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척도 CAS(Client Assessment Summary) 한국어판의 타당도 검증
Validity Verification of a Korean Version of Recovery Scale(Client Assessment Summary) for Alcoholic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1, 2016년, pp.386 - 394  

이영선 (조선대학교 행정복지학부) ,  김수연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료공동체에 거주하는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을 측정하는 도구 CAS(Client Assesment Summary)의 한국어판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일반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 척도로 사용하기에 수용가능한지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대상자로 단주 중인 알코올 중독자 20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은 CAS 척도의 내용타당도, 신뢰도,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타 회복척도인 ARS, 단주기간, 단주 자기 효능감, 병식, 변화 동기 변수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 기준타당도를 검증하는 분석을 시행하였다. 내용타당성 검증 후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CAS척도는 전체 12문항,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76.26%, 공통성 0.6 이상, KMO 값 0.92로 구성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내적일치도 계수는 .92로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ARS, 단주기간, 단주 자기효능감, 병식, 변화 동기 변인과의 상관관계로 기준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검증 과정을 통하여 CAS척도가 치료공동체 뿐 아니라 일반 알코올 중독자에게 사용하기에도 타당한 척도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상의 척도가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을 평가하는데 학술적, 임상적으로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Client Assessment Summary (CAS), which is a tool used to assess the recovery of alcoholics. We investigated the Korean CAS's suitability for use in assessing the scale of recovery scale of general alcoholics in Korea. In this study, w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차진경이 치료공동체에 거주하는 알코올 중독자의 변화과정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한국판 CAS 도구를 치료공동체가 아닌 지역사회 내 일반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도 활용 가능한지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타 문화권에서 개발된 CAS 도구를 번역한 한국어판 도구에 대하여 응답반응도, 요인분석,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지역사회에서 단주 중인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 측정에 적합하고 문화적으로도 수용가능한지에 대하여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 이 연구는 정신보건 영역의 패러다임이 기존의 치료, 재활에서 회복중심으로 옮겨지고, 알코올 중독자 전인적인 삶의 형태까지 회복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개입의 영역 역시 치료공동체 뿐만 아니라 병원 및 지역사회의 다양한 현장에서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을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상황 인식을 토대로 단주중인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을 측정하는 한국형 CAS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 이처럼 CAS는 지역사회 내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정도를 평가하기에 적합한 도구라는 것이 검증 되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알코올 중독 단주자의 회복을 평가하는 토대를 마련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치료 공동체 이용자의 회복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 CA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일반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 척도로 사용하기에 수용가능한지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내 행동과 태도는 내가 성숙한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 10. 나는 열정적으로 회복프로그램에 참여한다.
  • 12. 내 행동과 태도는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고 있다.
  • 2. 나는 정기적으로 내 의무와 책임을 다한다.
  • 3. 나는 긍정적인 가치와 원칙으로 살아가려고 노력한다.
  • 5. 나는 사람들과 잘 어울리며 잘 지낸다.
  • 7. 나는 내 감정을 잘 알 수 있으며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 할 수 있다.
  • 8. 나는 자신감이 많다(나는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 중독 관련 임상 현장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정신보건 영역의 패러다임이 기존의 치료, 재활에서 회복 중심으로 옮겨오면서[5], 알코올 중독 관련 임상 현장도 변화하고 있다. 회복 패러다임 이전의 전통적 정신 보건 패러다임에 의한 접근에서는 중독자의 병식을 증진시키고 단주동기를 강화시켜 단주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재활 모형적 패러다임으로 단주 방법이나 기술을 연습시켜 단주를 유지하고 재발을 예방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접근방식을 적용해 왔다고 볼 수 있다[6]. 그러나 단주에만 초점을 둔 개입은 단주실패와 재발을 경험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번 재발을 경험한 알코올 중독자를 무기력하게 만들고 스스로 회복을 포기하게 하는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알코올 중독이란 무엇인가? 알코올 중독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의 피해를 가져오는 진행성 질병으로[1] 알코올로 인한 문제의 해결은 의학적 치료로 회복될 수 있는 부분과 함께 가족과 사회적 관계까지의 총체적 회복이어야 한다. 여러 학자들 역시 정신질환에서 회복에 대한 개념을 정의함에 있어서 특정 서비스 제공으로 질병의 완치되었음을 의미 하는 것 이상으로 회복과정을 통한 성장과 발전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2-4].
단주에만 초점을 둔 개입은 어떤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가? 회복 패러다임 이전의 전통적 정신 보건 패러다임에 의한 접근에서는 중독자의 병식을 증진시키고 단주동기를 강화시켜 단주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재활 모형적 패러다임으로 단주 방법이나 기술을 연습시켜 단주를 유지하고 재발을 예방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접근방식을 적용해 왔다고 볼 수 있다[6]. 그러나 단주에만 초점을 둔 개입은 단주실패와 재발을 경험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번 재발을 경험한 알코올 중독자를 무기력하게 만들고 스스로 회복을 포기하게 하는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소비자주의 관점에서 볼 때 기존의 정신보건, 재활의 패러다임 역시 알코올 중독자 당사자들의 시각이 아니라 그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에 대한 전문가들의 시각으로 본다는 비판을 받는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 Nowinski, S. Baker, K. Carroll, "Twelve Step Facilitation Therapy Manual: A clinical research guide for therapists treating individuals with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NIAAA Project MATCH Monograph Series, vol. 1, 2005. 

  2. C. L. Hunt, "Women's recovery from alcoholis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anderbilt University, 1989. 

  3. W. A. Anthony,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The Guiding vis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in the 1990s," Rehabilitation Journal, vol. 16, no. 4, pp. 11-23, 1993. DOI: http://dx.doi.org/10.1037/h0095655 

  4. N. Jacobson, L. Curitis, "Recovery as policy in mental health services: Strategies Emerging from the states,"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vol. 23, no. 4, pp. 333-341, 2000. DOI: http://dx.doi.org/10.1037/h0095146 

  5. R. Weingarten, "The ongoing process of recovery," Psychiatry, vol. 57, no. 4, 1994. DOI: http://dx.doi.org/10.1080/00332747.1994.11024701 

  6. S. S. Choi, Solji Lee, "A Qualitative Study on Alcoholic's Recovery Experience,"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30, pp. 418-448, 2008. 

  7. Lunt, Alan, "Recovery: Moving From concept toward a theory,"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vol. 23, no. 4, pp. 401-404, 2000. DOI: http://dx.doi.org/10.1037/h0095137 

  8. H. J. Kim, G. H. Kim, "Psychiatric Mental Health Professional' Perception of Recovery State from the Psychiatric Disability,"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 11, no. 4, pp. 452-461, 2002. 

  9. N. R. Kim, M. S. Kim, J. H. Gwon, "A Study on The Recovery of Korean Chronic Schizophrenic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4, no. 4, pp. 739-754, 2005. 

  10. S. Y. Hwang, "The Perception of Recovery: Perspectives from People with Mental Illness,"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27, pp. 28-63, 2007. 

  11. S. K. Seong, U. Ham, Y. W. Bang, "A Follow-up Study of Alcoholic Inpatients by the Telephone Interview,"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latric association, vol. 32, no. 5, pp. 698-705, 1993. 

  12. J. S. Kim et al, "Influence of alcoholic's insight on their abstinent outcomes for one year after discharg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 22, no. 7, pp. 1052-1066, 2001. 

  13. D. S. Choi,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Social Adaptation about the Alcohol Dependent Person Discharged from One Hospital"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 Hanyang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p. 45, 2007. 

  14. S. J. Kim, "Modeling relapse of Alcoholism : Male alcoholic in-patients of psychiatric ward,"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 141, 1996. 

  15. H. S. Kwon, "Study of the Relapse Factors of Alcoholics with the Application of Grounded Theory," Sill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Policy, Master's Dissertation, p. 104, 2002. 

  16. S. H. Chai, "Predictive Psychological Factors for Relapse into Alcohol Depend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 128, 2005. 

  17. S. B. Lim, "The Study on Relapse Factors of the Alcoholics," Journa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vol. 15, no. 4, 2009. 

  18. D. G. Sh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Frequency of Alcoholism Relaps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42, no. 1, pp. 61-90, 2014. 

  19. E. J. Bae, H. J. Sung,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ics' Adult Attachment, Social Support and the Risk of Relapse,"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vol. 25, no. 4, pp. 79-107, 2014. DOI: http://dx.doi.org/10.16881/jss.2014.10.25.4.79 

  20. W. L. White, "The History of Recovered People as Wounded Healers: I. From Native America to the Rise of the Modern Alcoholism Movement,"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vol. 18, no. 1, 2000. DOI: http://dx.doi.org/10.1300/J020v18n01_01 

  21. K. S. Jung, "Study on ecological-system factors affecting alcoholics' recov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p. 121, 2006. 

  22. E. J. Park, "A Study on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Alcoholics' Recovery," Daegu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p. 51, 2010. 

  23. S. K. Seong, J. J. Lee, H. O. Kim, G. H. Lee, "Effectiveness of Inpatient Treatment Program on the Insight and Satisfaction of Alcohol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vol. 6, no. 1, pp. 20-29, 2002. 

  24. S. H. Lee, H. J. Kim, S. M. Sin, "The Influences the Level of Lifestyle has on the Rehabilitation of the Addiction of the Alcoholics who are in a Therapeutic Community Using the DAYTOP Model,"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3, no. 1, pp. 324-337, 2012. 

  25. M. S. Yun, H. Ji, H. J. Jo, "Effectiveness of Inpatient program on the Recovering Process among Alcoholics," Journal of The Korean Alcohol Science, vol.13, no. 2, pp. 55-71, 2012. 

  26. S. M. Kim,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recovering counselor's lived experiences in the field of alcoholism," Ewha Woman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p. 152, 2007. 

  27. I. S. Rho, "The recovery process of alcohol dependence," Kyung Hee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p. 144, 2006. 

  28. A. R. Park, "Recovery experiences of Korean alcoholics : being reborn," Ewha Woman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p. 147, 2008. 

  29. D. H. Chun, "A Study on Experiences of Recovering Alcoholics through Alcoholics Anonymous," Soongsi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 145, 2011. 

  30. H. J. Kim, "Ideation of the Experience of Women Alcoholics's Drinking and Recovery," University of Seoul, Doctoral Dissertation, p. 224, 2015. 

  31. J. G. Cha, "Effects of Therapeutic Community Program on Recovering Process, Stage of Change and Serum Cortisol Level in Alcoholic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p. 71, 2008. 

  32. S. M. Jun, "Development of an alcoholism recovery scale based on the recovery paradigm,"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p. 163, 2014. 

  33. D. Kressel, G. DeLeon, M. Palij, G. Rubin, "Measuring Client clinical progress in therapeutic community treatment. The therapeutic community Client Assessment Inventory, Client Assessment Summery, and Staff Assessment Summery," Substance Abuse Treatment Journal, vol. 19, pp. 267-272,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740-5472(00)00108-2 

  34. J. S. Kim et al, "Assessing the insight status using HAIS(Hanil Alcohol Insight Scale) a newly devised scale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insight in alcohol depen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vol. 2, no. 1, pp. 126-133, 1998. 

  35. C. C. DiClemente, J. P. Carbonari, R. P. Montgomery, S. O. Hughes, "The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 55, no. 2, pp. 141-148, 1994. DOI: http://dx.doi.org/10.15288/jsa.1994.55.141 

  36. Miller, R. William, Tonigan, J. Scott, "Assessing drinkers' motivation for change: The 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 (SOCRATE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vol. 10, no. 2, pp. 81-89, 1996. DOI: http://dx.doi.org/10.1037/0893-164X.10.2.81 

  37. Y. M. Chun, "Assessing Alcohol Dependents' Motivation for Change: The Development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4, no. 1, pp. 207-22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