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각장애청소년을 위한 3D 프린팅 촉각수학교재 모델 개발 연구 - 함수 지도와 관련하여 -
A Study on 3D Printed Tactile mathematics textbook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0 no.4, 2016년, pp.515 - 530  

이상구 (성균관대학교) ,  박경은 (성균관대학교) ,  함윤미 (경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각장애를 극복하고 주어진 환경에서 찾을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여 학문적인 중요한 기여를 해온 수학자들의 사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최근에 소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소아마비나 뇌성마비 등의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수학자로 성장한 예는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시각장애인이 수학을 전공하여 수학 교사나 교수 또는 수학과 관련된 전문직에 진출한 경우가 전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선진국과 달리 한국에서 시각장애인 학생들이 수학을 전공하여 전문직에 진출할 수 없었던 이유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각장애청소년들이 좀 더 직관적으로 수학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 학생들이 수학을 만지고 느끼면서 수학에 대한 관심과 실제 학습 내용의 직관적 이해를 돕는 하나의 도구로 3D 프린팅을 활용한 촉각수학교재와 교사용지도서 개발(제작 보급)을 위한 모델을 제안 한다. 이는 시각장애청소년 특수교사 부모의 교재활용을 수학교육 측면에서 지원함으로써 시각장애청소년의 수학에 대한 학습력을 신장시키고,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며, 수학을 이미지화하여 상상하는 수학교육 환경을 도모 할 것으로 본다. 특히 수학적 재능을 갖는 시각장애청소년들이 앞으로 수학을 전공하여 수학 관련 전문직으로 진출하는 모델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n extensive study of the mathematicians who have overcome the visually impaired and contribute to the academic in math was published. In the case of Korea, we can find there are mathematicians who have overcome physical disabilities such as cerebral palsy and polio. However there is no ex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폰트랴긴, 버나드 모린, 아나톨리 뷔투쉬킨, 로렌스 바젯, 노베르토 살리나, 엠마뉴엘 지록, 재커리 배틀(한국이름: 이정남)과 같이 시각장애인으로써 성공한 수학자가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는 드물지 않지만, 한국 내에서는 전무하다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그 결과 시각장애청소년의 시각적 장애를 딛고 수학적 지식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돕는 한 가지 방법으로 최근 부각된 3D 프린팅을 활용하는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우리나라 시각장애청소년에 대한 특수수학교육 환경을 소개하고 수학학습을 돕기 위한 방안을 탐색한다.
  •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취지와 목표가 구체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수학촉각교재 활용을 위한 모델을 제안 한다. 즉 중학교 3학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성질’에 대한 교수․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수학촉각자료의 활용을 구체화 함으로써, 정안인 교사든 시각장애인 교사든 시각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위 4가지 요소들은 정안인 학생들도 수학을 정확하고 깊이 있게 학습하기 위해 반드시 익혀야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함수 그래프에 대한 모델뿐만 아니라 주요 특정 개념을 설명하는 모델도 제작하여 함수 학습과 더불어 기하학 학습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였다.
  • 그러나 국내의 경우 단 한 명의 시각장애인 수학 교수조차 보유하고 있지 않은 암울한 상황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과 과학 및 공학 분야에 크나큰 손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우리의 특수수학교육에 대한 열악한 환경을 선진화하고 특히 시각장애청소년의 수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을 이용한 촉각 교구를 부착한 교재와 그 활용을 안내하는 교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시각장애청소년을 위한 3D 프린팅 활용과 발을 맞추고 시각장애청소년들의 수학학습을 도와 수학의 가치를 이해하고 수학적 동기유발을 유지하여 수학과 관련된 미래를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수학 개념의 시각적인 이해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3D 프린팅의 활용으로 극복하고, 교사가 학생들이 수학 개념과 수학 이미지를 동시에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수학(특히 함수분야)에 대한 교수 학습 매뉴얼을 개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D 프린팅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물체를 모델링하게 해주는 소프트웨어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3D 프린팅 기술은 제작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여주고, 기존의 방식으로는 제작이불가능했던 제품을 만들 수 있게 해주어 3차 산업혁명을 이끌 주역으로 지목되고 있다. 3D 프린팅을 하기 위해서는 출력하고자 하는 물체를 모델링해야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소프트웨어는 Autodesk Maya, CAD, Google Sketch-up, Mathematica, Sage 등으로 다양하다.
시각장애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촉각교재 개발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처럼 아주 간단한 촉각표현만으로도 시각장애청소년에게는 매우 특별한 교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청소년의 수학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촉각교재 개발이 시급하다. 그러나 3D 프린팅이 시각장애청소년들의 수학학습에 중요한 도구가 된다는 것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교사나 학생들이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직접 원하는 수학 관련 모형을 출력하는 것이 복잡하고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에 적절한 코드를 입력하여 STL 파일을 생성하고, 출력을 원활히 하기 위해 3D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3D 프린터가 이해하도록 한 번 더 수정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시각장애인들이 하기에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들도 프로그램 및 기자재를 갖추고도 숙련되어 있지 않다면 힘든 작업이다.
3D 프린팅을 활용한 매뉴얼의 특징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age를 활용하여 누구나 3D 프린팅을 위한 STL 파일 생성 및 출력 과정을 쉽게 하고더 나아가 3D 프린팅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중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내용 중에서 함수 지도 부분에 대한 매뉴얼을 준비한다. 3D 프린팅을 활용한 매뉴얼에는 교사가 가르칠 부분과 학생이 학습해야할 부분이 동시에 제공되므로 교사와 학생이 매뉴얼의 수학 내용을 함께 공유하고 더 발전해 공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결과 교사는 학생의 개념 이미지가 개념 정의에 바르게 연결되고 있는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그림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교육인적자원부 (2009).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2.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09), Commentary about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3. 김동일?손지영?이재호?고혜정?정소라?백서연 (2013).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수학 중재에 관한 연구 : 문헌분석과 수학교사 면담을 중심으로, , 29(2), 173-196. 

  4. Kim, D. I., Son, J. Y., Lee, J. H., Koh, H. J., Jeong, S. R. & Baek, S. Y. (2013). Research on effective mathematics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9(2), 173-196. 

  5. 김성희 외 10명 (2014).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278-280. 

  6. Kim, S. H. et al. (2014). 2014 Survey on disability, 278-280. 

  7. 김한규?이해균 (2009). 3개국간 수학 점자의 비교-분석을 통한 체계 연구(한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 25(4), 01-19. 

  8. Kim, H. G. & Lee, H. G. (2009). The study of systems in the braille code of mathematics through the comparative-analysis among three countries - focused on Korea, Japan and USA(Nemeth Code),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5(4), 1-19. 

  9. 류현?이해균 (2013).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수학적 성향 분석, , 29(3), 89-103. 

  10. Ru, H. & Lee, H. G. (2013). An analysis on mathematical disposition of secondary course students attending schools for the blind",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9(2), 87-103. 

  11. 박경은?이상구 (2015). 신체적-정신적 장애를 극복하고 학문적 기여를 한 수학자들과 특수수학교육 환경,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9(3), 331-342. 

  12. Park, K. E. & Lee, S. G. (2015). Mathematicians who overcomes their disabilitie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3), 331-342. 

  13. 이상구?이재윤?박경은?이재화?안승철 (2015). 수학과 예술을 3D 프린팅으로 연결하는 융합인재교육,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9(1), 35-49 

  14. Lee, S. G., Lee, J. Y., Park, K. E., Lee, J. H. & Ahn, S. C. (2015). Mathematics, Art and 3D-Printing in STEAM Educ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1), 35-49. 

  15. 이정아 (2015).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6466. 

  16. Lee, J. A (2015). Mathematicians surpassed visually impaired. 

  17. 이지연?박순희 (2013). 입체도형 과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맹학생들의 수학적 표현과 오류 분석, , 29(3), 103-129. 

  18. Lee, J. Y. & Park, S. H. (2013). An analysis on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and errors of students with blindness in problem solving process of solid figure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9(3), 103-129. 

  19. 정유미 (2006). 시각장애특수학교의 수학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중등교육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Jung. Y. M (2006). A Study on the Circumstanc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impaired: On secondary education. Master's degree, Keimyung University. 

  21. Alesandrini, K. L.(1982), Imagery-eliciting strategies and meaningful learning, Journal of mental Imagery, 6, 125-140. 

  22. Jackson, A.(2002). The World of Blind Mathematicians. Retrieved from http://www.ams.org/ notices/ 200210/comm-morin.pdf. 

  23. Thompson, D. M. (2005). LaTeX2Tri : Physics and Mathematics for the Blind or Visually Impaired. Technology, 3-6. Retrieved from physics.harvard.edu/-mattoon/davidmthompson/latex2tri.pdf. Or Retrieved from http://www.viewplus.com/about/abstracts/06csungardner.html 

  24. Vinner, S. (1991). The Role of Defini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Volume 11 of the series Mathematics Education Library pp 65-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