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립러닝에 대한 메타 연구: 성공적 적용요건과 향후 연구방향
A meta-analysis on flipped learning: Conditions for successful appli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1, 2016년, pp.169 - 178  

박에스더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  박지현 (서울대학교 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성과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플립러닝에 관한 고등교육분야에서의 연구를 분석하여 관련 연구의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오늘날 대학들은 고등교육의 핵심가치라고 여겨지는 능력들을 함양시키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고,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교육과정 개선과 교수법 개선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중 교수법 관련 대안으로 최근 플립러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비교적 플립러닝에 대한 연구의 역사는 짧지만, 연구물이 축적된 현 시점에서 기존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추후 이 주제에 대한 연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일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플립러닝에 대한 20편의 연구를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개념적 틀을 활용하여 엄밀하게 분석하였고, 각 준거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플립러닝이 성공적으로 교육현장에 정착되기 위한 조건과 향후 플립러닝에 관련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igorously review extant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that has been given a rising interests as a measure of secur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part from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criticized for failing in equipping thei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플립러닝에 대한 한국에서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교수법 영역에서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고, 플립러닝을 적용했을 때 어떤 장점과 한계점이 있으며, 플립러닝이 성공적으로 교수학습 현장에서 적용되기 위해서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지에 대한 메타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플립러닝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현 연구 실태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플립 러닝에 대한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리뷰 가능한 결과물의 양을 얻기 위해 ‘flipped learning’을 주 검색어로 하고 2010년 이후에 “대학”교육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등재지 이상의 저널로 조건을 제한시켰을 때 검색된 논문은 총 20편이었으며, 이 논문들이 최종 표본으로 채택되어 본 연구에서 분석되었다. 메타연구의 원칙에 따라서 본 연구는 논문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논문들 간 아직 연구되지 않은 연구주제가 무엇인지 분석하였으며, 따라서 향후 플립러닝에 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제고를 통합 분석해 보았다. 본 메타분석 연구에 포함된 논문들을 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플립러닝에 대한 연구들을 리뷰한 연구, 즉, 플립러닝의 메타연구를 시도한 연구들은 기본적으로 개념구조, 전공영역,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제한점을 논하고 있다 (Bishop과 Verleger, 2013; Roehl 등, 2013). 본 연구는 이후의 논의를 전개하기 위한 선행연구 분석을 위한 개념적인 틀로, 플립러닝의 개념구조, 연구가 이뤄진 전공영역, 분석에 적용된 연구방법, 플립러닝의 효과, 및 제한점을 논한다.
  • 본 연구는 초·중등 교육과 고등교육 현장에서 교육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법으로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플립러닝에 관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 플립러닝을 주제로 한 연구들에 대한 분석, 즉 메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서 문헌 검토를 통해서 개념구조, 전공영역,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제한점의 5개 준거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절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플립러닝이 성공적으로 교육현장에 적용되기 위한 조건을 중심으로 논의를 천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립러닝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어떠한 한계가 있는가? 첫째, 플립러닝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사용된 개념들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측정도구의 신뢰성 문제가 검증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예를 들면 많은 연구들이 플립러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종속변수로 동기화, 학업성취도, 및 수업만족도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변수들에 대한 개념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측정을 위해 사용된 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결과 또한 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측정도구들 간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어 정책적 의사설정을 위한 유의미한 근거자료로 연구결과를 활용하는 데 있어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둘째, 종속변인에 대해 일관성이 결여된 조작적 정의나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문제에 더해, 플립러닝이 소수의 일부 전공영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는 점은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없게 만든다.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20개의 논문 중에서 샘플 수가 너무 작아서 일반화가 어려운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Choi와 Kim, 2015; Han 등, 2015; Mason 등, 2013; Young 등, 2014), 전체의 약 30%가 교육학 또는 교육공학 영역에 치중되어 있었다. 이는 아직 플립러닝 적용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 되지 않은 순수 과학, 응용 학문 및 의학 분야에서도 플립러닝 교수법의 적용이 학습자들의 교육성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교수법인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방증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적용된 연구방법은 엄밀성이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들 중 실험연구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는 논문들도 진정한 의미의 실험상황, 즉, 두 집단을 전통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집단과 플립러닝을 적용한 집단으로 나누어 학습성과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한 연구는 드물다. 대부분의 연구는 기술분석 수준에서 진행되거나 (descriptive study), 동일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pre and post test)를 실시하여 종속변수의 변화를 측정하는 수준에서 플립러닝의 효과 검증이 이루어졌다. 일견, 플립러닝을 적용 받는 집단의 경우 전통 교실에 속할 집단의 학생들보다 교수자가 훨씬 더 많은 시간을 들여 수업을 준비해야한다는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다.
플립러닝 학습이란? 이는 교실 수업에서 행해지는 활동과 교실 밖에서의 활동을 역전시킨다는 개념이다. 즉, 플립러닝 학습은 전통적으로 교실수업 속에서 행했던 강의를 교실 밖에서 미디어 매체를 통하여 미리 듣고, 이전에 교실 밖에서 주로 하던 복습 위주의 학습과 과제를 교실 안에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Kim 등, 2014).
플립러닝의 효과로 가장 강조되는 것은? 플립러닝의 효과로 가장 강조되는 것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self-oriented learning ability)의 제고이다. Go 등(2014)의 연구는 플립러닝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된다는 점을 밝혔고, 학습의 주도권을 교수에게서 학생으로 옮겨줄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 D. (2015). Case study about flipped learning at an university. Research of our Language, 41, 179-202. 

  2. Bergman, J. and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Kindle Edition]. Retrieved from Googlescholar.com. 

  3. Bishop, J. L. and Verleger, M. A. (2013). The flipped classroom: A survey of the research. In ASEE 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Atlanta, GA. 

  4. Choi, J. and Kim, E. (2015). Developing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flipped learning for institute of technology and a case of operation of a subject.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8, 77-88. 

  5. Della Ratta, C. B. (2015). Flipping the classroom with team-bas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or, 40, 71-74. 

  6. Frenk, J., Chen, L., Bhutta, Z. A., Crisp, N., Evans, T. and Fineberg, H. (2010). Health professionals for a new century: Transforming education to strengthen health systems in an interdependent world. Lancet, 376, 1923-1958. 

  7. Go, J., Known, K., Kim, Y. and Won, Y. (2014). Development of a futuristic class model for moral leadership training. Confucianism Culture Research, 58, 177-204. 

  8. Han, D. and Kang, M. (2012). Study on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speci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927-937. 

  9. Han, H., Im, C., Han, S. and Park, J. (2015). Study on designing strategies about on and offline for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1, 1-38. 

  10. Jensen, J. L., Kummer, T. A. and Godoy, P. D. (2015). Improvements from a flipped classroom may simply be the fruits of active learning. Life Sciences Education, 14, 1-12. 

  11. Jung, D. (2015). A proposal of class design model of the Spanish language class in the college. The Korean Journal of Hispanic Studies, 8, 127-160. 

  12. Kim, E. and Lee, Y. (2015). A study on international cases for application of flipped classroom in universities. Lifelong Learning Society, 11, 115-137. 

  13. Kim, J. (2014). A study on curriculum of university writing class 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el for feedback by flipped learning.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72, 557-586. 

  14. Kim, N., Chun, B. and Choi, J. (2014).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t college: Focused on effects of motiva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 467-492. 

  15. Kim, Y. (2015).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on affective experience, language achievement, language teaching method measured from students who took general English. Foreign Language Education, 21, 227-254. 

  16. Lee, S. (2015).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Language and Culture, 11, 221-262. 

  17. Lee, Y. (2015). Research of the 'flipped learning model' aiming at teaching college advanced Mandarin conversation lesson by flexibly using internet E-book. Sinology, 51, 223-239. 

  18. Mclaughlin, J. E., Roth, M. T., Glatt, D. M., Gharkholonarehe, N., Davidson, C. A., Latoya, M. E., Griffin, M., Esserman, D. and Mumper, R. J. (2014). The flipped classroom: A course redesign to foster learning and engagement in a health professions school. Academic Medicine, 9, 236-243. 

  19. Mason, G., Shuman, T. R. and Cook, K. E. (2013). Inverting classrooms-advantages and challenges. American Socitey for Engineering for Educataion, In the 120th ASEE national conference and exposition, Frankely, MN. 

  20. Park, S. (2014). A curriculum ideological analysis on Salman Khan's innovative ideas to reinvent school.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2, 1-20. 

  21. Pierce, R., Fox, J. and Dunn, B. J., (2012). Vodcasts and active-learning exercises in a "flipped lcassroom" model of a renal pharmacotherapy dodule.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6, 1-5. 

  22. Roehl, A., Reddy, S. L. and Shannon, G. J. (2013). The flipped classroom: An opportunity to engage millennial students through active learning strategies. Journal of Family & Consumer Sciences, 105, 44-49. 

  23. Seo, D., and Rhee, E. (2015). The flipped classroom based on smart learning-focusing on practical education for music. Music Education Technology, 23, 99-119. 

  24. Van Vliet, E. A., Winnips, J. C. and Brouwer, N. (2015). Flipped-class pedagogy enhances student metacognition and collaborative-learning strategies in higher education but effect does not persist. Life Sciences Education, 14, 1-10. 

  25. You, H., Im, H., Seo, Y., Go, J., Shin, H. and Park, S. (2011).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in Korean universities (Research report RR 2011-13),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Seoul. 

  26. Young, T. P., Bailey, C. J., Guptill, M. and Thorp. T. (2014). The flipped classroom: A modality for mixed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learning in a residency program. Wester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5, 938-94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