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환경 적합성, 긍정심리자본, 혁신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Person-Environment F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0, 2016년, pp.225 - 240  

한지훈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융복합 환경에서 인적자원 관리 차원에 입각한 개인-환경 적합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개인-환경 적합성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환경 적합성은 긍정심리자본과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개인-환경 적합성과 혁신 행동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개인-환경 적합성 자체가 혁신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긍정심리자본이 먼저 형성될 때 혁신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person-environment fit has been highlighted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convergence environment. This paper was validated through a structural relationships model, the impact of person-environment fit on innovative work behavior by focusing on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연화와 홍아정(2015)은 개인-환경 적합성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면서, 조직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 조직원과의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8]. 개인-환경 적합성과 혁신행동 및 이직의도의 관계를 입증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개인과 조직, 직무, 상사와의 적합성 등 개인-환경 적합성이 혁신 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 1과 2를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적 심리학에 기초하여 개인이 인지하는 조직, 직무, 상사 등 조직환경과의 적합성이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혁신행동 및 이직의도 등 조직의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개인-조직, 개인-직무, 개인-상사 적합성으로 구성된 개인-환경 적합성이 긍정심리자본 및 혁신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둘째 개인-환경 적합성과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직원을 대상으로 개인-환경 적합성, 긍정심리자본, 혁신 행동 및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개인-환경 적합성이 개인의 혁신적 행동과 조직효과성의 결정적 기준이 되는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환경 적합성이 긍정심리자본과 혁신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긍정심리자본이 개인-환경 적합성과 혁신 행동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연구가설을 도식화하면 [Fig.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개인-조직, 개인-직무, 개인-상사 적합성으로 구성된 개인-환경 적합성이 구성원들의 혁신 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여러 선행연구들을 통해 개인과 조직 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조직 적합성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조직적응, 이직률 감소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55, 56, 57, 58, 59].
  • 한편,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인식이 개인-환경 적합성과 혁신 행동 및 이직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해 검증했는데, 이는 모집단으로부터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 데이터를 대상으로 재표본 추출을 통해 표준오차를 추정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 개인-환경 적합성은 혁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 개인-환경 적합성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3 : 개인-환경 적합성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4 : 긍정심리자본은 혁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5 : 긍정심리자본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6 : 혁신 행동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러한 개인-환경 적합성과 긍정심리자본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적합성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은 드문 실정이며, 김은지(2016)의 연구에서 개인-조직 적합성만이 긍정심리자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33]. 이에 본 연구는 개인-조직, 개인-직무, 개인-상사 간 적합성으로 구성된 개인-환경 적합성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연구가설 3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환경 적합성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개인-환경 적합성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정의된다. 일치 또는 유사성에 초점을 둔 상호적합성(supplementary fit)과 보완 또는 조화에 초점을 둔 보완적합성(complementary fit)이다[10, 13, 16]. 상호적합성은 개인 특성과 환경 특성이 서로 일치하거나 유사할 때 발생하며, 보완적합성은 개인특성이 환경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거나 환경이 개인 특성의 부족한 부문을 보완해 줄 때 발생한다.
신입사원들의 퇴사원인은 무엇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업의 조치는 무엇인가? 9%) 순으로 드러났다. 즉, 조직 및 직무와의 적합성에 대한 부분이 가장 큰 퇴사 원인으로 등장한 것이며, 기업이 신입사원의 조기퇴사를 막기 위한 방안으로 직무역량과 적성 등을 감안한 적합한 배치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인과 조직, 개인과 직무, 개인과 상사 등 개인과 조직 환경 간의 적합성이 구성원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은 의의를 갖는다.
긍정심리자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은 긍정심리학과 긍정적 조직행동에 기초하여 등장한 것으로 긍정적인 성향을 가진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인 역량은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해 개발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29, 30]. 긍정조직행동에서 핵심개념이라 할 수 있는 긍정심리자본은 개인이 주어진 환경에 대해 가지는 긍정적 심리태도가 적극적인 사고와 행동을 하게 됨으로써 성과향상에 기여하게 되는 조직구성원의 복합적인 심리 역량을 의미한다[30]. 즉 긍정심리자본의 개념은 개인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자기효능감(self-efficacy), 희망(hope), 복원력(resilience)과 낙관주의(optimism) 등 4개의 하위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자본(capital)으로 개념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29, 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F. Luthans,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3, No.4, pp. 695-706, 2002. 

  2. M. E. P. Seligman, and M. Csikszentmihalyi,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 55, pp. 5-14, 2000. 

  3. F. Luthans, "Psychological capital: Implications for HRD, retrospective analysis, and future directions."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 23, No. 1, pp. 1-8, 2012. 

  4. F. Luthans, S. M. Norman, B. J. Avolio, and J. B. Avey,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supportive organizational climate-employee performance relationship."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9, No.2, pp. 219-238, 2008. 

  5. J. B. Avey, "The left side of psychological capital: New evidence on the antecedents of psycap." Journal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udies, Vol. 21, No, 2, pp. 141-149, 2014. 

  6. J. B. Avey, R. J. Reichard, F. Luthans, and K. H. Mhatre,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ee attitudes, behaviors, and performa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 22, No. 2, pp. 127-152, 2011. 

  7. J. A. Chatman, "Improving interactional organizational research: A model of person organization fi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4, No. 3, pp. 333-349, 1989. 

  8. Y. H. Jeong and A. J. Hong, "The Impact of Person-Environment Fit on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4, No. 4, pp. 1-24, 2015. 

  9. M. Y. Song, and J. Y. Paek, "Effects of secretaries'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and person-supervisor fit on their caree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Vol. 24, No. 1, pp. 173-196, 2015. 

  10. J. Y. Seong, W. W. Park, and S. H. Yun, "The Effect of Person-Environment(Organization, Supervisor, Coworker) Fi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ustic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Vol. 16, No. 2, pp. 1-62, 2008. 

  11. I. S. Lee, J. H. Baek, and M. K. Jeon, "The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3, No. 4, pp. 1951-1967, 2010. 

  12. A. L. Kristof, "Person-organization fit: an integrative review of its conceptualizations,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Personnel Psychology, Vol. 49, pp. 1-49, 1996. 

  13. P. M. Muchinsky, and C. J. Monahan, "What is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Supplementary versus complementary models of fi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31, No. 3, pp. 268-277. 1987. 

  14. Y. H. Seo, and M. W. Kim, "Study into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on Job Stress: Centering on Caretakers at Domiciliary Visit Care Center."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52, pp. 63-86. 2011. 

  15. S. H. Park, "Research of person-environment fi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 on mediated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aster degree, Korea University, 2012. 

  16. M. O. Choi, and T. Y. Yoo, "Th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Person-Job, and Person-Supervisor Fit on Organization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8, No. 1, pp. 139-162. 2005. 

  17. D. M. Cable, and T. A. Judge, "Person-organization fit, job choice decisions, and organizational ent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 67, pp. 294-311, 1996. 

  18. Y. S. Kang, "Differential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Job Performance an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Work Valu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19, No. 4, pp. 75-98, 2012. 

  19. W. Arthur Jr, S. T. Bell, A. J. Villado, and D. Doverspike, "The use of person-organization fit in employment decision making: an assessment of its criterion-related valid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91, No. 4, pp. 786-801, 2006. 

  20. J. R. Edwards, "Person-job fit: a 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6, pp. 283-357, 1991. 

  21. D. F. Caldwell, and C. A. O'Reilly, "Measuring person-job fit with a profile-comparison pro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5, No. 6, pp. 648-657, 1990. 

  22. K. J. Lauver, and A. L. Kristof-Brown, "Distinguishing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organization fi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59, No. 3, pp. 454-470, 2001. 

  23. A. L. Kristof-Brown, K. L. Jenson, and A. E. Colbert, "A policy-capturing study of the simultaneous effects of fit with jobs, groups and organiz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7, No. 5, pp. 985-993, 2002. 

  24. Y. C. Lin, C. Yu, and C. C. Yi, "The effects of positive affect, person-job fit, and well-being on job performance."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42, No. 9, pp. 1537-1547, 2014. 

  25. S. M. Ryu,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Job Fit, and Employees' Behavior in Customer-contacted Functions: The Search for Mediation Mechanisms." Productivity Review, Vol. 30, No. 2, pp. 83-116, 2016. 

  26. C. L. Adkins, C. J. Russell, and J. D. Werbel, "Judgments of fit in the selection process: the role of work value congruence." Personnel Psychology, Vol. 47, pp. 605-623, 1994. 

  27. A. E. M. Van Vianen, "Person-organization fit: The match between newcomers'and recruiters' perceptions for organizational cultures." Personnel Psychology, Vol. 53, pp. 113-149, 2000. 

  28. B. M. Meglino, E. C. Ravlin, and C. L. Adkins, "The measurement of work value congruence: A field study comparison." Journal of Management, Vol. 18, No. 1, pp. 33-43, 1992. 

  29. K. J. Lauver, and A. Kristof-Brown, "Distinguishing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Person-Job and Person-Organization Fi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59, pp.454-470, 2001. 

  30. J. J. Lavelle, D. E. Rupp, and J. Brockner, "Taking a Multi-foci Approach to the Study of Justice, Social Exchange, and Citizenship Behavior: The Target Similarity Model." Journal of Management, Vol. 33, pp. 841-866, 2007. 

  31.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997. 

  32. A. D. Stajkovic, and F. Luthans,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elf-efficacy: Going beyond traditional motivational and behavioral approaches." Organizational Dynamics, Vol. 26, pp. 62-74, 1998. 

  33. E. J. Kim, "Examin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aders' Vision, Person-Organization F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Vol. 31, No. 2, pp. 255-277. 2016. 

  34. H. R. Kim, and H. W. Jung,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mmitment to Chang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20, No. 3, pp. 1-30, 2013. 

  35. K. S. Lee, and Y. C. Cha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motional Leadership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service sector employees."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Vol. 17, No. 4, pp. 43-67, 2015. 

  36. P. S. Yang, and S. B. Choi,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Psychological Capital and Commit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19, No. 2, pp. 63-82, 2012. 

  37. D. S. Lee, and Y. D. Choi, "A Study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ganizations."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39, No. 1, 1-28, 2011. 

  38. J. Y. Kim, and M. S. Kim,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Vol. 26, No. 3, pp. 117-148, 2009. 

  39. J. S. Jang, and J. K. Tak,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arning Goal Orientation, Articulating a Vision on Affec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The Moderating Effects of Benefits of Change, Organizational Cynicism."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6, No. 1, pp. 1-25, 2013. 

  40. H. J. Lee, and N. G. Lee,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Attitudes, and the Roles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Vol. 25 No. 6, pp. 105-120, 2013. 

  41. K. H. Park,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reativity and Job Involvement of Small & Medium Company Employee."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Vol. 14, No. 1, pp. 115-132, 2012. 

  42. S. U. R. Toor, and G. Ofori, "Women leaders breaking the glass ceiling in Singapore's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Vol. 137, No. 1, pp. 1-6, 2010. 

  43. J. W. Lee, J. W. Kim, I. C. Kim, "Psychological Empowerment, Organizational Support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of General Hospital Employees." Health Policy and Mangemnet, Vol. 13, No. 1, pp. 46-69, 2003. 

  44. T. M. Amabile,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10, No. 1, pp. 123-167, 1988. 

  45. R. M. Kanter, "When a thousand flowers bloom: Structural, collective, and social conditions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 in Staw B. M. and Cummings L. L.(ed),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Greenwich, CT: JAL press, Vol. 10, pp. 169-211. 1988. 

  46. M. A. West, "Innovation amongst health care professionals." Social Behavior, Vol. 4, pp. 173-184, 1989. 

  47. H. C. Hsiao, Y. L. Tu, J. C. Chang, and S. C. Chen,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innovative work behavior for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y, Vol. 1, No. 1, pp. 31-36, 2011. 

  48. J. Shi, "Influence of passion on innovative behavior: An empirical examination in Peoples Republic of China."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Vol. 6, No. 30, pp. 8889-8896, 2012. 

  49. J. I. Yoo, "The Impa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 Focused on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octoral degree, Kyungsung University, 2016. 

  50. S. G. Scott, and R. A.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8, pp. 1442-1465, 1994. 

  51. R. F. Kleysen, and C. T. Street, "Towards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Journal of Intellectual Capital, Vol. 2, No. 3, pp. 284-296, 2001. 

  52. C. Pettijohn, L. Pettijohn, and A. J. Taylor, "Salesperson perceptions of ethical behaviors: Their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78, pp. 547-557, 2007. 

  53. H. J. Ju, and J. G. Kim, 'The Influence of Convergence Corporate Culural Management Activities up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Issue 8, pp. 191-206, 2015. 

  54. K. C. Kwon, and H. S. Yang,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Coaching Leadership,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onvergence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Issue 5, pp. 247-262, 2016. 

  55. S. H.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 Organization Value Fit and Job Satisfaction: Toward Identifying The Moderating Role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20, No. 2, pp. 1-26, 2013. 

  56. J. H. Park, J. H. Choi, and Y. A. Jeong, "Relationship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lue with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Vol. 21, No. 4, pp. 207-226, 2014. 

  57. R. D. Bretz, and T. A. Judg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Implications for satisfaction, tenure, and career suc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44, No. 1, pp. 32-54, 1994. 

  58. B. J. Hoffaman, and D. J. Woehr,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organization fit and behavioral outcom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68, No. 3, pp. 389-399, 2006. 

  59. C. A. O'Reilly, J. A. Chatman, and D. F. Caldwell,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 profile comparison approach to assessing person-organization fi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4, No. 3, pp. 487-516, 1991. 

  60. B. H. Ha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octoral degree, Chosun University, 2010. 

  61. J. N. Choi, "Person-environment fit and creative behavior: Differential impacts of supplies-values and demands-abilities versions of fit." Human Relations, Vol. 57, No. 5, pp. 531-552, 2004. 

  62. A. M. Saks, and B. E. Ashforth, "Is job search related to employment quality? It all depends on the fi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7, No. 4, pp. 646-654, 2002. 

  63. O. Janssen,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u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73, No. 3, pp. 287-302, 2000. 

  64. W. H. Mobley,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2, pp. 237-240, 1977. 

  65. J. Singh, J. R. Goolsby, and G. K. Rhoads,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boundary spanning burnout for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1, No. November, pp.558-569, 1994. 

  66. H. S. Lee, and J . H. Lim, "SPSS 16.0 manual." Paju, Bobmunsa, 2009. 

  67.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and R. E. Anderson,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ition)."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09. 

  68. J. H. Kim, S. H. Hong, and B. D. Choo,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anagement Studies: A Critical Review."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36, No. 4, pp. 897-923, 2007. 

  69. Jung-Im Kim, Bo-Ram Choi, "Convergence Study on Emotional Labor, Stress Response and Turnover Intention of Call-center Work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139-146, 2015. 

  70. Hyeon Young Kim, Myung-Seong Yim, "A Study of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Hospital Employees through Convergence Career Management System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119-12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