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소진, 과학교수불안 및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on the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Burnout,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6, 2016년, pp.189 - 206  

백영숙 (광주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동례 (전라남도육아종합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on the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burnout,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5 teachers working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지만 현재 보육교사의 소진과 과학교수효능감이 과학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핀 국내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소진 및 과학교수불안과 과학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후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매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과학교수활동 실제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사교육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이상과 같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보육교사의 소진과 과학교수불안이 과학교수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할 때, 만일 과학교과교육학지식(조형숙, 양수영, 2014)이라는 변인을 거치게 된다면 소진(강병재, 백영숙, 2013)과 과학교수불안(김다영 등, 2012)을 감소시키는 역할을할 것이라고 예측하여 매개 변인으로 과학교교육학지식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소진과 과학교수불안, 과학교수효능감, 과학교교육학지식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교사의 소진과 과학교수불안이 과학교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매개변인인 과학교과교육 학지식에 의하여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렇지만 현재 보육교사의 소진과 과학교수효능감이 과학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핀 국내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 보육교사의 소진이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과학교과교육학지식에 의하여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보육 교사의 소진과 과학교수효능감, 그리고 과학교과교육학지식 간의 상관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진 및 과학교수불안과 과학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집한 자료를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진 및 과학교수불안과 과학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설정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진 및 과학교수불안과 과학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에 의하여 어떻게 매개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의 실제 활성화를 위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은 구체적으로 무엇이 있는가? 또한 조형숙과 양수영(2014) 역시 과학교육의 실제 활성화를 위하여 과학교과교육학지식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흥미 있는 도입, 계획한 수업의 융통적인 운영, 유아들과 함께 과학정보 수집하기, 그룹 구성을 통한 상호작용 방법의 습득이 필요하다고 한다(조형숙, 유은영, 2011). 즉, 교사들이 과학교수활동을 하고자 할 때 상태 불안과 특성불안을 가지고 있지만, 과학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불어 넣어 줄 수 있는 재미있는 도입, 계획안 작성법 및 운영 방법, 상호작용 방법, 교사전문성 등의 변인을 거치게 된다면 과학교수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게 된다.
영유아기 과학교육은 어떤 목적을 갖는가? 영유아기 과학교육은 과학적 지식이나 개념의 획득보다는 과학적 태도 함양에 두고 있다(김헤라, 2013; 조형숙, 김선월, 김지혜, 김민정, 김남연, 2014). 영유아들의 과학적 태도와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과학교수의 질이 매우 중요하다(김민정, 김지현, 2015).
과학교수효능감은 무엇인가? 과학교수효능감은 개인이 자신의 삶의 경험과 실제 행동의 결과가 일반화된 기대감을 발달시켜 나가며 자신만의 방법으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밝힌 Bandura(1997)의 개인효능감에 근거를 두고 교사에게 적용한 이론이다(Enochs & Riggs, 1990). Enochs와 Riggs(1990)는 과학교수 효능감이란 교사가 과학교수행동을 할 때 자신의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믿는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과 과학을 효과적으로 잘 가르칠 수 있다고 믿는 개인적인 자신감이라고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강병재, 백영숙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145-168. 

  2. 강문숙 (2014).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상태 불안 및 특성 불안 연구. 사고개발, 10(1), 127-144. 

  3. 곽향림 (2002). 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유아의 개념 변화를 위한 과학교수방법. 유아교육학논집, 6(2), 87-109. 

  4. 김다영, 황은희, 이경옥 (2012).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 태도에 있어서 과학교수 불안의 매개효과 연구. 유아교육연구, 32(6), 287-305. 

  5. 김동례, 백영숙 (2015).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및 과학교수효능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 미치는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337-399. 

  6. 김민정, 김지현 (2015).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97-114. 

  7. 김영옥, 이규림, 조흥자, 차금안 (2012).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수준에 따른 과학활동 불안, 태도 및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99-115. 

  8. 김은설, 유혜미, 엄지원 (2012). 5세 누리과정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연구보고 2012-29).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9. 김정란 (2013). 혼합연령 5세 누리과정 운영실태: 경기지역 혼합연령 학급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헤라 (2013).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교육지식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81-296. 

  11. 김현진 (2007).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희태, 백영숙 (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13. 권나연, 이희영 (2012). 유치원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효능감의 역할.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199-218. 

  14. 남기원 (2013). 유치원 만 3세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과학교육 현황 및 어려움에 대한 교사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7(2), 349-378. 

  15. 박선미 (2013).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관계, 소진감 간의 관계. 아동교육, 22(1), 21-32. 

  16. 배미양 (2000).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불안, 태도, 교수 효능감: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손수연, 이기숙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열린유아교육연구, 33(4), 119-144. 

  18. 손원경, 이미애 (2015).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몰입 및 소진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4(4), 598-608. 

  19. 신은수, 김현진 (2010).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육아지원연구, 5(2), 5-24. 

  20. 안선희, 김지은 (2007).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47-164. 

  21. 안영혜, 정선영, 홍순옥 (2012).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별 하위내용에 대한 인식과 실행간의 차이. 아동교육, 21(2), 161-180. 

  22. 양연숙 (2006). 장애전담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7, 175-195. 

  23. 이나영, 국지윤, 김영옥 (2014).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9, 341-359. 

  24. 이미화, 최윤경, 이정원, 도남희, 권미경, 박진아 등 (2015).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 어린이집 조사 보고(연구보고 11-1352000-000962-12).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5. 이병임 (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9-152. 

  26. 이재천 (1992).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불안도 측정도구 개발 및 과학 불안 경향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정욱, 박진이 (2013). 어린이집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 실태: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6), 339-365. 

  28. 이향미 (2002). 공립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 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민아, 이정화, 송소원, 장석진 (2010). 교사의 발달 단계에 따른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 심리적 소진의 차이. 교원연구, 26(1), 93-111. 

  30. 조부경, 서소영 (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행동. 유아교육연구, 21(4), 5-28. 

  31. 조부경, 고영미 (2004).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불안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 외적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67-376. 

  32. 조형숙, 김선월, 김지혜, 김민정, 김남연 (2014).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33. 조형숙, 노승희 (2016). 만 3-5세 담당 연령별 유아교사의 과학교육 실태 및 개선을 위한 요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2), 181-205. 

  34. 조형숙, 양수영 (2014).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과 인지조절능력, 과학교수효능감, 과학불안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221-242. 

  35. 조형숙, 유은영 (2011). 과학교수효능감이 높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과학수업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1(2), 333-359. 

  36. 지성애, 김치곤 (2011).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5(4), 45-75. 

  37. 최선영, 노석구 (2008). 초등과학 수업 컨설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27(1), 23-30. 

  38. 최승숙 (2011). 교사 소진과 효능감이 교사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Bandura, A. (1997). Self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28-32. 

  40. Bhattacharyya, S., Volk, T., & Lumpe, A. (2009). The influence of an extensive inquiry-based field experience on pre-service elementary student teachers' science teaching belief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3), 199-218. 

  41. Betoret, F. D. (2006). Stressors, self-efficacy, coping resources, and burnout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pain. Education Psychology, 26(4), 519-539. 

  42. Bursal, M. (2012). Changes in Americ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fficacy beliefs and anxieties during a science methods course.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3(1), 40-55. 

  43. Cantrell, P., Young, S., & Moore, A. (2003). Factors affect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4(3), 177-192. 

  44. Downing, J. E., & Filer, J. D. (1999). Science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1(2), 57-64. 

  45.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694-706. 

  46. Friedman, I. A. (2000). Burnout in teachers: Shattered dreams of impeccable professional performance. JCLP/In Session: Psychotherapy in Practice, 56(5), 595-606. 

  47.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48. Gunning, A. M., & Mensah, F. M. (2011).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ment of self-efficacy and confidence to teach science: A case stud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2(2), 171-185. 

  49. Marshall, J. C., Horton, R., Igo, B. L., & Switzer, D. M. (2009). K-12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about and use of inquiry in th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7(3), 575-596. 

  50. Maslach, C., & Jackson, S. E. (1986).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1. Palmer, D. H. (2001). Factors contributing to attitude exchange among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86(1), 122-138. 

  52. Palmer, D. H. (2006). Sources of self-efficacy in a science methods course for primary teacher education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4), 337-353. 

  53. Plourde, L. A. (2002). The influence of student teaching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beliefs. Journal of Instructional Psychology, 29(4), 245-253. 

  54. Smolleck, L. D., Zembal-Saul, C., & Yoder, E. P. (2006).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in regard to the teaching of science as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7(2), 137-163. 

  55. Riggs, I. M. (1991, April). Gender differences in elementary science teacher self-efficac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IL. 

  56. Spielberger, C. D.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57. Weisberg, J., & Sagie, A. (1999). Teacher'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burnout: Impact on intention to quit. The Journal of Psychology, 133(3), 333-340. 

  58. Westerback, M. E. (1982). Studies on attitude toward teaching science and anxiety about teaching science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7), 603-616. 

  59. Westerback, M. E. (1984). Studies on anxiety about teaching science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9), 937-950. 

  60. Westerback, M. E., & Long, M. J. (1990). Science knowledge and the reduction of anxiety about teaching earth science in exemplary teachers as measured by the science teaching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5), 361-374. 

  61. Wilson, S. M. (2013).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cience teachers. Science, 340, 310-3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