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친화형 식품개발을 위한 국내외 관련 연구현황
Recent sensory and consumer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texture modified foods for elderly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48 no.3, 2015년, pp.13 - 19  

이승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고에서는 고령자의 신체적 변화에 따른 식이섭취 환경변화, 국내외 고령친화형 식품 현황, 국내외 고령자 대상 식품섭취 조사, 관능특성 및 기호도 조사 연구를 정리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고령친화식품 개발과 관련 연구활동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정부에서는 2006년 “고령친화산업진흥법’을 제정하여 ‘고령친화산업(일반적으로 생물학적 노화 및 사회경제적 능력 저하를 보이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정신적·신체적 건강, 편익,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지원·육성하고 발전기반을 조성하고자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국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는 노인 복지, 의료 및 요양에 관련 지원이 집중되고 있으며 금융, 주거, 기기, 여가, 식품 등의 다양한 분야로는 확대가 부족한 실정이다(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란 무엇인가? 노화란 연령증가에 따른 생체구조 및 기능의 변화로 정의된다. 노화가 진행되면 인체를 구성 하는 조직 및 기관의 생리적 기능은 성숙기에 비해 비가역적으로 저하되며, 특징적으로 신체활동 감소에 따라 제지방체중(lean body mass)과 근육량이 감소하게 된다(3).
고령자의 조리관련 요구도 조사 결과에 따라 고령자는 어떤 조리법을 선호하는가? 고령자의 조리관련 요구도 조사 결과에서는 삶은 요리, 찜 요리, 구이, 볶음 순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름진 조리법을 선호하지 않고 건식조리법을 이용한 한식보다는 습식 조리법을 사용한 부드러운 음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또한 고령자들은 간이 강한 식품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선호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간이 약한 식품보다는 짠맛이 강한 식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령자의 치아 상실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특히 75세 이상의 고령자의 경우 치아의 상실에 의한 영향이 크다. 이러한 치아 상실 등의 문제로 저작능력이 저하되어 섭취 할 수있는 음식에 제한이 생기고 식사의 양과 질이 떨어질 수 있다(5). 구강건강과 노인영양과의 연구에 따르면 치아 상태에 따라 저작이 불편한 노인들이 씹기 편한 음식을 주로 섭취하게 되면서 과일 및 채소의 섭취가 줄어들어 영양섭취가 불균형 하다는 것을 보고하였다(6). Marshall 등의 연구결과에서도 자연치아를 많이 보유한 노인들이 다양한 음식 섭취가 가능하였고, 반대로 구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영양부족 위험요소를 더 많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7).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치아 상태나 자연치아 수)은 저작능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른 영양섭취에도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tistics Korea. Estimated future population 2010-2060. Daejeon: Statistics Korea; 2011 [cited 2011 Dec 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2.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 산업분석, 보건산업진흥원, 2011 

  3. 구성자. 2003. 총설: 고령소비자의 맞춤형_식품개발을 위한 조리과학적 접근.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9: 667-684 

  4. Schiffman SS, Galtin CA. 1993. Clinical physiology of taste and smell. Ann. Rev. Nutr. 13: 405-423 

  5. Park JE, An HJ, Jung SU, Lee Y, Kim C, Jang YA. 2013. Characteristics of the dietary intake of Korean elderly by chewing abil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J Nutr Health 46: 285-295 

  6. Walls AW, Steele JG.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nutrition in older people. Mech Ageing Dev. 125: 853-857 

  7. Marshall TA, Warren JJ, Hand JS, Xie XJ, Stumbo PJ. 2002. Oral health,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in the very old. J Am Dent Assoc. 133: 1369-1379 

  8. Bae YH, Lee HK.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health status in the urban elderly who resides in the house. Yeungnam Univ J Med. 21: 51-59 

  9. Lee HK, Lee YK.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health status in the long-lived elderly of Kyungpook area. Yeungnam Univ J Med 16: 200-207 

  10. Choi HS, Moon HK, Kim H, Choi JS. 2010. Evaluation of the health status and dietary intake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by dental status. J Korean Diet Assoc 16: 22-38 

  11. Kim CS, Bae SM, Sin BM. 2011.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by oral health level-based on 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J Kor Soc Dent Hyg 11: 833-841 

  12. Lee MA. 2011. Relative effects of health and family factors on geriatric depressio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2: 623-635 

  13. Kwak TK, Kim HA, Paik JK, Jeon MS, Shin WS, Park KH, Park DS, Hong WS. 2013. A study of consumer demands for menu development of senior-friendly food products focusing on seniors in seoul and kyeonggi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257-265 

  14. Lee MS. 2013. Association between preferences of salty food and acuity and preferences of taste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8: 223-232 

  15. Jang JE, Kim JN, Park SJ, Shin WS. 2014. A qualitative study on needs of convenience meal from the low-income female elderly. Korean J Food Culture 29: 163-177 

  16. Lee GY, Han JA. 2015. Demand for elderly food development: relation to oral and overall health-focused on the elderly who are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370-378 

  17. Park SJ, Lee HJ, Kim WS, Lim JY, Choi HM. 2006. Food preference test of the Korean elderly menu development. Korean J Community Nutr 11: 98-107 

  18. Kim KY. 2007. Analysis on dining out behavior and menu preference by the lifestyle of senior customer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pp 45-47 

  19. Kim SJ, Joo NM. 2015. Development of easily chewable and swallowable pan-fried flat fish for elderly. Koran J Food Nutr 28: 153-159 

  20. Kim SJ, Joo NM. 2014. Development of easily chewable and swallowable korean barbecue beef for the aged. Koran J Food Nutr 27: 1175-1181 

  21. Kang DC, Lee H, Yu FL, Han JA.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fried glutinous rice cake) with curry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211-216 

  22. Penman JP, Thomson M. 1998. A review of the textured diets developed for the management of dysphagia. J. Hum. Nutr. Diet. 11: 51-60 

  23. Hall G, Wendin K.2008. Sensory Design of Foods for the Elderly. Ann. Nutr. Metab. 52: 25-28 

  24. Jianshe C. 2009. Food oral processing-A review. Food Hydrocolloids 23: 1-25 

  25. Koc H, Vinyard CJ, Essick GK, Foegeding EA. 2013. Food Oral Processing: Conversion of Food Structure to Textural Perception. Ann. Rev. Food Sci. Technol. 4: 237-266 

  26. Woda A, Foster K, Mishellany A, Peyron M.A. 2006. Adaptation of healthy mastication to factors pertaining to the individual or to the food In Making Sense of Food. Physiology & Behavior 89: 28-35 

  27. Kohyama K, Hayakawa F, Kazami Y, Ishihara S, Nakao S, Funami T, Nishinari K. 2015. Electromyographic texture characterization of hydrocolloid gels as model foods with varying mastication and swallowing difficulties. Food Hydrocolloids 43: 146-152 

  28. Massoulard A, Bonnabau H, Gindre-Poulvelarie L, Baptistev A. 2011. Analysis of the food Consumption of 87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depending on food texture.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5: 192-195 

  29. Roininen K, Fillion L, Kilcast D, Lahteenmaki L. 2004. Exploring difficult textural properties of fruit and vegetables for the elderly in Finland and the United Kingdom.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5: 517-530 

  30. Rothenberg E, Ekman S, Bulow M, Moller K, Svantesson J, Wendin K. 2007. Texture-modified meat and carrot products for elderly people with dysphagia: preference in relation to health and oral status. Scand J Food Nutr 51: 141-147 

  31. Wendin K, Ekman S, Bulow M, Ekberg O, Johansson D, Rothenberg E, Stading M. 2010. Objective and quantitative definitions of modified food textures based on sensory and rheological methodology. Food & Nutrition Research 54: 1-11 

  32. Issanchou S. 2015. Sensory & consumer studies with special populations: children and elderly. Current Opinion in Food Science 3: 53-5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