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통합 돌봄과 간호사 케어 코디네이터
Community Care and Nurse Care Coordinator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3 no.3, 2019년, pp.311 - 325  

한영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of care coordination, and the activities and roles of nurse care coordinators. The study also proposed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nd expanding the role of nurse care coordinators in community health practice. Methods: This study derived its conclusions ...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자의 건강상태 변화에 대해 팀 구성원 및 타 건강및 지역사회 제공자에게 수시 보고한다.
  • 본 연구는 급변하는 보건의료 환경과 보건정책의 변화로 지역사회 통합 돌봄 사업이 시작되면서 간호사 코디네이터가 주목되는 현 시점에 케어 코디네이션의 정의를 확인하고 간호사 코디네이터 활동과 역할을 확인 하여 정리하였다. 고찰결과 케어 코디네이션은 케어 매니지먼트와 전환기 간호가 포함된 포괄적 개념으로, 환자들의 요구와 선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서비스를 시의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돌봄 관련자 간에 인적 및 기타 자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하면서 돌봄 활동을 의도적으로 조직하고 통합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 종설 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2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이며, 검색단어를 케어 코디네이션, 케어 코디네이터, 간호사 케어 코디네이터로 하여 DBpia, RISS, KISS, Google scholar 등 국내외 데이터베이 스와 보건복지부 등 정부 기관의 사이트를 검색하여 보고서, 저널, 기관의 게시물 등과 정부 및 학회발표 자료를 수집하였다.
  • 케어 코디네이터 활동은 케어 코디네이션의 핵심적 구성요소를 확인하여 수행한다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에 문헌을 통해 케어 코디네이션의 핵심 요소들을 확인하였다. AHRQ (2012)는 케어 코디네이션의 핵심 요소로 베이스라인의 포괄적인 요구사정, 정기 적인 요구사정, 개별적인 케어플랜 개발, 정기적인 케어 플랜의 갱신, 의료팀· 가정 및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및지원체제에의 접근 촉진,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의사소 통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중요한 역할로 주목되고 있는 케어 코디네이터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어야 핵심적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케어 코디네 이션의 정의를 고찰하고 둘째, 간호사 코디네이터의 활동과 역할에 대해 정리한 후 지역사회간호현장에서 간호사 코디네이터의 역할정착과 확대를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 ⑩ 인구집단의 건강관리 : 케어 코디네이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개별 환자의 건강을 돌보는한 의료기관의 개별의료인 관리로부터, 환자집단을 규명하여 건강을 관리하는 건강관리팀에 초점을 맞 추는 변화가 필요하다. 즉 환자집단을 확인하여 관련 절차를 최소화하면서 광범위한 개입을 통해 그들의 건강을 가능한 유지할 수 있도록 접근하는 것이 인구집단 건강관리의 목표이다. 앞으로 인구집단, 즉 환자 인구집단을 규명하여 위험을 계층화하고 환자관리에 환자를 직접 참여시키며 인구집단 수준에서 건강 결과를 측정해야 한다.
  • 지역사회 실무에서 간호사 케어 코디네이터의 역할 정착과 확대를 위한 제언은 간호사 케어 코디네이터가 가시화된 현 상황을 검토하면서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 나라는 초 고령화 시대를 앞두고 지역사회 통합 돌봄 사업을 시작하였다.

가설 설정

  • 다분야 일차의료팀 내에서 협동적 관계를 개발하고 유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케어 코디네이션이란? 케어 코디네이션은 미국에서 건강관리의 질(quality) 과 경제성(affordability)을 개선하기 위한 국가적 안건의 하나이다. 2015년 NQS (the National Quality Strategy)는 보건의료 제공자가 서로 조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면 투약오류, 불필요하거나 반복적인 진단검 사와 응급실 방문, 예방 가능한 입원 및 재입원을 줄여서 치료의 질과 건강 결과를 향상하고 비용을 절감한다고 케어 코디네이션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였다(Lam & Newhause, 2018에 인용됨).
케어 코디네이션 및 사례관리 중재는 어떻게 분리되는가? 케어 코디네이션 및 사례관리 중재는 일반적으로 전환기 돌봄(transitional care)과 조정된 돌봄(coordinated care), 두 범주로 분류되는데 공통적인 요소가 있으나 중재가 시작되는 시기와 장소, 직원 배치방법 및 지속 기간에서 차이가 있다(Lam, 2014). 먼저 전환기의 예로는 병원에서 병동 간 전환과 퇴원이 있는데 이때 간호사의 환자 모니터링 활동과 병원 퇴원 후 환자와 가족을 준비시키는 표준화된 퇴원계획 활동이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2). Coordinating care for adults with complex care needs in the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challenges and solutions.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s://pcmh.ahrq.gov/sites/default/files/attachments/Coordinating%20Care%20for%20Adults%20with%20Complex%20Care%20 Needs.pdf 

  2. Central Australian Aboriginal Congress. (2019, November). 2018-2019 Central Australian Aboriginal Congress annual report. Retrieved November 2, 2019, from https://www.caac.org.au/uploads/pdfs/Annual-Report-18-19_web.pdf 

  3. Chin, Y. R., & Kim, H. (2016). The Role of community health nurse in assay written by a nurse practitioner of primary health care post,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300-310. https://doi.org/10.5932/JKPHN.2016.30.2.300 

  4. Department of Health. (2018). A district nursing framework 2018-2016.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s://www.health-ni.gov.uk/publications/district-nursing-framework-2018-2026 

  5. Hass, S., Swan, B. A., & Haynes. T. (2013). Developing ambulatory care registered nurse competencies for care coordination and transition management. Nursing Economics, 31(1), 41-48. https://www.ncbi.nlm.nih.gov/pubmed/23505750 

  6. Im, J. H. (2018, July). Integration of primary care and public health in community care. Paper presented at the forum of the Korea Community Care Health Council, Seoul. 

  7. Institute of Medicine. (2001).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8. Institute of Medicine. (2010). The Future of nursing: leading change, advancing health.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9. Integration of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2018, November). Community care master plan.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6683&SEARCHKEYTITLE&SEARCHVALUE%EC%BB%A4%EB%AE%A4%EB%8B%88%ED%8B%B0%EC%BC%80%EC%96%B4 

  10. Lamb, G. (2014). Care coordination: the game changer. Georgia: American Nurses Association. 

  11. Lam, G., & Newhause, R. (2018). Care coordinator: a blueprint for action for RNs. Georgia: American Nurses Association. 

  12. Lee, G. S. (2019, November). Community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improving rural health care system. Discussion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30th Autumnal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R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Seoul. 

  13. Lee, J. J., Lee, K. S., Lee, E. S., & Bae, S. G. (2018). Community primary care governanc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plan. Sejong 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Daegu: Keimyung University. 

  14. Lee, K. S., Sa. G. J., & Han, M. K. (2019). Integration of medical and social services: Denmark Case. Issue Paper. 42. 1-27. 

  15. MacDonald, K. M., Schultz, E., Albin, L., Pineda, N., Lonhart, J., Sundaram, C., Smith-Spangler, C., Brustrom, J., & Malcolm, E. (2014). Care coordination measures atlas version 4. Rockville: AHQR Publication.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s://www.ahrq.gov/sites/default/files/publications/files/ccm_atlas.pdf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a).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year book 2018.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7082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b, May). Korean-style "Community Care" made with experts and field participation.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841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a). Health and welfare white paper 2018. Retrieved September 3, 2019,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ls.jsp?PAR_MENU_ID03&MENU_ID032903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b, January). Community care leading project.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7345&SEARCHKEYTITLE&SEARCHVALUE%EC%BB%A4%EB%AE%A4%EB%8B%88%ED%8B%B0%EC%BC%80%EC%96%B4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c, September). Community care model development operation start.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50709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hronic Disease Management Demonstration Team in Primary Medical care. (2018). Guideline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demonstration program in primary medical care. Sejong 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Seoul: Chronic Disease Management Demonstration Team in Primary Medical care.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hronic Disease Management Demonstration Team in Primary Medical care. (2019). Work guideline for care coordinator. Sejong 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Seoul: Chronic Disease Management Demonstration Team in Primary Medical care. 

  23. Ministry of the Interior & Safet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2019 Resident autonomous public service construction project: Health and Welfare Manual.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9721 

  24.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9). Dictionary. https://www.korean.go.kr/front_eng/main.do 

  25. Northern Sydney Local Health district. (2019, June). Clinical services plan 2019-2022. Retrieved June 16, 2019, from https://www.nslhd.health.nsw.gov.au/AboutUs/publications 

  26. Nutt, M. & Hungerford, C. (2010). Nurse care coordinators: definitions and scope of practice. Contemporary Nurses. 36(1-2), 71-81. http://dx.doi.org/10.5172/conu.2010.36.1-2.071 

  27. Rogenberg, K. (2012). RN population care coordinators. The America Journal of Nursing, 112(5), 16.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s://journals.lww.com/ajnonline/fulltext/2012/05000/RN_Population_Care_Coordinators.10.aspx 

  28. So, A. Y., & Hong, M. S. (2005). Analysis of health and social needs for the establishment of coordinated health and social servic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9(2), 188-2003. 

  29. Statistics Korea. (2019).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 2017-2067. Retrieved August 3, 2019,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6/index.board?bmoderead&aSeq373873 

  30. Yoon, J. Y. (2018, November). Aging society and community care: role and task of nursing practic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