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기반 공중보건정책 강화방안
Strategy for Strengthening Community-Based Public Health Policy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6 no.4, 2016년, pp.265 - 270  

김동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health system for more prevention-oriented health promotion rather than hospital-based curative service, focusing population rather than individual, and comprehensive health management in the local community strongly needs to be constructed to solve major issues on efficiencies and equity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중보건은 사람들이 살고, 배우고, 일하며 즐기는 지역사회에서 건강을 증진하고 보호하고자 한다. 의료는 아픈 사람을 치료하지만, 공중보건은 무엇보다 건강한 사람이 아프지 않도록, 상해를 당하지 않도록 예방을 위해 노력한다[15].
  •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중심으로 지역의 건강문제를 풀어나갈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 간 건강격차를 해소하여 국민 전체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역사회기반 공중보건정책 수립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우리나라 공중보건 인프라 구축을 위한 몇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를 효율적이고 건강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그런데 이와 같이 효율성과 형평성(equity)에서 큰 문제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그리고 건강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치료보다는 예방으로, 개인보다는 인구집단 중심으로, 그리고 지역사회(community)에 기반한 포괄적 건강관리가 가능한 공중보건체계(public health system)의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체계는 개인을 대상으로 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마저도 지역사회기반 일차의료를 전제하지 않고, (대형)병원 중심의 왜곡된 의료이용체계를 갖고 있다[1].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현상황은 어떠한가? 그런데 이와 같이 효율성과 형평성(equity)에서 큰 문제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그리고 건강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치료보다는 예방으로, 개인보다는 인구집단 중심으로, 그리고 지역사회(community)에 기반한 포괄적 건강관리가 가능한 공중보건체계(public health system)의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체계는 개인을 대상으로 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마저도 지역사회기반 일차의료를 전제하지 않고, (대형)병원 중심의 왜곡된 의료이용체계를 갖고 있다[1]. 반면,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의 건강과 이를 결정하는 광범위한 건강결정요인을 관리하는 공중보건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인적, 물적 인프라는 매우 취약하다 할 수 있다. 1980년부터 2000년 20년간 미국의 심장병 사망 감소의 절반은 임상적 개입이 아니라 지역사회기반 예방보건사업를 통해서 가능했다는 최근의 연구보고[2]에 비추어 볼 때, 거의 전적으로 임상의료에 치중된 우리나라 보건의료자원의 배분이 얼마나 적절하지 않은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효율성에 대한 현실적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구구조의 급속한 고령화와 맞물려 주요 만성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 급증과 이로 인한 의료비 상승은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지속을 위해 조속히 해결해야 할 너무나도 시급한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치료중심 의료자원의 배분과 이로 인한 고비용 구조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healthcare system)의 효율성 (efficiency)에 현실적 의문을 제기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지난 20여 년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양극화 경향은 국민들의 건강수준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YS, Choi YJ. The ecology of medical care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6;31(11):1684-1688. DOI: https://doi.org/10.3346/jkms.2016.31.11.1684. 

  2. Ford ES, Ajani UA, Croft JB, Critchley JA, Labarthe DR, Kottke TE, et al. Explaining the decrease in U.S. deaths from coronary disease, 1980-2000. N Engl J Med 2007;356(23):2388-2398. DOI: https://doi.org/10.1056/nejmsa053935. 

  3. Thurston M. Key themes in public health. New York (NY): Routledge; 2014. 

  4. Curtis S. Health and Inequality: geographical perspectiv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4. 

  5. Macintyre S, Ellaway A, Cummins S. Place effects on health: how can we conceptualise, operationalise and measure them? Soc Sci Med 2002;55(1): 125-139. DOI: https://doi.org/10.1016/s0277-9536(01)00214-3. 

  6. Statistics Korea.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7. Pearce N. Traditional epidemiology, modern epidemiology, and public health. Am J Public Health 1996;86(5):678-683. DOI: https://doi.org/10.2105/ajph.86.5.678. 

  8. Krieger N. Epidemiology and the web of causation: has anyone seen the spider? Soc Sci Med 1994;39(7):887-903. DOI: https://doi.org/10.1016/0277-9536(94)90202-x. 

  9. Doll R, Peto R.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 Natl Cancer Inst 1981;66(6): 1191-1308. 

  10. Frieden TR. A framework for public health action: the health impact pyramid. Am J Public Health 2010;100(4):590-595. DOI: https://doi.org/10.2105/AJPH.2009.185652. 

  11. Rose G, Marmot MG, Khaw KT. Rose's strategy of preventive medicine. update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2. Kindig D, Stoddart G. What is population health? Am J Public Health 2003;93(3):380-383. DOI: https://doi.org/10.2105/ajph.93.3.380. 

  13. Reidpath DD. Population health: more than the sum of the part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5;59(10):877-880. DOI: https://doi.org/10.1136/jech.2005.036046. 

  14. Health Canada. Strategies for population health: investing in the health of Canadians. Ottawa: Federal/Provincial/Territorial Advisory Committee on Population Health; 1994. 

  15.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hat is public health [Internet]. Washington (DC):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cited 2016 Dec 10]. Available from: https://www.apha.org/what-is-public-health. 

  16.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Core competencies for public health in Canada: release 1.0 [Internet]. Ottawa: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2008 [cited 2016 Dec 10]. Available from: http://www.phac-aspc.gc.ca/php-psp/ccph-cesp/pdfs/cc-manual-eng090407.pdf. 

  17. Na BJ, Kim DH. Improving capability of local public hospital and health center against newly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fter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epidemic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5;58(8): 700-705. DOI: https://doi.org/10.5124/jkma.2015.58.8.7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