선 등의 약리 효과가 있다고 밝혀져 있다(Passamonti S et al 2005; Kim DW 2004; Joe AK et al 2002; Hur SK et al 2001; Fremont L 2000; Martinez J & Moreno JJ 2000). 백포도주는 적포도주보다 알코올 함유량이 낮기 때문에 위에 부담도 적고 식욕조절에 도움이 되며, 병에 대한 저항력을 키워주는 각종 유기산과 미네랄, 비타민B, C 등 몸에 좋은 영양소가 적포도주 못지않게 풍부해 건강에 도움이 된다(Recamales AF et al 2006; Mato I et al 2005; 김희수 & 전홍진 2002; Torel J et al 1986).
적포도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적포도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인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안토시아닌(antocyanin), 비니페린(viniferine),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등은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rankel EN et al 1993). 특히, 레스베라트롤은 암세포 성장 억제, 암 예방 효과, 항산화작용, 항염증 작용등의 생리 활성 기능을 가지고, 또한, 안토시아닌은 활성 산소 제거, 만성 퇴행성 질환 억제, 말초신경 순환 개선 등의 약리 효과가 있다고 밝혀져 있다(Passamonti S et al 2005; Kim DW 2004; Joe AK et al 2002; Hur SK et al 2001; Fremont L 2000; Martinez J & Moreno JJ 2000).
포도에 함유된 유기산은? 포도는 사과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구연산(citric acid) 등의 유기산과 다량의 페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작용과 항산화작용을 한다(Mato I et al 2005; Jayaprakasha GK et al 2003; Buahanan RL et al 1993). 이러한 포도를 활용한 양조주(발효주)인 포도주는 적포도주, 백포도주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고대 이집트에서는 포도주를 질병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였고, 최근 들어 심혈관계 질환 등 여러 가지 질환의 발병률을 낮춘다고 밝혀지면서 전 세계에서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Lee HR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경화 (1996). 식품첨가물 유해론 속에 천연첨가물 인기, 구가. 식품과 위생 4:78-80, 서울. 

  2. 김희수, 전홍진 (2002). 생활속에서 만나는 와인 이야기. 시공사, 132-133, 서울. 

  3. 농촌생활연구소 (2012). 식품 성분 분석표 제 8 개정판. 전북. 

  4. 원융희 (1999). 와인이야기. 학문사, 44-50, 서울. 

  5. 전희정, 이효지 (1996). 서양음식. 교문사, 296, 서울. 

  6. 전희정 (2001). 조리용어사전. 효일출판사, 370, 서울. 

  7. Andrew K. Joe, Hui Liu, Masumi Suzui, Muhammet E. Vural, Danhua Xiao, I. Bernard Weinstein (2002). Resveratrol induces growth inhibition, S-phase arrest, apoptosis, and changes in biomarker expression i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Clin Cancer Res 8:893-903. 

  8. Buchanan RL, Golden MH, Whing RC (1993). Differentiation of the effects of pH and lactic or acetic acid concentration on the kinetics of Listeria monocytogenes inactivation. J Food Prot 56(6):474-478. 

  9. Cha WS, Beak SK, Na KM,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i UK, Cho YJ (2003). Changes of physicochmic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J. Korean Soc Agr Chem Biotechnol 46(4):317- 322. 

  10. Cheigh HS, Lee JS, Lee CY (1993).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melanoin related products fractionated from fermented soybean sauce. J Korean Soc Food Nutr 22(5):570-575. 

  11. Fremont L (2000). Biological effects of resveratrol. J Life Sci 66(8):663-673. 

  12. Frankel EN, Kanner J, German JB, Parks E, Kinsella JE (1993). Inhibition of oxida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by phenolic substances in red wine. Lancet 341(8843):454-457. 

  13. Han MY, Ahn MS (1998). A study on the purchase action of processed foods and the recognition for food additives of urban housewives. Korean J Dietary Culture 13(2):119-126. 

  14. Han WK, Lee GJ (1991). A study on the consu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Korean J Soc Food Sci 7(4):23-34. 

  15. Hur SK, Kim SS, Heo YH, Ahn SM, Lee BG, Lee SK (2001). Effects of the grapevine shoot extract on free radical scav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 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9:188-193. 

  16. Jayaprakasha GK, Selvi T, Sakariah KK (2003).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ape (Vitis uinifera) seed extracts. J Food Res Int. 36:117-122. 

  17. Joe AK, Liu H, Suzui M, Vural ME, Xiao D, Weinstein IB (2002). Resveratrol induces growth inhibition, S-phase arrest, apoptosis, and changes in biomarker expression i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Clin Cancer Res 8: 893-903. 

  18. Jung EA, Choi SK, Namkung Y (2011).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salt fermented king mushroom(Jjangachi)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soy sau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5):231-240. 

  19. Kang TG, Choi SK, Yoon HH (2009).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stock by additions of white win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3):213-224. 

  20. Kim DW (2004). The Inhibitory Effect of Resveratrol on the Growth of Human Gastric Cancer Cells(AGS) in vitro. Ph.D. Thesis, Kosin University. 

  21. Kim HC, Kim MR (2005). Consumer attitudes towards food additi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1):126-135. 

  22. Kim JA, Cho MS (2009). Quality changes of immature green cherry tomato pickl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soy sauce and soaking temperatur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4(3):295-307. 

  23. Kim JH, Kim JK (2008). Effect of maturation solution composi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Jangaji. Korean J Food Preser 15(6):816-823. 

  24. Lee HR, Jung BR, Park JY,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nat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 (3):445-449. 

  25. Lee KH, Lee KI, Lee YN, Park HH (2002).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637-643. 

  26. Lee MK, Yang HJ, Kim SK, Park SH, Moon SW (2010). Determination of suitable kolabi(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cultivars for pickle preparation. J Food Sci Nutr 15(2): 152-158. 

  27. Lee SR (1994). Safety management of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J Food Hyg Safety 9: S7-S15. 

  28. Martinez J, Moreno JJ (2000). Effect of resveratrol, a natural polyphenolic compound, o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prostaglandin production. Biochem Pharmacol 59(7):865-870. 

  29. Mato I, Suarez-Luque S, Huidobro JF (2005). A review of the analytical methods to determine organic acids in grape juices and wine. J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8(10):1175-1188. 

  30. Oh SH, Oh YK, Park HH, Kim MR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added with pickling spic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0(4):347-353. 

  31. Oh YA, Lee MJ, Kim SD (1990). Changes in the pectic substances during ripening of salted cucumber pickle. J Korean Soc Food Nutr 19 (2):143-150. 

  32. Palma-Harris C, Mefeeters RF, Fleming HP (2002). Fresh cucumber flavor in refrigerated pickles. comparison of sensory and instrumental analysis. J Agriculture Food Chemistry 50(17): 4875-4877. 

  33. Passamonti S, Vanzo A, Vrhovsek U, Terdoslavich M, Cocola A, Decorti G, Mattivi F (2005). Hepatic uptake of grape anthocyanins and the role of bilitranslocase. J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8(8-9):953-960. 

  34. Park BH, Jeon ER, Kim SD, Cho HS (2009).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pickle with beet extract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8):1124-1129. 

  35. Park MW, Park YK, Jang MS (1994).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pickled cucumber with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Nutr 23(4):634-640. 

  36. Park YG, Park MW, Choi IW, Choi HD (2003). Effects of various salt concentration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ined cucumbers for pickle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4):526-530. 

  37. Recamales AF, Sayago A, Gonzalez-Miret ML, Hernanz D (2006). The effect of time and storage conditions on the phenolic composition and colour of white wine. J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9(2):220-229. 

  38. Son EJ, Oh SH, Heo OS, Kim MR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add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8):1302- 1309. 

  39. Torel J, Cillard J, Cillard P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istr 25(2):383-385. 

  40. Zhou A, Mefeeters RF, Fleming HP (2000). Development of oxidized odor and volatile aldehydes in fermented cucumber tissue exposed to oxygen. J Agriculture Food Chemistry 48(2): 193-1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