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근대시기 일본이 바라보는 한국에 대한 시선 -일본사회의 담론과 교과서의 한국관련 콘텐츠를 중심으로-
The Japanese View to Korea in Early Modern Era -Focusing on Discourse in Japanese Society and Korea-related Contents in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2, 2016년, pp.633 - 642  

박소영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예실 (제주한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은 근대시기 일본의 한국인식을 당대의 한국 담론과 교과서 콘텐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민족성, 역사인식, 한국의 사회상으로 주제를 설정하고 교육 잡지를 중심으로 각 주제에 관해 형성되었던 담론과 이들 담론들이 투영된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의 서술내용들을 살펴보았다. 민족성에 관해서는 나태 무기력 미개라는 단어로 대표되는 부정적 측면에서 인식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역사를 수동적, 타율적 성격으로 규정하고 무능한 국가운영으로 인해 부정적 민족성이 형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독립을 유지할 능력이 없는 한국은 일본과 동양의 평화를 위협하는 존재이며 결국은 한일강제병합에 이르렀다는 것이 한국 역사에 대한 인식이다. 또한, 일본이 한국사회를 평가하는 척도는 서구식 문명화였으며 한국사회의 모습을 문명 문화의 정도가 낮은 전근대적 사회로 규정하고 있었다. 근대시기 일본에서 형성된 한국에 대한 담론에는 근대국가로 탈바꿈한 일본의 자신감과 제국주의의 길을 걷게 된 일본의 지배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었고 이와 같은 담론은 교과서와 지도서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확산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looked into Japan's recognition of Korea in early modern era with particular focuses on discourse on Korea and contents in textbooks in those days. In doing so, the topics of nationality, historical recognition, and social aspects in Korea were established and discourse on these topic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면 국정일본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역사 인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교과서에 「진구황후의 삼한정벌」, 「문화의 전래」,「백제의 멸망」,「임진왜란」, 「조선통신사」, 「정한론」, 「청일전쟁」, 「러일전쟁」, 「한국강제병합」에 관해 서술되고 있다.
  • 이 글에서는 국정교과서를 둘러싼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과 중요성을 고려하여 국정교과서제도가 실시되었던 1904년부터 1945년까지의 국어, 역사, 지리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그리고 중학교 지리교과서의 경우에는 한국의 문화와 민족에 관한 서술 및 삽화들이 수록되어 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 앞 절에서 살펴본 한국의 민족성 담론과 관련하여 본절에서는 한국역사를 둘러싼 근대일본에서의 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민족성을 악정(惡政)과 연관시켜 규정하는 것은 역사의 전개에 대한 인식과도 무관하지 않다.
  • 이 글에서는 국정교과서를 둘러싼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과 중요성을 고려하여 국정교과서제도가 실시되었던 1904년부터 1945년까지의 국어, 역사, 지리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그리고 중학교 지리교과서의 경우에는 한국의 문화와 민족에 관한 서술 및 삽화들이 수록되어 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 이 글에서는 근대시기 일본의 한국인식을 당대의 한국 담론과 교과서 콘텐츠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에 관한 담론은 근대잡지, 신문 등의 언론매체를 비롯하여 한국의 역사, 문화, 사회적 특징을 주제로 발행된 각종 서적 등을 통해 형성되었다.
  • 이 글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근대시기 일본사회에서의 한국에 대한 담론을 교육 잡지 기사를 통해 살피고 동시에 당시 일본 교과서의 한국관련 콘텐츠와의 연계성을 밝힘으로써 당시 한국 인식에 관해 통합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토대로 당시 담론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관련 서술을 통해 근대시기 일본의 한국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한국관련 소재들을 ‘민족성’, ‘역사인식’, ‘사회상’으로 구분하여 교과서 서술과 지도서 내용을 살피고, 교육 잡지를 통해 발표된 관련 기사와 서술내용을 연관시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관련 담론과 교과서의 한국관련 콘텐츠를 중심으로 근대시기 일본이 한국을 바라보는 시선에 관해 고찰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한국관련 소재들을 ‘민족성’, ‘역사인식’, ‘사회상’으로 구분하여 교과서 서술과 지도서 내용을 살피고, 교육 잡지를 통해 발표된 관련 기사와 서술내용을 연관시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대시기 일본에서 한국에 관한 담론은 무엇을 통해 형성되었는가? 이 글에서는 근대시기 일본의 한국인식을 당대의 한국 담론과 교과서 콘텐츠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에 관한 담론은 근대잡지, 신문 등의 언론매체를 비롯하여 한국의 역사, 문화, 사회적 특징을 주제로 발행된 각종 서적 등을 통해 형성되었다. 이 가운데 교육 잡지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본의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 GHQ에 의해 소학교용 교과서가 회수되었는데 이는 어떤 부분을 염려하여 이뤄진 행위인가? 소학교용 국정교과서 가운데 수신, 국어, 역사, 지리교과서는 국민사상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의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 GHQ에 의해 이들 교과서가 회수되기도 하였다.
1904년 일본 소학교의 의무교육 연한은? 일본은 1904년부터 소학교에서 국정교과서제도를 실시하였고, 당시 소학교의 의무교육 연한은 4년이었다. 1907년 3월 발표된 개정 소학교령에 의해 의무교육 취학 연한이 6년으로 연장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상중,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이산, 1997. 

  2. 小林優太, "?育とは何か-?育辭典類.出版統計資料.?育ジャ一ナリズム史硏究の檢討を通て-", 名古屋大學大學院發達科學硏究科?育科學?攻?育論叢, 第52?, p. 41, 2009. 

  3. 윤소영, "일제강점 초기 한.일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국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36호, 2010. 

  4. 박걸순, "일본 역사교과서에 기술된 한국사 관련 내용의 사학사적 검토:국정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16호, 2001. 

  5. 신수경, "일제강점기 지리교과서의 삽화연구 -내재된 이데올로기와 표현방식의 변형-," 미술사논단, 제29호, 2009. 

  6. 박소영 외, "근대 일본지리교과서 삽화에 나타난 일본의 한국인식 -서양인의 기록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2014. 

  7. 박삼헌, "고등소학독본(1888-1889)을 통해 본 근대 일본의 심상지리," 일본학, 제39호, 2014. 

  8. 박소영, "일본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문화 콘텐츠변화 양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2013. 

  9. 최혜주, "잡지 朝鮮及滿洲에 나타난 조선통치론과 만주인식:1910년대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62호, 2010. 

  10. 최혜주, "잡지 朝鮮(1908-1911)에 나타난 일본 지식인의 조선인식," 일본근현대사연구, 제45호, 2008. 

  11. 海後宗臣.仲新.寺崎昌男, ?科書でみる近現代日本の?育, 東京書籍, p.53, 2013. 

  12. 江原素六, "韓國の外?と其?育に就て",?育公報, 300, 1905.(출처문헌:近代アジア?育史硏究會, 近代日本のアジア?育認識.資料編 [韓國の部] 第1?, 龍溪書?, pp.350-351, 1999.) 

  13. 宇野重喜, "朝鮮?育及び?育者の態度:朝鮮人の本質," ?育實驗界, 27-1, 1911.(출처문헌:近代アジア?育史硏究會, 近代日本のアジア?育認識.資料編 [韓國の部] 2?, 龍溪書?, pp.70-71, 1999.) 

  14. 山上万次?, 最新中學地理?科書-外國之部 上?-, 大日本?書, p.21, 1902. 

  15. 中目 覺, 改訂新編日本地理?科書, 三省堂, pp.144-145, 1914. 

  16. 山崎直方, 普通?育日本地理?科書, 東京開成館, p.159, 1919. 

  17. 山上万次?, 最新中學地理?科書-外國之部 上?-, 大日本?書, p.22, 1902. 

  18. 吉野作造著.松尾尊?編, 中國.朝鮮論, 平凡社, 1980. 

  19. 及川智早, "神功皇后?承の近代における受容と?容の諸相-?葉書.引札というメディアを中心に-," 國語學硏究(早?田大學國文學會), 148?, p.1, 2006. 

  20. "?韓策", ?育時論, 809, 1907.(출처문헌:近代アジア?育史硏究會, 近代日本のアジア?育認識.資料編〔韓國の部〕1?, 龍溪書?, p.150, 1999.) 

  21. 喜多貞吉, "韓國の?合と國史の?育," ?育界, 9-12, 1910.(출처문헌: 近代アジア?育史硏究會, 近代日本のアジア?育認識.資料編 [韓國の部] 2?, 龍溪書?, p.249, 1999.) 

  22. 文部省, 初等科國史 上, 1943.(출처문헌: 海後宗臣, 日本?科書大系 近代編 第20? ?史 (三), 講談社, p.254, 1978.) 

  23. 文部省, 尋常小學日本?史 上?, 1920.(출처문헌: 海後宗臣, 日本?科書大系 近代編 第19? ?史 (二), 講談社, p.628, 1978.) 

  24. 윤소영, "일제강점 초기 한 일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국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36호, p.336, 2010. 

  25. 國民?育硏究會編纂, 尋常小學日本?史?授新案?二, 啓成社, p.104, 1910. 

  26. 文部省, 尋常小學日本?史(下?), 1935.(출처문헌:海後宗臣, 日本?科書大系 近代編 第20? ?史 (三), 講談社, p.106, 1978.) 

  27. 國民?育硏究會編纂, 尋常小學日本?史?授新案?二, 啓成社, pp.362-363, 1910. 

  28. 國民?育硏究會編纂, 尋常小學日本?史?授新案?二, 啓成社, p.444, 1910. 

  29. 박양신, "明治시대(1868-1912)일본삽화에 나타난 조선인이미지", 정신문화연구, 제28권, 제4호, p.317, 2005. 

  30. ?茂策, "新領土の風俗習慣" ?育實驗界, 26-11, 1910.(출처문헌:近代アジア?育史硏究會, 近代日本のアジア?育認識.資料編 [韓國の部] 2?, 龍溪書?, pp.59-61, 1999.) 

  31. 文部省, 尋常小學?本 ?十一, 1910. (출처문헌: 海後宗臣, 日本?科書大系 近代編 第7? 國語 (四), 講談社, p.224, 1978.) 

  32. 佐藤富三?, 尋常小學?本?授要鑑 第六學年用, 第三輯, 平井平治, p.75, 1910. 

  33. 三省堂編輯所, 新訂改版中等?育 最新日本地理, 三省堂, p.179, 1931. 

  34. 文部省, 尋常小學國語讀本 ?九, 1933. (출처문헌: 海後宗臣, 日本?科書大系 近代編 第8? 國語 (五), 講談社, p.96, 1978.) 

  35. 文部省, 尋常小學國語讀本 ?十, 1933. (출처문헌: 海後宗臣, 日本?科書大系 近代編 第8? 國語 (五), 講談社, p.126, 1978.) 

  36. 권혁희,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민음사,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