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들의 개인정보보호의 인식과 개인정보의 민감도에 대한 연구
Perception of Privacy and Sensitivity of Personal Inform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1 no.5 = no.74, 2015년, pp.25 - 37  

부유경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노진원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김유미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  김성수 (청주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나영아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보를 빠르게 수용하고 활용하는 대학생들이 정보보호의 중요성과 건강정보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고 대학교에서 개인정보보호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경기도 소재 대학교 3개 학과 학생 전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개인정보의 민감도는 민감정보, 건강정보, 일반개인정보 순으로 높았다. 민감정보는 주민번호, 주소 및 휴대전화번호에서, 건강정보는 진단명, 검사결과, 과거병력, 투약정보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년이 미성년보다, 고학년일수록, 개인정보보호교육 경험자가 교육받은 적이 없는 응답자에 비하여 개인건강정보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고 민감도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개인정보의 제공의사는 공공 및 의학연구보다 영리목적일 경우 제공불가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특히 학생들은 주민번호, 성병과 같은 진단명의 공개나 과거 병력이 민감하게 반응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를 우려하였다. 보건 전공계열 학생이 기타 계열의 학생보다 의학연구나 교육 공공목적에 정보제공의사가 높아 교과 학습을 통해 공공목적이나 의학연구에 있어서 정보제공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건강정보는 개인에게 있어서 매우 민감한 정보이지만 의학 발전이나 공중보건의 측면에서 적절한 정보의 활용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다양한 개인정보 유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정보주체로서 개인정보보호 의식 함양을 위해 대학 교양교육과정 또는 정보관련 교과목에 개인정보보호 교육을 포함시킴으로써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studying the awareness level of students, for the ne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also by studying students' level of perception as to which information needs protection,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increased education is beneficial, and necessary, across all university majors. This 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study aims to measure student’s awareness for the ne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s well as, the student’s perception of which information needs protection.
  • Additionally, this study is of importance to the analysis of results, giving consideration to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adults, in order to identify South Korean citizen’s perception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sensitivity levels regarding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gst CM, Agarwal R (2009). Adopt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in the presence of privacy concerns: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nd individual persuasion. MIS Quarterly 33(2):339-370. 

  2. Bansal G, Zahedi FM, Gefen D (2010). The impact of personal dispositions on information sensitivity, privacy concern and trust in disclosing health information online. Decision Support Systems 49(2): 138-150. 

  3. Culnan MJ, Bies RJ (2003). Consumer privacy: balancing economic and justice considerations. Journal of Social Issues 59(2):323-342. 

  4. Dinev T, Hart P (2003).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7(1):61-80. 

  5. EKOS Research Associates Report (2007). Electronic health information and privacy survey: What Canadians Think. 

  6. Haas S, Wohlgemuth S, Echizen I, Sonehara N, Muller G (2011). Aspects of privacy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80(2):26-31. 

  7. Hann I, Hui K, Lee T, Ping IPL (2002). Online information privacy: Measuring the Cost-Benefit Trade-off, Twenty-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Barcelona, Spain, Dec, 15th-18th, 1-8. 

  8. Hunter IM, Whiddett RJ, Norris AC, McDonald BW, Waldon JA (2009). New Zealanders' attitudes towards access to their electronic health records: Preliminary results from a national study using vignettes. Health Informatics Journal 15(3):212- 28. 

  9. Jeon DG, Jeong JH (2012). A legal study of punishments in terms of principles of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law. JSE 16(2):121-140. 

  10. Jung IJ (2001). Youth corps information operations study.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Research Report, 01-R14, 3-135. 

  11. Kim YE (2010). Perception on Data Privacy Used in Epidemiological Researc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in Korean). 

  12. Lee DJ (2012). Personal information used in decision- making site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ce. Information Policy 19(2):21-38. 

  13. Lee HG, Lee SH (2009).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information privacy, aimed at drawing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information privacy related studies. Information Policy 16(2):3-26(in Korean). 

  14. Lee JS, Cho HC (2007). Societal and personal level risk judgement on online risk. Korea National Gazette 21(6):457-491(in Korean). 

  15. Lee JY (2009). The righ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one's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of healthcare. Policy and Ethics 3(2):173-197(in Korean). 

  16. Li Y (2012). Theories in online information privacy research: A critical review and an integrated framework. Decision Support Systems 54(1):471-481. 

  17. Mayer-Schonberger (1998). Generational development of date protection in Europe. In Agre, P. And Rotenberg, M.(eds), Technology and Privacy: The New Land Scape. MA: MIT Press. 

  18.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nd Administration, (2012) Press Release, http://www.mospa.go.kr/ 

  19. Mohamed N, Ahmad IH (2012).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tecedents and privacy measure use in social networking sites: Evidence from Malaysia.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6):2633 -2375. 

  20. O'Brien DG, Yasnoff WA (1998). Privacy, confidentiality, and security in information systems of state health agencie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6(4):351-358. 

  21.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ww.law.go.kr 

  22. Phelps J, Wak G, rrell E (2000). Privacy concerns and consumer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19(1):27-41. 

  23. Sheehan KB, Hoy MG (2000). Dimensions of privacy concern among online consumers.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19(1):62-73. 

  24. Smith HJ, Dinev T, Xu H (2011). Information privacy research: An interdisciplinary review. MIS Quarterly 35(4):989-1015. 

  25.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ww.law.go.kr 

  26. Kim CH, Jeong SY, Song YH (2013).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atien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PPIP) in nursing students. 

  27. Kim JO, Park JK (2014). An Analysis of Recognition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Healthcare Administration Students in the Information Society.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