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Empathy and cultural impac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attitud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439 - 448  

박지영 (서정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조경자 (서정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문화적 공감능력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Y지역의 전문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65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이해 및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를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양한 요인을 매개로 변화되므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문화 교육,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에의 접근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전반적인 부분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ultural empathy and analysis on the cultural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and cultural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attitude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의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기본 변인으로서 문화적 공감능력의 중요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 즉, 교사연수, 물리적인 교육환경 개선, 동료의 지원이 실제 다문화와 관련된 교육신념의 변화에 효과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이 독립변인으로서 종속변인인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의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기본 변인으로서 문화적 공감능력의 중요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과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 이해, 다문화 교육 태도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보기 전에 이들의 기초가 되는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 감수성이란? 다문화 사회에서 함께 공존하기 위해서는 국적과 인종을 뛰어넘어 서로 협력해 나가는 능력이 요구되며, 다문화 감수성은 이에 근원이 될 수 있다. 다문화 감수성이란 다양한 문화를 세심하고 민감하게 느끼고 수용하는 성질[9]로 보는 시각이 있으며 나와 다른 사람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19]으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다문화적 의사소통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개인이 갖추어야 할 능력은 문화적 차이를 인식하는 민감성과 문화적 차이를 존중하는 정서적 태도이며 이러한 정서적 태도가 요구된다[5].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고 상호 협력하기 위해 필요한 점은? 미래 사회는 열린 생각과 창의적 사고, 이를 토대로 나와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고 상호 협력할 줄 아는 인간상을 기대한다[3].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다양성을 인정, 수용할 수 있는 감정과 개방적 사고를 키워감으로써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협력적인 삶의 태도를 기를 필요가 있다[36].
다문화 사회에서 교사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의 중요성은 유아기에 다문화교육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올바른 지식과 정보, 태도를 체계적으로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20].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신념,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방향성, 교사 자신의 역할과 태도의 정립 등이 교사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한다[19]. 다문화교육은 각 집단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이러한 특성에 관계없이 주류 또는 비주류 집단의 문화를 동등하게 여기고 상호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 궁극적으로 서로가 공동체의 중요한 일원임을 가르쳐주는 교육[14]로 그 방향이 정립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ang, J. W.,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in the Area of Art Experience in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 Care Cent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9(1), pp. 135-154, 2015. 

  2. Go, S. K.,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hildcare Teacher's Cultural Capability.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2011. 

  3. Kim, Y. O., Seo, H., Park, H. S., Jang, S. N., Yoon, K. S., Park, M. J. & Lee, N. Y., Theory and Practice on the status of children Multicultural Education. Seoul: Hakjisa. 

  4. Kim, O, S., Comparison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between Preservice Teachers in South Korea and China. Korean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18(1), pp. 193-217, 2008. 

  5. Kim, O, S.,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6. Kim, Y. S., Factors affecting Childycare Center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Dongguk Kyonggi University, 2016. 

  7. Kim, J. M.,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Cultur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Gosin University, 2016. 

  8. Kim, J. Y., A study on color-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competence of service providers in multicultural setting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traini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2013. 

  9. Kim, H. Y., Comparison of effect of multi cultural sensitivity on multi 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2014. 

  10. Kim, H. K. & Kim, G, H.,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telligence of the Teacher of Young Children And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7(2), pp. 190-213, 2013. 

  11. Nam, H. J. & Park, S. H., Effects of a Diversity Education Program on the Students' Empathy Ability, Cultural Sensitivity and Disabilities Acceptance Attitudes in 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13(3), pp. 53-76, 2014. DOI: http://dx.doi.org/10.18541/ser.2014.10.13.3.53 

  12. Mo. K, H., Policies and Direction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26(4), pp. 245-270, 2009. 

  13. Mo. K, H. & Hwang, H. W., A Study on Multicultural Awarenes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focused on Korean and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9(3), pp. 79-100, 2007. 

  14. Park, N. 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14(1), pp. 213-232, 2007. 

  15. Seo, H. & Lee, S. E.,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4), pp. 89-116, 2009. 

  16. Yun, G. J., The Effects of Cultural Empath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9(3), pp. 105-129, 2014. DOI: http://dx.doi.org/10.15815/kjcaes.2014.9.3.105 

  17. Yun, G. J., Directions of Learning Space Organization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10(1). pp. 87-111, 2015. 

  18. Yun, H. S., A Comparison of Pre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2(1), pp. 415-430, 2008. 

  19. lee, G. R.,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itivity, nuderstanding, an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1. 

  20. Lee, G. R. & Kim, Y. O., The Effects of Integrated Activities with Multicultural Approaches on Young Children.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5(6), pp. 75-102, 2010. 

  21. Lee, H. J. & Kim, J. J.,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als in multicultural scociety perceived by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5(2), 1-25, 2012. 

  22. Lee, H. L.,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hancing Cultural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5. 

  23. Jung, D. H. & Chang, J. Y.,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3(1), pp. 309-328, 2009. 

  24. Choi, S. 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e Measure for Helping Profession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5, pp. 23-53, 2010. 

  25. Choi, C. O. & Mo, K. H., Investigating Multicultural Efficacy of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9(4), pp. 163-182, 2007. 

  26. Choi, H. J. & Woo, M. J., A Stud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6(5), pp. 315-338, 2012. 

  27. Bennett, M. J.,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global leadership. In R. D. Reineke & C. Fubinger(Eds.), Interkulturelles management: Konzeption-Beratung_Training(pp.pp. 205-226). Wiesbaden, German: Gabler, 2001. DOI: http://dx.doi.org/10.1007/978-3-322-91288-6_12 

  28. Bhawuk, D., & Brislin, R., The measuremen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using the concept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6(4), pp. 413-436, 1992. DOI: http://dx.doi.org/10.1016/0147-1767(92)90031-O 

  29. Chamberlain, S. P.,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cultural differences in the educa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learner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40, pp. 195-211, 2005. DOI: http://dx.doi.org/10.1177/10534512050400040101 

  30. Chappel, M., & Nye, S. , Nevada' core knowledge areas and core competencies for early care and education professionals. Reno, NV: The Nevada Registry, 2007. 

  31. Chen, G. M. & Starosta, W. J.,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 cultural sensitivity scale. http://digitalcommons.uri.edu/cgi/viewcontent.cgi?article1035&contextcom_facpubs, 2000. 

  32. Constantine, M. G., Ladany, N., Self-Report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e Scales: Their Relation to Social Desirability Attitudes and Multicultural Case Conceptualization Abil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47(2), pp. 155-164, 2000.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47.2.155 

  33. Engle, L., & Engle, J., Assessing language acquisition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development in relation to study abroad program design. Frontiers: The Interdisciplinary of Study Abroad, X, pp. 219-236, 2004. 

  34.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11. 

  35. Marshall, P. L., Cultural diversity in our schools. Belmon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2002. 

  36. Morrison, G. S., Early childhood education today(10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7. 

  37. NCCIC,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s toolkit, 2009. http://nccic.acf.hhs.gov/pubs/goodstart/pd_section4.pdf 

  38. Obegi, A, D., & Ritblatt, S. N., Cultural competence in infant/toddler caregivers: Application of a tri-dimensional model.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9(3), pp. 199-213, 2005. DOI: http://dx.doi.org/10.1080/02568540509595065 

  39. Pang, V. O., Multicultural education: A caring-centered, reflective approach(2nd ed.). New York: McGraw Hill, 2005. 

  40. Ponterotto, J. G., Baluch, S., Greig, T., & Rivera, L., Development and initial score validation of the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8(6), pp. 1002-1016, 1998. DOI: http://dx.doi.org/10.1177/0013164498058006009 

  41. Ridley, C. R., & Lingle, D. W., Cultural empathy in multicultural couseling: A multidimernsional process model. IN P. B., Pedersen, J. G., Draguns, W. J. Lonner, & J. E. Trimble(Eds.). Counseling across cultures(4th ed., pp. 21-46). Thousand Oak, CA:Sage, 1996. 

  42. Wang, Y. W. M. Davison, M. M., Yakushko, O. F., Savoy, H. B., Tan, J. A. & BleIer, H. K., The Scale of Ethnoculture Empathy: Development, Validation, and Reliabil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2), pp. 221-234, 2003. DOI: http://dx.doi.org/10.1037/0022-0167.50.2.221 

  43. Weaver, H., The elements of cultural conpetence: Applications with Native American clients. Journal of Ethnic & Cultural Diversity in Social Work, 13(1), pp. 19-35, 2004. DOI: http://dx.doi.org/10.1300/J051v13n01_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