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on the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1, 2015년, pp.658 - 671  

김연철 (단국대학교 교직교육과) ,  이은철 (한국교육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D 대학의 사범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을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의 평균연령은 22.3세이며, 2-4학년 재학생으로 인구통계학적 배경은 비교적 동질적이다. 교육사회학(교직과목) 수업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는 학기 초에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사전 검사하였다. 이후에 실험집단은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액션러닝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기가 종료되는 시기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 검사 점수를 고려하여 집단 간 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 보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경험적 수준이 낮은 학습자 대상의 수업에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 보다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원 관리와 학습전략 활용 측면에서는 액션러닝프로그램과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 공히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방법 중 전통적 집단강의보다 학습자들의 참여 및 실천학습 방법인 액션러닝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교수방법이지만, 대학생들의 지적, 경험적 측면의 초보적 수준을 고려할 때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의 적극적 활용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blended action learn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D University located in the capital area were selected to form 30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학습방식에 있어서는 매우 실용적이고 효과적이기 때문에 교수방법으로써 대학생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액션러닝의 모든 요소를 다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학습자, 학습 팀, 실행, 협동, 학습동기 유발 및 유지, 온라인 및 오프라인학습의 결합, 성찰 등의 요소를 활용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블렌디드 액션러닝으로 정의하고, 블렌디드 액션러닝이 대학교육의 효과적인 교수 방법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D대학의 교육사회학 학습자들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역 지식에 대한 교육 없이 액션러닝의 형태를 그대로 적용하는 액션러닝 집단과 수업 초반부에 영역 지식을 강의식으로 교육하고, 후반부에 액션러닝의 방법을 적용하는 블렌디드 액션러닝 집단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블렌디드 액션러닝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으로 효과적임을 입증하고자 했으며, 연구결과를 대학교육 담당자들에게 공유하여 대학교육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하는 교수방법으로 효과적임을 입증함에 목적을 두었다. 매학기 반복되는 교육사회학 수업에서 본 연구의 연구자가 안타깝게 생각한 것은 학생들의 수동적 학습태도와 암기위주의 지식축적 학습방법을 탈피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을 활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지를 검증하는 연구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액션러닝프로그램과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의 사용 유형에 의해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준이 어떠한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는 이질 집단 사전 사후 실험설계를 구성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액션러닝프로그램과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의 사용 유형에 의해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준이 어떠한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는 이질 집단 사전 사후 실험설계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인은 액션 러닝프로그램과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의 사용 유형이며, 종속변인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다[표 Ⅲ-2].
  • 학습 능력이 단기간에 향상되기에는 많은 제한들이 있다. 이에 두 학기 이상의 기간 동안 액션 러닝과 블렌디드 액션러닝을 활용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학습 능력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연구를 제안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수강신청을 한 결과로 구성된 집단이라는 점에서 동질성 확보의 문제에 약점을 갖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역 지식에 대한 교육 없이 액션러닝의 형태를 그대로 적용하는 액션러닝 집단과 수업 초반부에 영역 지식을 강의식으로 교육하고, 후반부에 액션러닝의 방법을 적용하는 블렌디드 액션러닝 집단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블렌디드 액션러닝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으로 효과적임을 입증하고자 했으며, 연구결과를 대학교육 담당자들에게 공유하여 대학교육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첫째, 블렌디드 액션러닝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설정

  • 둘째, 블렌디드 액션러닝과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액션러닝이란 무엇인가? 액션러닝이란, 조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원 모두가 협동하여 해결안을 마련해 나가는 과정[33]이며,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진행해 나가는 학습 및 성찰 과정[32][35][36]이다. 봉현철은 학습자들이 팀을 구성하여 직무과제를 중심으로 러닝코치와 함께 과제의 내용적 측면과 과제 수행의 프로세스적 측면을 학습하는 과정이라 하였다[8][9].
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직업기초역량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22]에 의하면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직업기초역량은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에 있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이며 구체적 직업기초역량으로는 자기관리 역량, 대인관계 능력,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능력, 글로벌 역량, 의사소통 능력, 종합적 사고력 등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자연스럽게 대학교육의 변화를 요구한다.
액션러닝 프로그램을 대학 강의실에서 그대로 활용하기 어려운 예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액션러닝프로그램과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을 구분하는 이유는 기업에서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액션러닝 프로그램을 대학 강의실에서 그대로 활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예컨대 액션러닝의 구성요소인 실질적이고 난해한 과제, 다양한 경험을 소유한 학습 팀, 러닝코치, 학습의지, 실행의지, 질문과 성찰 등을 제대로 구성하여 대학생에게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곤란한 점이 많다. 반면 학습방식에 있어서는 매우 실용적이고 효과적이기 때문에 교수방법으로써 대학생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도헌, 최우재,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제9권, 제4호, pp.147-176, 2003. 

  2. 김연철, "기업체 직무교육 참여자의 액션러닝프로그램 경험의미 탐색: F.G.I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598-612, 2014. 

  3. 김연철, 한상길, "실천학습기법이 재무설계사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학습동기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지, 제32권, 제1호, pp.39-62. 

  4. 김은경, "NIE 경험과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교과교육학회지, 제16권, 제3호, pp.771-797, 2012. 

  5. 김윤민, 김윤희, "간호관리학 임상실습에서 액션 러닝의 개발 및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302-322, 2010. 

  6. 박수홍, 안영식, 정주영, "핵심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부산지역 관광컨벤션산업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제11권, 제4호, pp.95-124, 2005. 

  7. 박수홍, 이정아, 홍광표, "대학 미술수업에서 팀역량 강화를 위한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공학회지, 제24권, 제2호, pp.71-104, 2008. 

  8. 봉현철, 봉현철교수의 성공적 학습을 위한 Action Learning Workbook, 다산서고, 2006. 

  9. 봉현철, 성공하려면 액션러닝하라, 행성: B웨이브, 2011. 

  10. 성낙돈, "대학에서의 역량기반 수업설계 방식의 적절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지, 제10권, pp.117-136, 2007. 

  11. 심미정, 오효숙,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28-337, 2012. 

  12. 심혜숙, 신영애, "성격유형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관계," 한국심리유형학회지, 제13집, pp.25-44, 2006. 

  13. 양애경, 감성지능, 학습동기, 학습자 스트레스 및 자기주도적 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4. 양애경, 조호제,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논단학회지, 제8권, 제3호, pp.61-82, 2010. 

  15. 이상수, "Blended learning을 위한 수업설계 원리," 한국교육공학회지, 춘계학술대회, pp.83-98, 2006. 

  16.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생애능력 측정 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교육개발원, 2003. 

  17. 이현주,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24, 2012. 

  18. 장경원,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 '블랭크 차트'의 활용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방법 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99-321, 2011. 

  19. 장경원, 이지은,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제9권, 제1호, pp.315-339, 2009. 

  20. 장경원, 고수일, 액션러닝으로 수업하기, 학지사, 2013. 

  21. 정주영, 블렌디드 액션러닝(Blended Action Learning)지원시스템의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2. 직업능력개발원,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체제 구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23. 천대윤, 현장중심 액션러닝 변화혁신 리더십, 북코리아, 2008. 

  24.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용어사전, 교육과학사, 2005. 

  25. 한상길, 평생교육론, 공동체, 2009. 

  26. J. Baumert, H. Fend, O'Neil, and J. L. Peschar Prepared for life-long learning Frame of reference for the measur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a cross-curricular competency in the PISA Project Paris: OECD, 1998. 

  27. Braun, Wolfgang, Daimler Chrysler: Global Leadership Development Using Action-Oriented and Distance Learning Approaches, In Boshyk, Yury(Ed), Business Driven Action Learning: Global Best Practice, New York: St. Martin's Press, 2000. 

  28. S. D. Brookfield, Self-Directed Learning:From Theory to Practice(New Direction for Continuing Education), pp. 87-90, San Francisco, CA : Jossey-Bass, 1985. 

  29. R. S. Caffarella and J. M. O'Donnell, "Self-directed adult learning : A Critical paradigm revisited,"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37, pp.199-234, 1987. 

  30. P. Candy, Self-Direction for life 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CA : Jossy-Bass, 1991. 

  31.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iversity of Georg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7. 

  32. S. Inglis, Making the most of action learning, Aldershot, England: Gower, 1994. 

  33. M. Knowles, Self-Direction Learning :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 NY:Association Press, 1975. 

  34. H. B. Long,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 or Studying Self-direction in Learning, In H. B. Long & Associates eds.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pp.9-24). 

  35. I. McGill and L. Beaty, Action Learning: A Guide for professional, management & educational development. 2nd ed., London:Kogan Page, Ltd. 2001. 

  36. S. N. Willamson, Development of a self-rating scale of self-directed learning, Nurse Researcher, Vol.14, No.2, pp.66-8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