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 기반 실습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lipped Learning Using Media Convergence in Practice Education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6, 2020년, pp.49 - 58  

김옥선 (케이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에 미디어 융합을 활용한 플립러닝을 적용한 후 학업적 자기효능감자기주도 학습 능력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비동등대조군 전후설계 연구로 실험군 22명, 대조군 2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10주 동안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하였다. 2019년 8월 27일부터 12월 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플립러닝 수업 전과 후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차이는 실험군 1.00점, 대조군 0.81점으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11, p=.917). 그러나 자기주도학습 능력 차이는 실험군 11.32점, 대조군 0.23점이었다(t=2.32, p=.027). 본 연구결과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은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을 다양한 간호학 교과목에 확대 적용 연구가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fter applying flipped learning using media convergence to the basic nursing practice courses. It is offering flipped learning to 22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students from...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과목 오리엔테이션 시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교과목의 학습목표를 안내하였고,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사전, 수업, 사후 활동을 소개하였다. 사전 활동으로 구글 클래스룸에 탑재된 동영상 사전학습과 퀴즈에 참여하고, 이후 수업활동으로 교실에서의 수업에 참여하며, 사후 활동으로 오픈랩을 통한 술기 연습, 실습지침서를 활용한 과제와 자기성찰일지 작성이 포함됨을 설명하였다.
  • 본 연구는 교내 실습인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하고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플립러닝 적용 전과 후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능력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통적인 교수법과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을 적용한 학생들간에 학업적 자기효능감 차이는 없었으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을 적용한 학생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 본 연구는 동영상과 구글 클래스룸 기반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 기반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이 간호대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한 비동등대조군 전후 설계 연구이다.
  • 또한 사전학습으로 제공된 온라인 동영상은 학생들이 어느 장소에서나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구글 클래스룸에 탑재하였고 시험시까지 학생이 원할 때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학기가 종료할 때까지 공개하여 미디어를 통해 학생의 지속적인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글 클래스룸과 동영상을 활용한 플립러닝 교수법을 기본간호학실습에 적용할 경우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이를 확대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다양한 간호학 교과목의 교수법으로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 적용 효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학습자의 학습 역량을 높여 수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교수법을 간호학 분야에서도 일부 적용하고 있으며, 이 중 플립러닝은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다[28-30]. 본 연구에서는 사전학습으로 구글 클래스룸에 탑재된 동영상을 교수자가 제작하여 제공하였고, 퀴즈를 통해 학습한 내용 이해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전학습으로 제공된 온라인 동영상은 학생들이 어느 장소에서나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구글 클래스룸에 탑재하였고 시험시까지 학생이 원할 때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학기가 종료할 때까지 공개하여 미디어를 통해 학생의 지속적인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에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하여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 교수법이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들에게 안내된 내용으로는 연구목적과 방법 이외에도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유롭게 설문조사 참여 가능하며, 중도에 중단할 수 있고, 응답한 내용은 익명성을 보장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설문조사 참여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반대표가 자료를 수거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실습에서 교수자의 직접 지도 시간 부족을 보완하기 위하여, 미디어 융합 형태인 구글 클래스룸과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에게 자기주도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자기주도학습 능력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 교수법 적용 사례를 개발하고, 이을 적용한 후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에서의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이 자기주도학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립러닝 교수법이란 무엇인가? 이 교수법은 ‘거꾸로 학습’이란 의미로서, 교실에서 학습을 한 후 교실 밖에서 복습하는 식의 전통적인 학습 방법을 반대로 적용한다. 교실에서 이루어졌던 학습 내용을 수업 전 교실 밖에서 미디어 매체를 통해 선행학습을 한 후 수업시간에는 교실에서 토론이나 실습 등의 심화 학습이나 문제해결 활동을 하는 식의 수업이 진행되는 방식이다[3,4]. 이러한 플립러닝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법의 하나이다.
플립러닝이 가지는 전통적인 강의식 방법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플립러닝은 전통적인 강의식 방법보다 학생의 수업 동기를 높이고,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학습성과를 향상시킨다[5-7]. 또한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며, 능동적인 학습태도와 관련 있는 자기효능감과도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11].
플립러닝 수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교수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인터넷을 통해 신문을 읽는 것과 같이 새로운 미디어 채널 위에 이전의 미디어 형식들이 융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미디어 융합이라고 하며[17], 이런 미디어 융합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필요한 시스템 구축 뿐 아니라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한 교수자의 준비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이용 가능한 다양한 유튜브나 동영상 교육자료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교수자에게 유튜브 활용, 동영상 콘텐츠 개발, 이러닝이나 스마트러닝보드 같은 웹 플랫폼에 탑재하는 등의 미디어 융합을 활용한 플립러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이 필요하다[18]. 또한 선행학습을 위한 자료 개발이 강의식 수업보다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미디어 융합을 활용한 플립러닝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열정과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 A. van Vliet, J. C. Winnips & N. Brouwer. (2015). Flipped-class pedagogy enhances student metacognition and collaborative-learning strategies in higher education but effect does not persist. CBE Life Sciences Education, 14(3), 1-10. DOI : 10.1187/cbe.14-09-0141 

  2. J. Frenk, L. Chen, Z. A. Bhutta, N. Crisp, T. Evans & H. Fineberg. (2010). Health professionals for a new century: transforming education to strengthen health systems in an interdependent world. Lancet, 376(9756), 1923-1958. DOI : 10.1016/S0140-6736(10)61854-5 

  3. B. Cho & J. Lee. (2018). A meta analysis on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59-73. DOI : 10.14400/JDC.2018.16.3.059 

  4. N. Kim, B. A. Chun & J-I. Choi. (2014).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t college: Focused on effects of motiva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3), 467-492. DOI : 10.17232/KSET.30.3.467 

  5. H. S. Lee, S. H. Kang & C. S. Kim.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2), 47-57. 

  6. M. Kathy, F. Rebecca, L. Summers, S. Lynn & G. Kevin. (2013). Flipping the classroom to improve student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2(10), 597-599. DOI: 10.3928/01484834-20130919-03 

  7. J. Y. Lee, S. H. Park, H-J. Kang & S-Y. Park.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environment of flipped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9), 313-323.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9.313 

  8. H. K. Jung & S-H. Lee. (2017)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method on a college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39(3), 171-177. 

  9. M. K. Cho & M. Y. Kim. (2016). Effect of flipped learning education in physical examination and practicu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81-90. DOI : 10.5762/KAIS.2016.17.12.81 

  10. K. C. Hong. (2016).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12(4), 41-61. 

  11. Y. S. Lee & Y. Eun. (2016).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22(4), 567-576. DOI : 10.5977/jkasne.2016.22.4.567 

  12. E. O. Park & J. H. Park. (2016). A meta-analysis on flipped learning: conditions for successful appli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1), 169-178. DOI : 10.7465/jkdi.2016.27.1.169 

  13. H. J. Kim & D. Park. (2019). Eff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by Jigsaw model and flipp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3). 36-43. DOI : 10.22156/CS4SMB.2019.9.3.036 

  14. M. S. Choi. (2019). A case study on flipped learning convergence in dental hygiene major: focusing on learning aware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2). 253-263. DOI : 10.22156/CS4SMB.2019.12.252 

  15. Y. S. Choi & J. Y. Kim. (2018).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Based on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9). 1163-1182. DOI : 10.22251/jlcci.2018.18.19.1163 

  16. H. Kim & Y-H. Kim. (2017). An action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4), 265-276. DOI : 10.7739/jkafn.2017.24.4.265 

  17. M. K. Sung. (5. May 2010). Media convergence and market competition.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Online). http://www.kocca.kr/cop/bbs/view/B0000153/1253741.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911&categorys0&subcate0&cateCode&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categoryCOM062&categoryCOM063&categoryCOM208&categoryInst&morePage&pageIndex1 

  18. D. Han & M. Kang. (2012). Study on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speci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5), 927-937. DOI : 10.7465/jkdi.2012.23.5.927 

  19. K. H. Kim et al. (2011). Content and educational needs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4), 506-519. 

  20. K. K. Kwon. (2017). An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learning engage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Master dissertation.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21. T. K. Geon. (2009). The effects of an e-learn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Soongsuil University, Seoul. 

  22. I. S. Jung. (2018). A study on related factors of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self-leadership and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5). 51-58. DOI : 10.22156/CS4SMB.2018.8.5.051 

  23. H. K. Cho & I. S. Jung. (2018).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freshme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25-32. DOI : 10.22156/CS4SMB.2018.8.3.025 

  24. J. A. Cha (2017).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knowledge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25. J. H. Kong, E. J. Choi & O. H. Kim. (2018).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2(2), 45-53. 

  26. Y. S. Lee & Y. Eun. (2016).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4), 587-578. 

  27. N. Y. Lee & J. Y. Han. (2018). The effect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presence on transfer of learning in TBL (team-based learning) using flipped.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4), 951-960. DOI: 10.7465/jkdi.2018.29.4.951 

  28. S. J. Son. (2017).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4), 473-486. DOI: 10.22251/jlcci.2017.17.14.473 

  29. N. H. Kang. (2017). A case study of EPS nursing course based on flipped learning. Culture and Convergence, 39(5), 323-366. 

  30. S. Lee & K. H. Pyo. (2018).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 English flipped classroom.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5(3), 127-159. DOI : 10.15334/FLE.2018.25.3.12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