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영적안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n Quality of Life among Nurses in Emergency Room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129 - 137  

배선주 (부산대학교병원) ,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in nurses in emergency rooms. Methods: Subjects were 131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s in B metropolitan city, Y and J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5 to July 10, 2015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영적안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반영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중재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간호사는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죽음에 대한 이해와 태도로 대상자를 돌보는 간호행위나 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8], 죽음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간호사는 죽음에 대한 불안 정도가 높아 죽음을 회피하려는 행동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임종환자나 가족들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지 못한다[9]. 하지만 죽음을 제대로 알고 받아들이면 우리의 삶이 죽음의 불안과 공포에서 벗어나 자유로워 질 수 있으며, 죽음의 대면에도 용기 있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10].
응급실 간호사들이 극도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4년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 통계자료[3]에 따르면 우리나라 응급 의료 기관 이용자수는 2012년 10,243,040명에서 2014년에는 10,419,983명으로, 응급실 도착 후 사망한 환자 수는 2012년 25,492명에서 2014년 28,607명으로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수와 사망자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응급실 간호사는 다양한 환자들을 간호하는 과정 중 목맴, 익사, 투신, 음독, 분신, 동맥 절단 등과 같이 자살 또는 타살 등으로 인한 사망환자를 처치한다. 또한 예측 불가능하고 긴박한 상황에서 사건, 사고에 노출된 환자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치해야 한다. 이러한 근무 환경과 임종환자를 간호해야 하는 상황에서 응급실 간호사는 극도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있다[4].
응급실은 어떤 장소인가? 죽음은 모든 인간이 운명처럼 맞게 되는 자연적이고 정상적인 삶의 과정으로 인간에게 있어서 불가피하고 중대한 문제이다[1]. 응급실은 중증 환자나 말기 환자들이 내원하거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위급한 환자가 많이 내원하는 장소이다[2]. 2014년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 통계자료[3]에 따르면 우리나라 응급 의료 기관 이용자수는 2012년 10,243,040명에서 2014년에는 10,419,983명으로, 응급실 도착 후 사망한 환자 수는 2012년 25,492명에서 2014년 28,607명으로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수와 사망자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ong EM, Jun MD, Park ES.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4):265-272. http://dx.doi.org /10.5388/aon.2013.13.4.265 

  2. Han JY.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death between ER nurses and Coroner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5;18(1):16-24. 

  3.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4 Emergency medical statistical yearbook No 13. Report.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5 July. Report No:2015-Central Emergency medical-009. 

  4. Cohen SS, Mulvaney K. Field observations: 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 response for hurricane charley, Punta Gorda, Florida. Disaster Man -agement And Response. 2005;3(1):22-27. http://dx.doi.org/10.1016/j.dmr.2004.10.003 

  5. Lee KO, Yun HJ.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steem,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nurses caring of cancer patients.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2006;31(2):85-99. 

  6. Stewart AE, Lord JH, Mercer DL. A survey of professional's training and experiences in delivering death notifications. Death Studies. 2000;24(7):611-631. 

  7. Han MY, Sohn SK, Kwon SH, Choi JH, Choi KH.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4;20(1):21-28. 

  8. Yoon JH, Ha JY. Nurse's awareness of death and meaning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4):381-388. Http:// dx.doi.org/10.7739/jkafn. 2013.20.4.381 

  9. Braoun M, Gordon D, Uziely B. Associations between oncology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 Oncology Nursing Forum. 2010;37(1):43-49. 

  10. Jeon MH. Recognition among Nurses and Doctors about the Death in ER & ICU. [master's thesis]. Seoul:Hanyang University;2008. p.1-79. 

  11. Chochinov HM, Cann BJ. Intervention to enhance the spiritual aspects of dying.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05;8(1):103-115. 

  12. Cho OH, Han JS, Hwang KH. Subjective health status, attitude toward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f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10):375-384.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0.375 

  13. Kim YH. A study of nurses burden and attitude on terminal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01;1(1):65-74. 

  14. Lee HJ.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ption of death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4;7(1):29-36. 

  15. Sung MH. Spiritual well-being and life stress of nursing students.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009;9(3):222-229. 

  16. Sung MH.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Asian Oncology Nursing. 2009;9(1):15-22. 

  17. Jo YK.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rse's quality of life and selfefficacy[master's thesis]. Gyeonggi-do:Aju University;2001.p.1-45. 

  18. Kim BH, Kim HG, Tac YR. Affect of hospice education on the death.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Development. 1997;2(2):60-66. 

  19. Jo YJ.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master's thesis]. Seoul:Aju University;2011.p.1-40. 

  20. Paloutzian RF, Ellison CW.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A. Peplau D, Perman(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1982;224-237. 

  21. Lee HI, Choe HS. Correlation among spiritual health, mental health and maturation of christian belief. Korean Journal of Hospice Care. 2003;3(1):1-11. 

  22. WHO. WHOQOL study Protocol. WHO. Geneva.1993. 

  23. Min SG, Lee CY, Kim GI, Seo SY, Kim DG.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 BRE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3):571-579. 

  24. An MS, LEE KJ. Awareness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among geriatric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4;17(3):122-133. 

  25. Folta RH. Spiritual care: The role of the Christian nurse. 1nd ed. Seoul: Hyeonmunsa;1995.p.1-349. 

  26. Park MH. Hope, self-empowerment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of middle aged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3;9(2):222-233. 

  27. Han KS, Kim JH, Lee KM, Park JS.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Hospital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4;13(4):430-437. 

  28. McMillian J, Morgan SA, Ament P. Acceptance of male registered nurses by female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6;38(1):100-106. http://dx.doi.org /10.1111/j.1547-5069.2006.00066.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