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ESTOBEAM 전단연결재의 길이에 따른 전단 내력 평가
Shear Resistance of BESTOBEAM She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Length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7 no.5, 2015년, pp.483 - 491  

안형준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  정인용 (DRB동일) ,  김영주 (DRB동일) ,  황재선 (일구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앵글을 전단연결재로 사용한 시공개선형 합성보(BESTOBEAM)의 전단연결재 길이에 따른 전단 내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전단내력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Eurocode 4의 경우와 달리 BESTOBEAM의 전단연결재는 등분포 하중을 받는 보의 거동과 유사하며 그 순경간(BESTO Width)에 따라 전단 내력이 달라진다. BESTO Width와 콘크리트의 강도에 따른 전단 내력을 Push-out 실험을 통해 측정한 결과 BESTO Width가 길어질수록 내력이 감소하고 연성능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결과를 반영하여 Eurocode 4의 설계식을 수정하여 새로운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설계식을 통해 예측된 전단연결재의 강도는 10% 오차 범위 이내로 잘 맞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앵글을 전단연결재로 사용한 BESTOBEAM의 전단 강도 설계에 제안된 식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ear resistance of BESTOBEAM, which has angle as shear connector and was developed with purpose of easy construction, was tested. With the test results shear resistance design equation was proposed. Unlike angle connector of Eurocode 4, BESTO BEMA shear connector behaves like fixed-end beam. There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용접길이 30mm 이상에서는 뚜렷한 강도의 증가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접길이를 40mm이상 확보한 조건으로 전단연결재의 길이에 따른 전단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BEASTOBEAM의 전단 강도 설계식을 개선하여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성부재란 무엇인가? 이종 재료간의 장점을 조합하여 높은 성능을 이끌어내는 합성부재는 건설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합성부재의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이종 재료간의 합성 효과를 어떻게 이끌어 내는가에 관한 것이다.
합성부재에 널리 사용되는 콘크리트와 강재의 장점은 무엇인가? 합성부재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는 콘크리트와 강재이다. 경제적이며 사용성이 좋은 콘크리트의 장점과 고강도이며 시공성이 좋은 강재의 장점을 조합하여 합성보와 합성기둥을 제작한다. 콘크리트-강재 합성부재는 이종 재료간의 합성효과를 어떻게 이끌어 내느냐에 따라 매우 다양한 상세가 개발되어 있다[1],[2],[3].
합성부재의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종 재료간의 장점을 조합하여 높은 성능을 이끌어내는 합성부재는 건설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합성부재의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이종 재료간의 합성 효과를 어떻게 이끌어 내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제작과 시공의 편리성이 실제 현장에서 합성부재의 사용을 결정짓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허병욱, 배규웅, 문태섭(2004) 매입형(슬림플로어) 합성보 의 휨성능 평가-춤이 깊은 데크 플레이트와 비대칭 H형강 철골보,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6권, 제2호, pp.235-246. Heo, B.W., Bae, K.W., and Moon, T.S. (2004) Flexural Capacity of the Encased(Slim Floor) Composite Beam with Deep Deck Pla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16, No.2, pp.236-245 (in Korean). 

  2. 채흥석, 류재용, 정경수, 문영민, 최성모(2010) 단부 보강 한 합성보(에코거더)시스템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2권, 제6 호, pp.533-541. Chae, H.S., Ryoo, J., Chung, K.S., Moon, Y.M., and Choi, S.M. (2010)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End-reinforced Steel-beam system (Eco-gird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2, No.6, pp.533-541 (in Korean). 

  3. Park, K.S., Heo, B.W., Kwak, M.G., and Bae, K.W. (2008)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behavior of encased composite beams for residential building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and Construction, Vol.24, No.12, pp.91-98. 

  4. 신현섭(2005) 합성보 전단연결부의 구조거동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7권, 제 6호, pp.737-747. Shin, H.S. (2005) Analysis of a load carrying behavior of shear connection at the interface of the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17, No.6, pp.737-747 (in Korean). 

  5. Ciutina, A.L. and Stratan, A. (2008) Cyclic performances of shear connectors, Composite Construction in Steel and Concrete VI, ASCE, SEI, Devil Thumb Ranch, Colorado, USA. 

  6. Amit, P. (2006) Behavior of Channel Shear Connectors: Push-out Tests, M.S. Thesis, University of Saskatchewan, Canada. 

  7. 김성배, 김상섭(2006) T형 합성보의 시어 커넥터 형상에 따른 전단내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8권, 제2호, pp.279-288. Kim, S.B. and Kim, S.S. (2006) An Evaluation on the Shear Strength for Different Forms of Shear Connector in T-type Composite Be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18, No.2, pp.279-288 (in Korean). 

  8. 김성배, 김상섭, 유덕수(2013) 신형상 U형 하이브리드 합성보와 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5권, 제1호, pp.47-59. Kim, S.B, Kim, S.S., and Ryu, D.S. (2013) Study on the Cyclic Seismic Testing of U-shape Hybrid Composite Beam-to-Composite Column Connec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5, No.1, pp.47-59 (in Korean). 

  9. 안재권, 이철호(2015) 무피복 합성보의 내화성능에 대한 실험 및 해석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7권, 제2호, pp.143-153. Ahn, J.K. and Lee, C.H. (2015)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Bea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7, No.2, pp.143-153 (in Korean). 

  10. 황현종, 엄태성, 박홍근, 이창남, 김형섭(2013) TSC 합성보-PSRC 함성기둥 접합부에 대한 주기하중 실험,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5권, 제6호, pp.601- 612. Hwang, H.J., Eom, T.S., Park, H.K., Lee, C.N., and Kim, H.S. (2013) Cyclic Loading Test for TSC Beam - PSRC Column Connec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5, No.6, pp.601-612 (in Korean). 

  11. 김영주, 배재훈, 안태상, 김진원, 유홍식(2014) SRC기둥-H 형단면과 U형단면으로 구성된 합성보 접합부의 반복가력 실험,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6권, 제 4호, pp.263-275. Kim, Y.J., Bae, J.H., Ahn, T.S., Kim, J.W., and Ryu, H.S. (2014) Cyclic Loading Test on Connection of SRC Column-Composite Beam Consisting of H-Section and U-Section Memb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6, No.4, pp.263-275 (in Korean). 

  12. 김영주, 배재훈, 안태상, 장성훈(2014) 중력하중을 받는 SRC기둥-합성보 접합부 실험,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6권, 제5호, pp.441-452. Kim, Y.J., Bae, J.H., Ahn, T.S., and Jang, S.H. (2014) Test of SRC Column-to-Composite Beam Connection under Gravity Load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6, No.5, pp.441-452 (in Korean). 

  13. 김영주, 배재훈, 안태상, 장동운(2014) 합성보에 적용된 앵글 전단연결재의 Push-out 실험,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6권, 제3호, pp.155-167. Kim, Y.J., Bae, J.H., Ahn, T.S., and Jang, D.W. (2014) Push-out Test on Welded Angle Shear Connectors Used in Composite Be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6, No.3, pp.155-167 (in Korean). 

  14. CEN (2004) prEN 1994-1-1:2004: Final Version of Editorial Group; Eurocode 4, Design of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Structures Part 1.1: General Rules and Rules for Buildings, Comite Europeen de Normalisation (CEN), Brussels, Belgiu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