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교과목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경험: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Flipped Learning Experience in Major Subjects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P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12 no.1, 2020년, pp.11 - 21  

유하나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윤연서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김옥분 (인하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전공수업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간호학과 4학년 8명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자료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총 35개 주제어와 11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11개의 중심의미는 교육 전, 교실 안, 교육 후로 분류 하였다. 교육 전 단계는 '정보부족', '심리적 부담감', '교수법 차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학습자의 성취도 차이'가 중심의미로 도출되었다. 교실 안은 '효율적 수업방향', '자신감 향상'이, 교육 후 단계는 '수업에 긍정적 영향', '자기부담 강화', '선호하지 않음', '강의식 선호'로 각각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볼 때 간호학 전공에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좀 더 다각적이며 심층적인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hat aim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method. The participants are 8 senior nursing students. The data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by Colaizzi's method. As a result of t...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질문을 통해 간호학과 대학생이 경험한 플립러닝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의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받은 간호학생들의 체험을 현상학점 관점을 통해 총체적으로 이해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플립러닝 교육 방법의 학습자적 관점에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는 효과적 플립러닝 교수법 적용을 위한 자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 본 연구 설계는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교수법에 참여한 간호학생들의 플립러닝 경험에 관한 연구로서, 각 개인의 경험에 의미를 두어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Colaizzi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교수법의 참여에 관한 진술을 분석하고,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질적 연구이다.
  • 4단계에서는 구성된 의미를 주제(themes)와 주제군(theme clusters)으로 조직한다. 이 과정에서 진술된 주제군이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자료를 잘 설명하고 있는지 연구자 스스로 주제군의 타당성을 고려해 본다. 5단계에서는 분석된 자료를 주제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기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 Wee, H. Jung, and H. Lee,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pplication of public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4th industry occupation,"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10, no. 2, pp. 103-111, December 2018. 

  2. J. Bergmann and A. Sams, "Flipped learning: Maximizing face time," Training Development, vol. 68, no. 2, pp. 28-31, 2014. 

  3. M. J. Lage, G. J. Platt, and M. Treglia, "Inverting the classroom: A gateway to creating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vol. 31, no. 1, pp. 30-43, March 2000. 

  4. H. Kim and Y. H. Kim, "An action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Journal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4, no. 4, pp. 265-276, November 2017. 

  5. Y. S. Choi and J. Y. Kim,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Based on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8, no. 19, pp. 1163-1182, 2018. 

  6. H. S. You and N. Y. Kim,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information liter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7, no. 21, pp. 491-510, 2017. 

  7. J. O'Flaherty, and C. Phillips, "The use of flipped classrooms in higher education: A scoping review,"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 25, pp. 85-95, April 2015. 

  8. M. Lee, S. J. Chang, and S. J. Jang, "Effects of the flipped classroom approach on the psychiatric nursing practicum course," Journal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6, no. 2, pp. 196-203, 2017. 

  9. K. C. Hong, "A critical analysis on implementing the flipped classroom," The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8, no. 1, pp. 125-149, 2016. 

  10. H. J. Han, C. I. Lim, S. L. Han, and J. W. Park,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modes of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1, no. 1, pp. 1-38, 2015. 

  11. J. Leem,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2, no. 1, pp. 165-199, 2016. 

  12. C. Olier,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nursing research," Nursing Research, vol. 31, no. 3, pp. 178-181, 1982. 

  13. M. van Manen, Resea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London, ON: Althouse, 1999. 

  14.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pp. 48-71).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15. B. Kim, K. Kim, I. Park, K. Lee, J. Kim, J. Hong, M. Lee, Y. Kim, I. Yoo, and H. Le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Focused on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9, no. 6, pp. 1208-1220, December 1999. 

  16. H. J. Gu,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8, no. 5, pp. 2829-2841, October 2016. 

  17. Y. R. Kweon and B. S. Choi, "Effects of a psychiatric nursing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transfer motivation and learning self-efficien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22, no. 1, pp. 447-460, 2020. 

  18. O. S. Lee and Y. G. Noh,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7, no. 3, pp. 253-260, March 2019. 

  19. C. B. Della Ratta, "Flipping the classroom with team-bas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vol. 40, no. 2, pp. 71-74, April 2015. 

  20. R. Pierce and J. Fox, "Vodcasts and active-learning exercises in a flipped classroom model of a renal pharmacotherapy module,"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al, vol. 76, no. 10, pp. 1-5, 2012. 

  21. S. J. Han and H. Jeong, "Study on the effect and experience of the flipped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6, no. 1, pp. 101-108, 2016. 

  22. Y. J. Kim, E. Y. Cho, and E. Jeon, "A study on flipped learn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3, no. 4, pp. 159-163, November 2017. 

  23. M. Q. Patton,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Thousand Oak, CA: Sage, 2002. 

  24. J. Young, R. McGrath, and S. Filiault, "Review: Linda Dale Bloomberg & Marie F. Volpe (2008). Completing Your Qualitative Dissertation: A Roadmap From Beginning to End," Forum Qualitative Sozialforschung /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vol. 10, no. 3, September, 2009. http://nbn-resolving.de/urn:nbn:de:0114-fqs0903163. 

  25. Y. Hao, "Exploring undergraduates' perspectives and flipped learning readiness in their flipped Classroom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59, pp. 82-92, June 2016. 

  26. J. Khanova, M. T. Roth, J. E. Rodgers, and J. E. McLaughlin, "Student experiences across multiple flipped courses in a single curriculum," Medical Education, vol. 49, no. 10, pp. 1038-1048, October 2015. 

  27. Y. Lee, "Learners' experiences of learner-centeredness in college flipped classrooms," Journal of Education& Culture, vol. 24, no. 5, pp. 329-354, 2018. 

  28. J. Elen, G. Clarebout, R. Leonard, and J. Lowyuck, "Student-centered and teach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What students think,"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vol. 12, no. 1, pp. 105-117, January 2007. 

  29. S. H. Cheong and M. J. Kwak, "The solutions for flipped-learning difficul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engineering and science major learn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8, no. 10, pp. 519-541, 20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