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플립러닝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ipped Learn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3 no.4, 2017년, pp.159 - 163  

김윤정 ,  조의영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  전은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을 간호학과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수업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플립러닝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로써, 각 개인의 경험에 의미를 두어 본질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그 진술을 분석하고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플립러닝 수업 경험의 의미를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7개의 주제와 3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학 전공교과목에서 플립러닝 교수법을 확산하기 위한 질적 및 양적 연구를 확대해야 함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flip learning to nursing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ir teaching experience. That is, we analyze the meaning of experience by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Colaizzi, which is aimed to grasp the essence of each individual experience by study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대상자와 인터뷰한 녹음내용을 필사하여 여러 번 반복적으로 읽음으로써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을 간호학과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수업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간호학과 전공수업을 플립러닝수업으로 배워,간호학과 학생들의 전공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어떤 의미 있는 경험을 하게 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전공교과목에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 및 학생들의 만족도를 포함한 간호학생들의 플럽러닝 수업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에게 간호학과 전공교과목인 해부학 수업을 적용한 플립러닝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로써, 각 개인의 경험에 의미를 두어 본질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는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그 진술을 분석하고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을 간호학과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수업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간호학과 전공수업을 플립러닝수업으로 배워,간호학과 학생들의 전공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어떤 의미 있는 경험을 하게 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자가 대상 학생들에게 직접 연구에 대한 목적을 충분히 설명 후 일지 작성 및 구조화된 설문지에 대한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하지 않아도 불이익이 없으며 설문에 응하지 않을 권리가 있음을 알려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자 중심 수업이란 무엇인가? 학습자 중심 수업이란 학습자가 동료학습자 또는 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다양한 학습 활동에 참여하면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4]. 그러므로 기존의 지식 전달이 주를 이루던 교수자 중심의 수업과는 다르게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 학습자는 스스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하게 된다.
이전과 다른 현대 우리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현대 사회에서 교육은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나 암기가 아닌 통합적 사고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응용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거에는 지식 자체가 자원이었기 때문에 주입식과 암기식 교육으로도 많은 양의 지식을 짧은 시간에 습득하는 효율적인 인재를 키우는 것이 인재상이었지만, 현대 사회는 시대가 필요하고 자신이 원하는 지식을 선택하고 조정하며 새롭게 구성하고 있는 ‘지식생산자’로서의 창의적 인재를 키우는 것이 현대 우리 교육의 목표가 되었다[1].
플립러닝 수업을 통해 어떻게 학업성취도가 향상될 수 있는가? 플립러닝 수업은 학생들이 미리 강의를 듣고 수업에 참여하므로 다양한 학습자 중심의 활동으로 구성하게 되고, 따라서 학생들의 참여도가 증가하며 성취감과 자신감, 도전감이 증가되어 자기주도학습의 증진과 연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생들은 학습한 지식을 실제 사례에 적용하게 되므로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증가할 것이며, 이러한 결과는 이후 자연스럽게 학업성취도의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Shin, JS, Case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Backward' Teaching Method Using Discussion Video, Lecture on Liberal Education, 8 (3), 133-163, 2014. 

  2. Kang IA, Problem - based learning: Another type of constructivist teaching-learning model is the pedagogy of the constructivist, Seoul: Educational Science, 1998. 

  3. Han, IT,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Moral Education and ICT Teaching - Learning on Self - directed Learning Level and Achievement in Post - graduate Education,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3. 

  4. Kwon SY, Shin SY and Kim JS,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2011. 

  5. Kim, JJ, Ahn, YH, Kim, MW,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standards for four-year nursing education evaluation reflecting nursing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Nursing Society, 36 (6), 1002-1011, 2006. 

  6. Kim HW, Seo EY, Integrated experience simulation experience using nursing student 's high - performance patient model, 30 (1), 89-99, 2012. 

  7. Yoo, JH, Factoro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clinical competency in simulation-based education-based on jeffries's simulation model-, Graduate School of Nursing, Sungshin University, 2015. 

  8. Kang MH and Yoon SH,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in flip learning: Focused attention Focused on Model (CBAM). Teacher Education Research, 55 (4), 427-440, 2016. 

  9. Kim NI, Jeon BoA and Choi JI. Design and Effectiveness of Inverse Learning Case in College Focused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 - efficacy. Educational Engineering Research, 30 (3), 467-492, 2014. 

  10. Kim JA,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basic nursing scienc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logy, 2(2), 9-15,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