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료용 소재 등 비섬유용 소재로서 누에고치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장려품종인 금옥잠 누에고치와 대성잠 누에고치의 특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금옥잠과 대성잠은 타원형의 누에고치를 지으며, 색상의 RGD 비율은 거의 1 : 1 : 1이었다. 주요 아미노산 조성은 글리신, 알라닌, 세린, 티로신, 아스파르트산 등이 주요 아미노산이었다. 글리신, 알라닌, 세린 등 주요 아마노산의 함량이 각각 66.96%, 67.39%로 나타났으며, 친수성 아미노산이 68%, 69%, 그리고 아미노산의 사슬이 긴 아미노산은 전체 구성 아미노산 중에서 각각 38%, 37%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려품종 누에고치는 $2{\theta}=20.6^{\circ}$ 부근에서 강한 하나의 회절 피크를 나타내어 ${\beta}-sheet$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옥잠 누에고치와 대성잠 누에고치의 인장 특성은 금옥잠 누에고치의 절단강도는 50 MPa, 절단신도는 37%로 측정되었으며, 대성잠 누에고치는 절단강도는 48 MPa, 절단신도는 30%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장려품종 누에고치의 특성에 대한 조사 분석 결과를 축적하여 향후 누에고치를 이용한 비섬유용 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commercial Bombyx mori silkworm cocoon made by Kumokjam and Daesungjam was examined to characterize for application. Amino acid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amino acid of Kumokjam and Daesungjam cocoon was glycine, alanine, serine, tyrosine, and aspartic acid. The content of three major am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료용 소재 등 비섬유용 소재로서 누에고치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장려품종인 금옥잠과 대성잠을 중심으로 누에고치 자체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에고치란? 누에고치는 집누에(가잠, Bombyx mori)가 번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만든 것으로 그동안 인류는 고급 섬유 소재인 실크를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하여 왔다. 실크는 자연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길고 가늘며 질긴 섬유로 알려져 있다.
누에고치를 이용해서 만드는 것은? 누에고치는 집누에(가잠, Bombyx mori)가 번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만든 것으로 그동안 인류는 고급 섬유 소재인 실크를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하여 왔다. 실크는 자연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길고 가늘며 질긴 섬유로 알려져 있다.
누에고치로 만든 실크의 장점은? 누에고치는 집누에(가잠, Bombyx mori)가 번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만든 것으로 그동안 인류는 고급 섬유 소재인 실크를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하여 왔다. 실크는 자연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길고 가늘며 질긴 섬유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누에고치에 대한 연구 분석은 주로 섬유용 소재로서의 특성 분석에 한정되어 연구 개발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 HY, Baik YA, Jeon SY, Kwak YH, Kweon HY, Jo YY, Lee KG, Park YH, Kang DC (2013) Growth an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on silk scaffolds. Int J Indust Entomol 27, 303-311. 

  2. Kim J, Kim CH, Park CH, Seo JN, Kweon HY, Kang SW, Lee KG (2010) Comparison of methods for the repair of acute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silk patch vs paper patch. Wound Rep Regen 18, 132-138. 

  3. Kim SK, Jo YY, Lee KG, Lee HS, Yeo JH, Kweon HY (2014)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lk beads for protein delivery system. Int J Indust Entomol 28, 66-70. 

  4. Kweon HY, Jo YY, Lee KG, Kim HB, Yeo JH (2014) Silk polymer for medical applications. J Seric Entomol Sci 52, 89-95. 

  5. Kweon HY, Kim SG, An JH, Shim HW, Yang BE, Kim JY, Jo YY, Yeo JH, Lee KG (2010) Silk fibroin membrane as guided bone regeneration in rat calvarial defects. Int J Indust Entomol 21, 175-179. 

  6. Kweon HY, Lee KG, Park KY, Kang SW. Seok YS (2012) Degumming characteristics and color stability of GoldenSilk cocoon. Int J Indust Entomol 24, 1-5. 

  7. Kweon HY, Park YH (1994)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roperties of wild silk fibers; Antheraea pernyi and Antheraea yamamai. Korean J Seric Sci 36, 138-146. 

  8. Kweon HY, Park YH (1999) Structural and conformational changes of regenerated Antheraea pernyi silk fibroin films treated tith methanol solution. J Appl Polym Sci 73, 2887-2894. 

  9. Kweon HY, Park YH (2001) Dissol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generated Antheraea pernyi silk fibroin. J Appl Polym Sci 82, 750-758. 

  10. Lee KW, Chung DE, Kim KY, Jo YY, Kim HB, Kim SK, Kweon HY (2015) General characteristics of Antheraea yamamai silkworm cocoon culured in Korea. J Seric Entomol Sci 53, 6-11. 

  11. Seok H, Lee SW, Kim SG, Seo DH, Kim HS, Kweon HY, Jo YY, Kang TY, Lee MJ, Chae WS (2013) The effect of silk membrane plus 3% 4-hexylresorcinol on guided bone generation in a rabbit calvarial defect model. Int J Indust Entomol 27, 209-217. 

  12. Tsukada M (1986) Structural changes induced in tussah silk (Antheraea pernyi) fibroin films by immersion in methanol. J Polym Sci Pt B-Polym Phys 24, 1227-1232. 

  13. Zhao CX, Wu XF, Zhang QA, Yang SQ, Li MZ (2011) Enzymatic degradation of Antheraea pernyi silk fibroin 3D scaffolds and fibers. Int J Biol Macromol 48, 249-2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